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제안] Improvements in Ginseng Preplanting Field Management 
인삼 예정지 조성 및 관리의 개선방안
제안배경
- 최근 이상기상, 초작지 부족 및 임차비용 증가, 연작장해 등 인삼 생산 불안정 심화에 따른 예정지 관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임차료 부담으로 인해 기존 인삼 경작지(43.6%)에서 1~2년 관리되고 있는 추세임
 
- – 인삼산업법 및 생산현대화 전략 일환으로 연작장해 예방을 농정목표로 두고 있지만 파주, 금산, 영주 등 일부 산지를 중심으로 객토지원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실정임
 
- ※ 파주시는 인삼 재배지 객토지원을 위해 10a당 5,000천원 지원: 25톤 1대당 지원단가 100,000원/14루베(객토 높이 50cm 기준)
 
- 이에 기존 예정지 조성보다 수익성과 기술효율성이 높은 예정지 조성방안을 도입함으로써 경기지역 인삼의 생산성을 높이고자 함
 
 
제안내용
- 건의부서: 경기도청 농수산생명과학국 친환경농업과
 
- 인삼 초작지 부족에 따른 연작장해 예방 및 소득 증대를 위한 예정지 조성 및 관리방안 개선
 
 
삼각주선인장 무병묘 시범재배 농가 처리구별 해충피해율
| 구분 | 
관행 | 
개선 | 
개선 | 
 
| 재작지 예정지 관리 | 
인위토양 조성 및 예정지 관리 | 
 
| 
 대상지(또는 농가) 
 | 
 재작지 논(또는 밭) 
 | 
 → 
 | 
 인위토양 조성 예정지 
 | 
 
| 
 토양조성방법 
 | 
 경운 및 배수로 정비 
 | 
 → 
 | 
 인위토양조성(성토, 객토 등) 
 | 
 
| 
 예정지 
 | 
 관리기간 
 | 
 1년 
 | 
 → 
 | 
 2년 
 | 
 
| 
 경운횟수 
 | 
 10회/년 
 | 
 → 
 | 
 15회/년 이상 
 | 
 
| 
 녹비작물 작부체계 
 | 
 수단그라스(단작) 
 | 
 → 
 | 
 수단그라스-호밀-수단그라스(2모작) 
 | 
 
| 
 예정지 
조성비 
지원 
 | 
 유형 
 | 
 조성비 
(천원) 
 | 
 비목별 비율(%) 
 | 
   
 | 
 유형 
 | 
 조성비 
(천원) 
 | 
 비목별 비율(%) 
 | 
 
| 
 토지임차 
 | 
 토양조성 
 | 
 토양개량 
 | 
 토지임차 
 | 
 토양조성 
 | 
 토양개량 
 | 
 
| 
 재작지 
(논) 
 | 
 7,090 
 | 
 28.6 
 | 
 22.2 
 | 
 49.2 
 | 
 객토 
 | 
 12,632 
 | 
 31.5 
 | 
 53.0 
 | 
 15.5 
 | 
 
| 
 뒤집기 
 | 
 5,425 
 | 
 70.9 
 | 
 6.7 
 | 
 22.4 
 | 
 
| 
 재작지 
(밭) 
 | 
 7,131 
 | 
 61.1 
 | 
 2.7 
 | 
 36.2 
 | 
 성토 
 | 
 11,602 
 | 
 37.3 
 | 
 49.2 
 | 
 13.5 
 | 
 
| 
 절토 
 | 
 7,771 
 | 
 49.5 
 | 
 33.5 
 | 
 17.0 
 | 
 
 
  
인삼 예정지 조성유형별 소득률 및 기술효율성 비교
| 
   
 | 
 
| 
 인삼 예정지 조성유형별 소득률 및 기술효율성 비교 
 | 
 
 
  
기대효과
- 수익성 높은 예정지 관리기술 도입에 따른 인삼 생산성 및 효율성 증대
 
 
연구자: 경기도농업기술원 소득자원연구소 이진홍, 031-8008-9511, jinhong5@gg.g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