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학적 특성

동충하초라는 이름은 겨울에는 곤충의 몸에 있다가 여름에는 풀처럼 돋아 나오는 모습에서 연유되었다.

  • 이러한 동충하초는 자연생태계 내에서 곤충 집단의 밀도를 조절하기도 하지만 최근 한방약재로 또는 해충 방제에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람들에게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 중국에서는 옛날부터 동충하초를 진귀한 약제로서 이용되어 왔고 네팔에서는 왕족들만이 먹고 서민들은 음용을 금지할 정도로 귀중하게 취급하고 있다.
  • 동충하초는 자연에 많이 존재하지만 적기 채취가 곤란하고 자연산 만으로는 증가되는 수요를 충족시키기가 어렵다.
    이에 우리나라에서는 최근 눈꽃동충하초 및 번데기동충하초를 중심으로 재배가 시작되었고 또한 이들에 대한 약리적 효능에 관해서 연구되고 있다.
가. 동충하초균의 분류
동충하초는 균이 곤충을 침입하여 곤충을 죽게 한 후 기주로부터 자좌를 형성하는 버섯을 말한다. 그러나 균이 곤충을 침입하여 곤충을 죽게 할지라도 자좌를 형성하지 않고 기주의 표면에 무성생식 기관인 분생포자를 형성하는 종류도 있다. 곤충을 침입하는 대개의 곰팡이균은 자좌를 형성하지 않으며 분생포자를 생산하는 것들이 대부분인데 이들의 분류는 분생포자의 형태 즉 분생포자가 분생자병 또는 소병에 접착한 형태에 따라 분류한다. 자좌를 형성하는 동충하초의 대부분은 자낭균강(Ascomycetes) 매각균목(Clavicipitales) 매각균과(Clavicipitaceae)에 속하는 Cordyecps, Podnectria, Torrbiella등이 있는데 대표적인 종은Cordyecps종이다. 공통적으로 자좌는 머리부분과 자루로 구성되었다. 머리부분의 표면에 알맹이 모양의 유공자낭각을 만들고 자낭각내에는 주머니 모양의 자낭이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자낭내에는 실모양의 자낭포자를 형성한다. 자낭포자가 성숙하면 선단의 구멍이 열려 공중에 포자를 비산하여 곤충의 몸에 접착하게 된다. 동충하초는 자좌, 자낭각, 자낭, 자낭포자로 구성되었다. 동충하초속균의 분류는 기주이외에 자좌의 모양 즉 머리부분의 형태, 머리부분이 자루에 접착한 형태, 자낭각, 자낭과 자낭포자의 모양, 자낭포자가 이차포자로 분열하는지의 여부등이 중요한 분류기준이 되고 있다.
다. 동충하초의 형태
동충하초균은 토양 어디서나 살수 있는 균으로 2개의 생활사를 가지고 있는 자낭균류의 하나이다. 동충하초균은 자연계에서 완전세대(또는 자낭각세대)라고 부르는 유성세대와 불완전세대(분생포자세대)라고 부르는 무성세대의 완전히 다른 두 종류의 생활사를 함께 갖고 있다.
