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엽채류 순환식 수경재배시스템 현장 실증
| 과제구분 | 
기관고유 | 
수행시기 | 
전반기 | 
 
|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명 | 
연구분야 | 
수행기간 | 
연구실 | 
책임자 | 
 
| 
 원예작물 탄소저감 재배기술 개발 
 | 
채소 | 
’21~‘23 | 
 원예연구과 
도시원예팀 
 | 
김대균 | 
 
| 
 엽채류 순환식 수경재배시스템 현장 실증 
 | 
채소 | 
’21~‘23 | 
 원예연구과 
도시원예팀 
 | 
황지은 | 
 
| 색인용어 | 
 상추, 양액, 순환식 수경재배 
 | 
 
 
 
-  
 
 
- □ 연구 목표
 
- 현재 수경재배 대부분이 비순환식이며 배출되는 배액으로 물과 비료 낭비 및 환경오염 문제가 발생해 세계적으로 순환식으로 전환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순환식 수경재배 보급률은 네덜란드가 95%로 가장 높으나 우리나라는 5%로 매우 저조한 실정이다(Lee and Kim, 2019). 이러한 순환식 수경재배의 현장 보급의 애로사항으로는 외국산의 고가의 양액공급기나 uv살균기 등 시설비용 부담이 커 대형 농가 외엔 적용하기 어려우며 또한 배액 재활용을 위한 양액 처방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여 재배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 국내 엽채류 순환식 수경재배시 양액 공급 방법은 주로 EC를 기준으로 배양액을 희석하여 공급하기 때문에 연속 재배시 이온 불균형으로 작물의 생리장해가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는 이온선택성 전극 기반 센서를 활용하여 배액 내 이온을 측정하고 이 정보를 양분관리 웹플랫폼에 송신하여 웹플랫폼에서 계산된 6종 비료에 대한 질량비 정보를 양액 공급 장치로 보내 양액 제어하는 시스템을 현장 실증하여 실효성을 검증하고자 수행하였다.
 
-  
 
-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