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제안] Proposal to Use of Profitability Analysis Data o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Gyeonggi-do 
경기도 친환경농산물 작목별 소득 분석자료 활용 건의(학교급식 계약단가 책정 및 계절근로자 임금지원)
제안배경
- 친환경농산물 생산농가 소득 보전을 위해 친환경농산물 작목별 소득 정보를 제공하여 적정단가 책정 자료로 활용 건의하고자 함
 
 
제안내용
- 제안부서: 경기도 농수산생명과학국 친환경급식지원센터, 친환경농업과
 
- 친환경 농산물 소득 정보의 학교급식 계약단가 및 재해보상기준 근거자료로 활용 건의
 
- 친환경재배 제초작업 지원을 위한 공공형 계절근로자 확대 및 임금 지원(50%) 건의
 
- 2023년 친환경농산물 소득분석 주요결과
 
- – 수량(㎏/10a): 감자를 제외한 친환경농산물은 일반농산물 대비 50~80% 수준으로 나타남
 
- – 경영비(천원/10a): 일반농업 대비 1.2배(생강)~2.5배(대파) 수준으로 나타남
 
- – 제초 노동시간(10a): 일반농업 대비 2.3배(생강)~8.3배(당근) 수준으로 나타남
 
- – 친환경 농산물 작목별 소득 분석표
 
- (10a, 1기작)
 
 
친환경 농산물 작목별 소득 분석표
| 구분 | 
감자 | 
마늘 | 
양파 | 
대파 | 
생강 | 
당근 | 
 
| 
 총수입 
 | 
 수량 
(kg/10a) 
 | 
 친환경(A) 
 | 
 2,146 
 | 
 975 
 | 
 3,585 
 | 
 2,208 
 | 
 749 
 | 
 1,856 
 | 
 
| 
 일 반(B) 
 | 
 2,125 
 | 
 1,220 
 | 
 6,770 
 | 
 3,803 
 | 
 1,464 
 | 
 4,057 
 | 
 
| 
 A/B 
 | 
 1.0 
 | 
 0.8 
 | 
 0.5 
 | 
 0.6 
 | 
 0.5 
 | 
 0.5 
 | 
 
 금액 
(천원/10a) 
 | 
 친환경(A) 
 | 
 3,167 
 | 
 6,653 
 | 
 5,578 
 | 
 5,731 
 | 
 7,974 
 | 
 4,542 
 | 
| 
 일  반(B) 
 | 
 2,535 
 | 
 6,181 
 | 
 4,982 
 | 
 3,626 
 | 
 8,826 
 | 
 5,208 
 | 
 
| 
 A/B 
 | 
 1.2 
 | 
 1.1 
 | 
 1.1 
 | 
 1.6 
 | 
 0.9 
 | 
 0.9 
 | 
 
| 
 비  용 
(천원/10a) 
 | 
 경 영 비 
 | 
 친환경(A) 
 | 
 1,916 
 | 
 4,169 
 | 
 3,124 
 | 
 4,173 
 | 
 4,553 
 | 
 3,391 
 | 
 
| 
 일  반(B) 
 | 
 1,461 
 | 
 2,289 
 | 
 2,090 
 | 
 1,695 
 | 
 3,870 
 | 
 2,314 
 | 
 
| 
 A/B 
 | 
 1.3 
 | 
 1.8 
 | 
 1.5 
 | 
 2.5 
 | 
 1.2 
 | 
 1.5 
 | 
 
| 
 수  익 
(천원/10a) 
 | 
 소    득 
 | 
 친환경(A) 
 | 
 1,251 
 | 
 2,484 
 | 
 2,454 
 | 
 1,557 
 | 
 3,421 
 | 
 1,151 
 | 
 
| 
 일  반(B) 
 | 
 1,074 
 | 
 3,892 
 | 
 2,892 
 | 
 1,931 
 | 
 4,956 
 | 
 2,894 
 | 
 
| 
 A/B 
 | 
 1.2 
 | 
 0.6 
 | 
 0.8 
 | 
 0.8 
 | 
 0.7 
 | 
 0.4 
 | 
 
 
  
- – 작목별 재배유형에 따른 제초(김매기, 제초매트 설치) 노동시간
 
- (10a, 1기작, 시간)
 
 
작목별 재배유형에 따른 제초(김매기, 제초매트 설치) 노동시간
| 구분 | 
감자 | 
대파 | 
생강 | 
당근 | 
 
| 
 친환경(A) 
 | 
 21.4 
 | 
 45.5 
 | 
 50.3 
 | 
 59.4 
 | 
 
| 
 일  반(B) 
 | 
  4.1 
 | 
  9.1 
 | 
 21.8 
 | 
  7.2 
 | 
 
| 
 비율(A/B) 
 | 
  5.2 
 | 
  5.0 
 | 
  2.3 
 | 
  8.3 
 | 
 
 
  
기대효과
- 경기도 친환경농산물 소득정보 활용으로 농업인 소득보전 및 지속가능한 친환경농업 확대에 기여
 
 
연구자: 경기도농업기술원 작물연구과 김혜형, 031-8008-9293, hyeong89@gg.g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