자낭각을 가진 자좌를 형성하는 동충하초를 유성세대라 하고 번데기동충하초가 이에 속한다. 분생자경속에 분생포자를 형성하는 동충하초를 무성세대라고 하며 대표적으로 눈꽃동충하초를 들 수 있다. 동충하초의 자낭포자를 발아시켜서 무성세대를 만들어 낼 수도 있는데, 이것은 유성세대와 무성세대가 서로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나 접종을 한 분생포자는 특별한 배양조건을 주지 않으면 유성세대의 동충하초를 만들어 내지 못한다. 이것은 유성세대와 무성세대가 서로 독립적인 생활을 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주며 각각 그 자체로 유성세대와 무성세대의 특성을 지니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동충하초균은 자낭포자나 분생포자를 형성하여 곤충들의 활발한 활동시기인 봄, 여름, 가을에 살아있는 곤충의 호흡기, 소화기, 관절 등의 부드러운 부분에 붙어서 발아한다. 발아한 포자는 발아관을 형성하여 곤충체내에 침입하고 충체내 영양분을 섭취하면서 균사를 뻗어 결국 곤충을 죽게 한다. 일단 균사가 곤충체내를 완전히 메우게 되면 곤충의 형태는 그대로 유지되고 전체가 딱딱한 균핵으로 변하게 되는 것이다. 유충에서 형성된 내생균핵을 볼 수 있다. 이렇게 해서 형성된 내생균핵은 땅속에서 겨울을 지낸 후 그 다음 여름에 동충하초를 형성한다. 동충하초가 나오는 부분을 일률적으로 말 할 수는 없지만 주로 입, 가슴, 머리, 배에서 자좌를 형성하여 자낭포자나 분생포자를 대량으로 뿜어내어 곤충에 접촉 침입함으로써 균사가 자라 곤충 몸안에서 내생균핵을 만들고 환경이 좋아지면 동충하초를 형성하게 된다.
나. 동충하초의 생활사
동충하초는 머리와 자루로 되어 있는데 이것을 통틀어서 자좌라고 한다. 자좌는 자실체라기도 하고 널리 사용되는 말은 ‘동충하초’이다. 동충하초균이 형성하는 자좌는 자낭각이 분포하는 머리와 이를 지탱해 주는 자루로 구성되어 있으며, 어떤 좋은 부속사를 형성하는 것도 있다. 자좌의 모양은 구형, 곤봉형, 주발형, 피침형, 작은 돌기형, 산호형, 긴 타원형, 고개 숙인형, 눈꽃형, 국수형 등으로 분류되고, 머리에 자낭각 또는 분생포자가 형성된다. 자좌의 색채는 붉은 색, 노란색, 자주색, 초록색, 검은색, 흰색, 주황색, 올리브색 등으로 다양하며, 조직은 공통적으로 탄력이 있으며 비교적 연한육질, 강한 섬유육질, 유연한 연골질 등으로 되어 있다.
동충하초는 공통적으로 버섯 특유의 냄새가 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머리에 자낭각이 분포한 형태에 따라서도 묻힌 형, 반 묻힌 형, 비스듬히 묻힌 형, 돌출형, 착의형 등으로 분류되며, 자루와 연결된 머리의 위치에 따라서 정생(頂生), 중간생, 측생(側生)의 세 가지 형태로 나누어 진다.
이와 같이 동충하초는 여러 가지 특징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중간형의 머리를 가지고 있느 종들 중에는 부속사를 가지고 있는 종류도 있다. 묻힌형의 자낭각을 가지고 있는 종들에서 자루의 조직과 부속사의 존재유무가 종을 동정(同定)하는 근거가 되지만, 돌출형의 자낭각을 가지고 있는 종들을 자낭각이 머리의 전반부를 덮고 있지 않고 많은 부분들을 매우 길고 자루와 모양이 같으면 중간생으로 분류하는 것이 적합하며, 측생형의 머리는 보통 부풀어 있는 자낭판을 가지고 있다. 어떤 경우는 하나의 자좌에 측면 또는 맨 꼭대기에 2~3개의 자낭판을 형성하는데, 돌출형의 자낭각을 가진 동충하초는 머리의 위치가 분류상에서 의미를 가지지 못한다. 반면, 묻힌형의 머리를 가진 동충하초는 측생, 정생, 중간생으로 나누어 아절을 구분하는 특징이 된다. 동충하초는 자낭각과 자낭포작가 기주 내부에 형성된 균핵에서 자좌를 외부로 내어 형성된 버섯으로, 머리, 자낭각, 자낭, 자낭포자로 구성된다. 그 중 자낭과 자낭포자는 동충하초의 종을 분류하는데 아주 중요하므로 성숙한 자낭과 자낭포자의 관찰이 필요하며, 미숙한 자좌를 그대로 표본으로 고정시켜 버리면 자낭 포자를 관찰할 수 없기 때문에 신종이라도 분류가 어렵다. 그러므로 미숙한 상태에서 채집된 표본은 그대로 실험실에서 자좌의 머리에 포자가 성숙할 때까지 인공적으로 배양하여 관찰하는 것이 필요하다.
