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작물병해충 발생정보 제 2 회 (예보 2호)
|
||||||||||||||||
|---|---|---|---|---|---|---|---|---|---|---|---|---|---|---|---|---|
|
||||||||||||||||
|
|
||||||||||||||||
|
|
| 일자 | 5.14(월) | 5.15(화) | 5.16(수) | 5.17(목) | 5.18(금) |
|---|---|---|---|---|---|
| 날씨 | 구름조금 | 차차 흐려짐 | 흐리고 한 때 비 | 구름 많음 | 구름 조금 |
<주요실천사항>
벼 병해충
- 벼물바구미 : 가급적 기계상자모에 적용농약을 살포하여 방제하고 상자방제를 못한 논에는 모낸 후 10∼15일 사이에 방제
- 벼굴파리류 : 매년 피해가 발생되는 지역에서는 벼물바구미 방제시 벼굴파리와 동시방제 되는 농약선택
소득작물 병해충
- 포도 뿌리혹벌레 : 나무 주위를 자세히 관찰하여 발생초기에 방제
- 꽃노랑총채벌레, 아메리카잎굴파리, 온실가루이 : 발생초기부터 5∼7일 간격으로 3∼4회 방제
벼 병해충
1. 벼물바구미, 벼잎굴파리
벼물바구미가 어른벌레가 모낸 논으로 이동하여 벼 잎을 갉아먹기 시작하고 있습니다.
가급적 모내기 전에 적용약제별로 알맞은 양을 상자에 뿌려 방제하고 상자방제를 하지 않았을 때는 모낸 후 10∼15일 사이에 방제하되 벼잎굴파리가 해마다 발생하는 논에는 벼잎굴파리류와 동시에 방제되는 농약을 선택하여 주기 바랍니다.
가급적 모내기 전에 적용약제별로 알맞은 양을 상자에 뿌려 방제하고 상자방제를 하지 않았을 때는 모낸 후 10∼15일 사이에 방제하되 벼잎굴파리가 해마다 발생하는 논에는 벼잎굴파리류와 동시에 방제되는 농약을 선택하여 주기 바랍니다.
[ 벼물바구미 적용약제별 사용요령 ]
| 이앙당일 | 뉴명콤비, 칼립소, 아타라논, 리전트·리베로(상자당 50g), 마샬(상자당 60g), 카보, 온콜, 에카룩스입제(상자당 80g) |
|---|---|
|
이 앙 후 (본논살포) |
트레본입제(300평당 1kg), 메가톤, 에카룩스입제(300평당 3kg) 박멸탄수면전개제(300평당 200㎖ 원액 살포) 대쉬, 렐단, 두레, 델타네트, 카보입제(300g당 4kg) |
※ 상수원 인근지역에서는 가급적 저독성약제로 방제
소득작물병해충
1. 포도 뿌리혹벌레
전년도에 김포, 안성 등 포도주산단지에서 피해를 주었던 뿌리혹벌레가 금년에도 발생되어 확산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포도나무를 자세히 살펴보아 세력이 약하거나 새순자람이 부진하고 착과불량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나무 주위를 3∼10cm 깊이로 파보아 뿌리에 혹이나 흙속에 작은 어린벌레(1mm이하)가 보이면 포수수화제 등 적용약제 1,000배액을 주당 10ℓ정도씩 뿌려주거나 카보(큐라텔, 후라단, 카보텔, 카보단)입제를 10a당 4kg기준으로 나무 주위에 골고루 뿌린 후 물을 충분히 뿌려주기 바랍니다.
포도나무를 자세히 살펴보아 세력이 약하거나 새순자람이 부진하고 착과불량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나무 주위를 3∼10cm 깊이로 파보아 뿌리에 혹이나 흙속에 작은 어린벌레(1mm이하)가 보이면 포수수화제 등 적용약제 1,000배액을 주당 10ℓ정도씩 뿌려주거나 카보(큐라텔, 후라단, 카보텔, 카보단)입제를 10a당 4kg기준으로 나무 주위에 골고루 뿌린 후 물을 충분히 뿌려주기 바랍니다.
2. 포도 새눈무늬병
앞으로 잦은 강우가 지속될 경우 발생이 우려되니 햇가지, 잎, 과실 등을 자세히 살펴보아 발생초기에 신바람, 다모아, 로브랄, 델란, 지오판·코빈,안트라콜수화제 등 적용약제로 방제하여 주기 바랍니다.
