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농활용] Method for Optimal Management of Chrysanthemum Smart Greenhouse Cultivation Environment 국화 스마트온실 재배환경 최적 관리를 위한 방안연구배경
 국화 스마트온실에서 품질을 대표하는 분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정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 
국화 스마트온실 재배환경 최적 관리를 위한 방안
| 환경정보 | 단위 | 최대 | 최소 | 평균 |  
| 가을작기 _시설내부온도 | ℃ | 37  | 10  | 20.8  |  
| 가을작기 _시설내 습도 | % | 99 | 24 | 76.1 |  
| 겨울작기 _누적 일사량 | W/㎡  | 781.7 | – | 240.3 |  
| 봄 작기 _누적 일사량 | W/㎡  | 1,773.5 | 38.0 | 552.3 |  
계절별 분지수 생육을 예측하기 위한 회귀모형– 가을작기 Y분지수.포드1 = -451.6253 – 19.2461 X GDD.내부온도평균 – 3.3332X 평균.내부상태습도평균– 겨울작기 Y분지수.포드2 = -2.6147 – 0.5268 X 누적.일사량– 봄작기 Y분지수.포드3 = -6.35444 + 0.60071 X 누적.일사량 기대효과
계절별 스프레이 국화 분지수 생육상태로 분지수를 예측하여, 국화 시설하우스의 정밀한 환경관리 정보를 제공 연구자 : 경기도농업기술원 원예연구과 전명희, 031-229-5807, chun6474@gg.g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