라. 발생환경
동충하초는 버섯의 일종이므로 일반적인 버섯의 생육 환경과 비슷한 생육조건하에서 발생한다. 이 버섯은 다른 버섯과 달리 상당히 까다로운 생육환경을 선호하고 있는데 대개의 경우 공기가 청정하고, 공중습도가 높으며, 적당한 나무그늘이 조성되어 있고, 자연상태로 유지된 장소에서 잘 발견된다. 고가의 한방약재로 사용하고 있는 중국산 동충하초(csinensis)의 경우는 특히 생육환경이 까다롭다. 그래서 극히 한정된 지방에서만 채취할 수 있는데 4월경 해발 3,000~4,000m의 고산에서 눈이 녹기 전에 채취하는 것이 최적기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동충하초를 발생하는 환경은 기주가 되는 곤충에 유리한 환경과 일치하게 되어 침엽수림대 보다는 활엽수림대에서 많은 종류의 동충하초가 발견된다. 잘 발견되는 장소로는 활엽수림대에서도 수령이 15년 이상 되고, 계곡을 양옆으로 끼어 습기가 있으며 낙엽층이 두터운 부식토가 쌓여 있는 곳에서 주로 발견된다. 한국에 분포하는 동충하초의 종류는 여러 가지이며 그 종류에 따라 채집장소도 다르다.
마. 발생장소
동충하초는 다른 버섯과는 달리 살아 움직이는 곤충에 기생하여 곤충을 죽게 한 후 발생하는 버섯이다. 그러므로 발생하는 장소는 기주가 되는 곤충의 밀도, 종류, 서식지 환경과 생활사에 깊은 관계가 있다.
기주가 되는 곤충이 땅 속에 존재하고 충체로부터 발생한 자좌가 땅 위로 뻗는 동충하초는 기주가 주로 땅속에서 생활하는 매미과, 풍뎅이과, 방아벌레과, 먼지벌레과, 딱정벌레과의 유충이나 번데기 등이다. 대표종으로는 번데기동충하초, 박가시유충동충하초, 유충검은점박이동충하초, 붉은자루동충하초 등이 있다.
낙엽층 위로 자실체를 발생시키는 동충하초는 낙엽층이 두텁게 쌓인 삼림내에서 발견된다. 이에 속하는 동충하초로는 대부분이 성층을 기주로 하여 형성되는 종들이다. 대표적으로는 노린재동충하초, 벌동충하초, 거품벌레동충하초, 풍뎅이동충하초, 흰가시나방동충하초, 눈꽃동충하초등이 있다.
죽은 나무속에 있는 곤충에서 형성되는 동충하초는 나무에 구멍을 뚫어 그 속에서 생활하는 갑층류 또는 나방류의 유충이나 성충에서 발견된다. 이는 자연계에서 일어나는 목재 부후현상과는 육안으로도 용이하게 알 수 있으며 주로 땅위에서 생활하는 잠자리과등에서 볼 수 있다. 대표종으로는 유충검은점박이동충하초, 유충흑색동충하초, 잠자리동충하초, 눈꽃동충하초와 거미동충하초등이다.
곤충에 침입하여 땅위에 형성되는 동충하초는 땅위, 나뭇가지나 나뭇잎위 또는 이끼위에서 발견된다. 이러한 동충하초의 기주가 되는 곤충으로는 거미, 번데기, 개미 등이 있다. 대표종으로는 거미동충하초, 잠자리동충하초, 흰가시나방동충하초, 나방동충하초 등이 있다.
