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로몬 생합성기작 구명 및 방제기술 개발
과제구분 |
기본(국제공동) |
수행시기 |
전반기 |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명 |
연구분야 |
수행기간 |
연구실 |
책임자 |
안전농산물 생산을 위한 유기재배기술 개발
|
작물보호 |
’17~’21 |
환경농업연구과 |
윤승환 |
페로몬 생합성기작 구명 및 방제기술 개발
|
작물보호 |
’19~’21 |
환경농업연구과 |
윤승환 |
색인용어 |
꽃노랑총채벌레, 페로몬생합성, PRX아미드, 유전자발현, 면역세포화학, 곤충생리
|
-
- □ 연구 목표
- 곤충 신경펩타이드는 신경전달물질, 신경조절물질, 신경호르몬을 칭하는 것으로 곤충의 전 발육단계에서 다양한 생리적 기능과 행동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Nassel & Zandawala, 2019; Schoofs et al., 2017). PRXamide family 펩타이드는 3개의 subfamilies: capaility(CAPA)펩타이드, pheromone biosynthesis activating neuropeptide(PBAN)과 휴면호르몬(DH) 포함한 pyrokinin(PK)펩타이드, 탈피자극호르몬(ETH)이 있으며 공통적으로 아미노산 c-말단에 PRX amide(X, 타 아미노산 치환가능) 구조를 지니며 곤충강 내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Jurenka, 2015).
- 신경펩타이드 종류 중 하나인 CAPA 펩타이드는 다양한 곤충에서 동정되었으며(Predel & Wegener. 2006), 생물학적 기능으로 초파리에서 건조와 저온에 대한 내성, 침노린재류 및 다른 곤충에서 말피기관에 이뇨작용 억제하는 기능이 보고되었다(Paluzzi, 2012; Paluzzi et al., 2010; Terhzaz et al., 2015).
- PK 펩타이드의 생물학적 기능으로는 많은 나방류에서 성페로몬 생합성 신호 전달(Raina et al., 1989), 후장근육의 수축과 이완조절(Holman et al., 1986), 체벽의 멜라닌제이션(Masumoto et al., 1990), 번데기 발육(Xu & Denlinger, 2003), 계절성 다면발현(Uehara et al., 2011)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총채벌레는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며 광식성 해충으로 화훼, 채소, 과일 등 원예 작물에서 큰 피해를 주며 식물 내 서식지로는 잎, 꽃, 눈, 잎집 등 식물의 전 부위에 서식하고 온실, 정원 및 노지 등 다양한 환경에서 발생한다. 대부분의 총채벌레는 흡즙 및 바이러스 매개를 통해 작물에 큰 피해를 끼치며 해충 종합적방제 체계를 파괴시킬 수 있는 강력한 해충이다(Demirozer et al., 2012; Morse & Hoddle, 2006; Mouden et al., 2017). 특히 꽃노랑총채벌레는 전 세계적으로 농작물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중요한 해충으로 산란, 섭식에 의한 피해 뿐만 아니라 토마토위조반점바이러스(TSWV)를 매개하여 경제적으로도 중요한 해충이다. 최근 꽃노랑총채벌레의 게놈 분석을 통한 화학 및 시각신호 수용, 기주식물의 탐색, 면역생리 등 분자생물학적 수준에서 접근을 통해 방제효율을 높이고자 하는 연구가 수행되었다(Rotenberg et al., 2020).
- 곤충의 행동과 내분비계를 조절하는 신경펩타이드인 PK와 CAPA펩타이드를 동정하고 특성 구명은 분자생물학적 수준에서 생리학적 과정을 탐색하고 또한 꽃노랑 총채벌레 방제를 위한 생물학적 작용점을 찾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꽃노랑총채벌레의 페로몬생합성과 생리조절인자 유전자인 pyrokinin와 capa 유전자를 동정, 유전자 구조, 발육단계 및 조직 간의 각 유전자의 발현특성을 구명하고 면역 세포화학적 분석을 통해 PK펩타이드의 체내 발현 패턴 분석을 통해 꽃노랑총채벌레의 페로몬 생합성 기작 구명과 이를 기반으로 한 방제기술을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
-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