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자원을 이용한 병해충 방제기술 개발
과제구분 어젠다 수행시기 전반기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명 연구분야 수행기간 연구실 책임자
   돌발 및 외래 병해충 확산 방지 및 친환경 방제 기술 개발 작물보호 ’18∼’24 환경농업연구과 최종윤
  생물자원을 이용한 병해충 방제기술 개발 작물보호 ’18∼’24 환경농업연구과 최종윤
색인용어  유용미생물, 병, 해충, 방제
 
□ 연구 목표
친환경농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미생물을 이용한 식물병해 방제뿐만 아니라 작물 생육을 촉진하는 미생물제제, 미생물비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농업에서 작물의 병을 방제하고 생산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다량으로 사용되고 있는 화학농약과 비료를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인 소재로서 미생물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Avis et al., 2008; Santoyo et al., 2012). 그 중 병해 방제로 가장 많이 연구되고 있는 바실러스는 non-ribosomal peptide synthetase (NRPS)와 polyketide synthase (PKS)를 이용하여 관련된 여러 항생제 및 다양한 휘발성 물질 등을 생산하여 병 저항성을 강화시켜 병 방제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Ongena et al., 2008; Insam et al., 2010; Raaijmakers et al., 2010; Chowdhury et al., 2015). 곤충병원성 곰팡이는 사람과 동물, 식물에는 무해하나 대상곤충에 대한 고도의 병원성을 가져 생물적 방제에 적합한 것으로 보고되었다(Lacey et al., 2001). 곤충의 섭식에 의해 감염되는 곤충병원성 바이러스 및 세균과는 달리 곤충병원성곰팡이는 곤충에 접촉하여 물리 화학 적으로 표피를 침투하여 기주 곤충의 면역작용을 차단하고 독성물질을 분비하여 곤충을 죽인다(Charnley et al., 1997). 또한 감염된 곤충병원성 곰팡이는 기주 곤충의 혈강 내에서 대량으로 증식하여 기주의 영양분을 고갈시켜 사망에 이르게 하고 죽은 곤충의 표피에서 형성된 포자는 다른 개체를 2차 감염 시키는 장점을 가진다(Hajek et al., 1994). 이러한 곤충병원성 곰팡이는 현재 Metarhizium, Beauveria, Isaria 등 85속 750여종이 알려져 있다(Supakdamrongkul et al., 2010).
이러한 미생물 제재를 사용하는데 있어 작물별로 적합한 적용방법에 대한 검토가 많이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토착 미생물을 수집하여 병·해충 방제용 미생물을 선발하여 친환경 병해충 방제 유용미생물의 현장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2018년부터 3년간 수행하였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