바. 발생시기
한국과 같이 사계절이 뚜렷한 온대지방에서 자실체가 발견되는 시기는 주로 5월 하순부터10월 하순까지로, 번데기동충하초와 같이 버섯의 조직이 연하고 쉽게 부서지는 것은 습도가 높아지고 온도가 상승하는 시기인 장마철을 전후로 자실체의 생장이 가장 활발하기 때문이다.
눈꽃동충하초 는 주로 포자가 잘 날리는 분생자병속을 형성하는 것으로 장마철이 지난 후부터 10월 하순까지도 채집을 할 수 있다. 동충하초균이 충체내에서 균핵으로의 생존기간은 적게는 1년에서 수년간에 이르는 것도 있다.
이러한 균핵이 일단 충체 밖으로 자좌가 형성되면 자실체가 성숙하여 자낭포자를 방출하기까지는 각각의 동충하초균에 따라 다르지만, 약 1~2개월이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실체는 포자의 방출이 끝나면 기주와 함께 섞어버리는 것이 보통이다.

재배기술

가. 동충하초 균주 배양 및 증식
동충하초의 재배는 균주의 증식이라고 하여도 지나치지 않을 정도로 이는 전 생산과정의 70~80%를 차지하고 있다. 생산과정을 개략적으로 보면 균주 증식에 의한 종균(접종원) 제조과정과 이를 배지에 이식하여 증식시켜서 자실체를 발생시킬 수 있는 과정을 말할 수 있다.
현재까지는 동충하초균을 배양하여 분양하는 곳도 없고 고시되어 등록된 품종도 없어서 현 시점에서는 재배자 자신이 스스로 균주를 수집하여 우수한 것을 따로 보관 증식하면서 사용하여야 한다. 즉 재배자가 균주보존은 물론 이를 증식배양과 재배과정을 모두 거처야 한다. 원균은 외국이나 국내에서 구입하거나 또는 채집하여 순수 분리한 후에 사용하여야 한다.
1) 원균 배지제조 및 살균
보존 및 증식 배지로서는 시험관 또는 페트리 디쉬에 살균된 감자 한천 배지(PDA)를 분주하여 사용하면 된다. 감자 한천 배지는 물 1,000㎖기준으로 하여 감자 200g을 끓인 물에 설탕 18g, 한천18g을 각각 넣어서 제조하였다. 이때의 배지 살균은 고압 살균기에서 121℃로 15~20분간 실시하며 접종 이식작업은 무균실에서 실시한다. 원균은 평판배지에 이식시킨 다음 25℃의 정온기에서 7일정도 배양하면 된다. 액체 배지양은 삼각 플라스크 또는 2,000㎖크기의 유리병을 사용하여 증식하였다. 이때의 사용배지는 감자설탕배지(PDA)로서 한천이 안 들어가는 액체 상태로 사용하여 배양하고 액체 배지는 물 1,000㎖에서 감자 200g을 끓인 후 설탕18g을 넣어서 만든다. 살균시에는 250㎖크기의 삼각 플라스크에 액체배지 100~150㎖정도를 분주 후 121℃에서 20분간 고압살균을 실시한다.
2) 원균제조시 균주 접종 이식작업
균주 접종 장소는 무균실로서 청결하고 잡균이 없어야 한다. 알콜램프에 의한 화염소독을 하면서 주의깊게 접종작업을 하여야 한다. 지금까지 제조 살균된 배지에 균주를 이식할 때에는 고체배지에서는 소형크기의 균주를 백금이(스페출라)로 램프 가까이에서 이식하였다. 액체 배지에 균주 접종시에는 배지가 25℃로 식었을 때에 고체 접종원 균총 끝부분을 콜크볼라로 찍어서 한병당 3~5개씩 이식 접종한다. 접종한 액체 종균은 25℃에서 150rpm(알피엠)의 속도로 진탕배양기에서 4~7일 동안 암배양을 하였다.