3. 배·사과 붉은별무늬병, 검은별무늬병
앞으로 비가 자주 내릴 경우 붉은별무늬병이 발생될 것으로 예상되니 아직까지 방제를 하지 못한 과원에서는 약액이 잎양면까지 골고루 묻을 수 있도록 뿌려주기 바라며
검은별무늬병은 병이 발생된 후에는 방제 효과가 크게 떨어지므로 지난해에 발생이 많았던 과원에서는 반드시 사전방제하여 주기 바랍니다.
검은별무늬병은 병이 발생된 후에는 방제 효과가 크게 떨어지므로 지난해에 발생이 많았던 과원에서는 반드시 사전방제하여 주기 바랍니다.
- – 붉은별무늬병 : 바이코, 파아람, 바이피단, 신비론, 빈나리수화제 등
- – 검은별무늬병 : 바이코, 델란, 시스텐, 해마지수화제 등
4. 복숭아 잎오갈병
방제소홀한 일부 과원에서 잎오갈병이 발생되기 시작하고 있어 앞으로 비가 내리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과원을 자세히 살펴보아 병든 가지나 잎을 제거하고 발생초기에 델란, 다코닐·금비라 등 적용약제로 방제하여 주기 바랍니다.
과원을 자세히 살펴보아 병든 가지나 잎을 제거하고 발생초기에 델란, 다코닐·금비라 등 적용약제로 방제하여 주기 바랍니다.
5. 시설오이 노균병(예보)
온습도 관리가 불량한 시설하우스 오이 포장에서 노균병이 발생되고 있어 방제를소홀히 할 경우 피해가 늘어날 것으로 우려됩니다.
특히 노균병은 재배환경에 따라 발생차이가 크므로 기온이 급격히 떨어질 때는 야간온도 관리와 물주기 후 환기작업에 힘써 주기 바라며 병에 걸린 과실이나 잎은 제거한 후에 이코션·이카쵸, 센다닐, 아미스타, 가디안, 금마차, 오티바, 가벨, 카니발, 포룸, 포룸디, 에이스, 옹달샘, 새빈나수화제 등 적용약제로 농약안전사용기준을 지켜 방제하여 주기 바랍니다.
특히 노균병은 재배환경에 따라 발생차이가 크므로 기온이 급격히 떨어질 때는 야간온도 관리와 물주기 후 환기작업에 힘써 주기 바라며 병에 걸린 과실이나 잎은 제거한 후에 이코션·이카쵸, 센다닐, 아미스타, 가디안, 금마차, 오티바, 가벨, 카니발, 포룸, 포룸디, 에이스, 옹달샘, 새빈나수화제 등 적용약제로 농약안전사용기준을 지켜 방제하여 주기 바랍니다.
6. 아메리카잎굴파리, 온실가루이, 꽃노랑총채벌레
일부 시설하우스의 오이, 가지, 토마토 등에서 아메리카잎굴파리와 온실가루이가 발생되고 있으며 꽃노랑총채벌레는 시설하우스는 물론 인근 노지작물에서도 밀도가 늘어나고 있으니 적용약제로 2∼3회 방제하되 수확이 시작된 작물은 반드시 농약안전사용기준을 지켜 주기 바랍니다.
- – 아메리카잎굴파리 : 에이팜, 부메랑수화제, 제타스린, 퓨리, 아라린유제 등
- – 온실가루이 : 세베로, 체스, 다자비, 신기루수화제, 수프라사이드, 명궁, 데시스유제
- – 꽃노랑총채벌레 : 올가미, 아센드, 아타라, 파빌라수화제 등
7. 마늘 잎마름병
잎마름병 발생에 알맞은 기온이 이어지고 있어 비가 자주 내릴 경우 질소질비료를 많이 주어 연약하거나 비료기가 떨어져 생육이 불량한 밭에서는 잎마름병 발생이 우려됩니다.
배수구정비를 잘 해주고 잎마름병 발생초기에 코사이드, 아라리, 안트라콜수화제 등 적용약제로 방제하여 주기 바랍니다.
배수구정비를 잘 해주고 잎마름병 발생초기에 코사이드, 아라리, 안트라콜수화제 등 적용약제로 방제하여 주기 바랍니다.
8. 응애, 진딧물(예보)
기온이 높아짐에 따라 과수, 원예작물에 진딧물과 응애 발생이 늘어나고 있으니 과원의 새순이나 잎 뒷면을 자세히 살펴보아 잎당 2∼3마리 이상 보이면 적용약제로 방제하여 주기 바랍니다.
- – 진딧물 : 칼립소, 모스피란, 만장일치, 코니도, 화스탁, 불독, 메소밀수화제 등
- – 응 애 : 섹큐어, 보라매, 버티맥, 응애단, 방패단, 페로팔수화제, 밀베노크유제 등
– 친환경농업 실천으로 품질 좋은 농산물을 생산합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