경기지역 대파 주요 해충 친환경 방제기술 개발
과제구분 기본 수행시기 전반기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명 연구분야 수행기간 연구실 책임자

경기지역 친환경 대파 종합생산기술 개발

유기농업 ’21~

친환경미생물연구소

친환경농업연구팀

장재은

경기지역 대파 주요 해충 친환경 방제기술 개발

유기농업 ′21~′23

친환경미생물연구소

친환경농업연구팀

신민우
색인용어

친환경농산물, 공공급식, 해충 방제, 대파

 
□ 연구 목표
최근 소득수준이 증가하고 삶의 질이 중요한 가치가 되면서 건강 기능성 식품 및 환경보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게 되었고 소비패턴 또한 더 깨끗하고 안전하며 품질이 뛰어난 농산물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변하고 있다(Han and Yoon, 2015).
대파(Allium fistulosum)는 2020년 기준으로 국내에서 연간 417,881톤이 생산되며, 주요 재배지는 전남으로 전체의 35.5%를 차지하고 있다(KOSTAT, 2020), 2020년 경기도 대파 생산량은 59,154톤으로 전남에 이어 두 번째로 생산량이 많으며 이 중에서 노지 재배면적은 1,779ha, 생산량 40,819톤, 시설 재배면적은 773ha 이고, 생산량은 18,335톤으로 시설재배 생산량은 전국에서 가장 많다. 또한 친환경 대파 경기도 학교급식 공급량은 2018년 238톤, 2022년 271톤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생육장해 및 병해충피해 등 품질이 낮아 반품되거나 폐기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종합적인 재배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친환경 대파의 주요한 병해충 중에서 파총채벌레(Onion thrips, Thrips tabaci Lindeman)는 파, 마늘, 양파 등 백합과 작물과 감자, 가지, 고추 등 가지과에 속하는 여러 가지 작물의 잎, 줄기, 꽃을 가해하는 주요 해충이다(Woo et al., 1991). 이렇게 다양한 기주를 갖는 파총채벌레는 엽육조직 속에 산란을 하며 알에서 부화한 유충은 잎의 내면에서 엽육조직을 가해하여 기주에 큰 경제적 손실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Wol-fenbarger and Hibbs, 1985). 미국 뉴욕 지역에서는 5월경에 월동한 파총채벌레 개체가 나오면서 유묘기 파(3~4개 잎 형성)에 대해 가해를 시작하면서 6~8월 재배시기 동안 약 5세대가 발생한다고 보고된 바있다(Larentzaki et al., 2007). 국내 마늘 재배지에서도 파총채벌레 발생 양상은 3월 중순에 발생하기 시작하여 5월 중하순경부터 증가하며(Park et al., 2019), 파좀나방과(Acrolepiidae)는 3개 속(Acrolepia, Acrolepiopsis, Digivivalva)으로 약 120종이 기록되어 있다(Bisby et al., 2012). 국내에는 Acrolepiopsis 속에 두 종인 파좀나방(Acrolepiopsis sapporensis)과 마좀나방(A. nagaimo)이 분포한다(Kim et al., 2013). 파좀나방은 대파 잎 속 내피를 섭식하다가 용화 직전에 외부로 빠져나와 용화한다(Choi, 1997). 고자리파리의 연간 발생 및 시기는 분포 지역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으며 미국의 New York, 캐나다의 Quebec, 일본의 북해도 지역 등에서는 대개 5월부터 8월까지 계속 발생하여 년 2~3세대를 경과하는 제3세대 성충의 발생은 부분적일 경우 많으며, 노르웨이같이 위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연 1회 발생하기도 한다(Armastrong. T. 1924). 위도가 높은 북반구 지역과는 달리 이스라엘에서는 주로 10월부터 4월까지의 겨울 동안(평균기온: 18℃ 내외)에 양파를 재배하는데, 고자리파리는 이 기간 동안 계속해서 3세대를 경과하며, 동면하지 않고 여름 기간 동안 하면을 하는데 기온이 높은 해에 하면율이 높다고 한다(Yathom, s. 1963).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은 고도의 광식성 해충으로 전세계의 많은 중요 작물에 피해를 입히며 기주범위가 넓은 잡식성 해충이다(Goh et al., 1991). 1986년 전남 진도에서 피해가 확인된 이후 1988년부터 전국적으로 피해가 확산되어 밭작물 등 50여종의 작물을 가해하여 극심한 피해를 주고 있다(Park ea al., 1991). 파밤나방은 유충이 줄기 속에 들어가 가해하므로 약제에 노출될 기회가 적어져 방제가 어려운 해충으로 구분하고 있다(Park and Goh, 1992).
따라서 본 연구는 경기지역 친환경 대파 주요 해충 발생밀도와 피해양상을 파악하고 해충 종류별로 방제효과를 검정하여, 친환경 대파재배 농가에서 해충 친환경 방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