3) 버섯발생 배지제조 및 접종작업
버섯발생을 위한 배지제조 방법이 아주 중요하다. 왜냐하면 동충하초는 느타리버섯처럼 볏짚이나 폐솜배지를 대량으로 만들 필요가 없이 밀폐된 종균병이나 삼각 플라스크에 배지를 넣은 후 살균하여 그곳에 이식접종하여 그 안에서 버섯을 발생시키는 것이기 때문이다.
배지제조 과정은 다음과 같다.
건조 현미를 하루저녁 동안 물에 담아두었다가 건물을 빼낸다.
번데기와 현미를 잘 섞어가면서 전체 수분을 75%정도로 높게 조절한다.
플라스틱 병 850~1,000㎖에 배지를 35~50g씩 넣은 후 면전 마개를 한 후에 고압살균기에서 121℃(15파운드)에서 20분 정도 살균시킨다.
살균된 배지는 25℃까지 하강시킨 다음에 고체 종균은 1~2 숟가락씩 이식하고 액체종균은 5~15㎖씩 무균실에서 이식한다.
4) 버섯발생을 위한 배지의 균사배양
배양실의 유지온도는 25℃에서 암배양 즉 어두운 곳에서 실시한다. 광선이 비치게 되면 균사생장이 완료되기 전에 일부에서 버섯발이가 생기기 쉽기 때문이다.
배양실의 습도는 70~80%를 정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배양실은 항상 청결하게 관리하여야 하고 잡균이 발생되기 때문에 이점에 항상 유의하여야 하고 잡균이 발생된 배양병은 즉시 제거하여 처리하여야 한다.
5) 버섯발생 및 생장관리
동충하초의 균사생장은 비교적 잘 되지만 대개의 경우 버섯발생이 안되어 대량생산에 한계가 있고 상품화 하는데 문제점이 있다.
실제 재배농가에서도 버섯발생 문제 때문에 크게 고생할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므로 중국, 일본에서는 이를 액체 배양하여 균사체 형태로 이용하는 공법이 크게 발전되어 있다.
동충하초 중에서도 눈꽃 동충하초는 비교적 버섯발생이 잘 되지만 번데기 동충하초는 약간 어려운 것을 경험하게 되었다. 그러나 Cordyceps sinensis는 버섯발생이 극히 어렵고 균주 구하기가 극히 어렵기 때문에 인공재배가 확립되기에는 많은 기간이 더 있어야 될 것으로 추측된다.

나. 눈꽃 동충하초(Paecilomyceo japonica)

1) 배지제조
배지재료는 누에번데기, 현미, 호밀, 옥수수등 비교적 광범위하게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이들 배지를 끓이거나 수분과 고온이 있게되면 물리성이 변하여 조직이 엉기거나 서로 굳어져서 공극량이 적어지게 되기 때문에 균사 침투가 잘 안되는 문제점이 있다. 수준조절시 또는 입병작업 또는 배양시에도 이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배지제조용 용기로서는 900㎖ 크기의 유리병 또는 내열성 플라스틱 배양병에 배지가 밑부분에 약간씩만 깔리도록 넣어서 재배한다.
2) 버섯발생
버섯 발생이 비교적 손쉬운 종으로서 인공재배 하기에는 비교적 양호한 종이다. 버섯은 진한황색을 띄우면서 가늘고 길게 커서 마치 실같은 풀이 자라오른 것 같다. 버섯 발생을 유도하기 위하여서는 온도를 17~20℃로 하여야 하고 습도는 70~80%로 유지하여야 한다. 다음 조건으로서는 광(빛)이 아주 중요한 요인이 된다. 눈꽃 동충하초는 광이 없으면 전연 버섯발생이 안되고 균사 생장만 지속된다. 그러나 100~700룩스 정도 즉, 작은 글씨가 보일 정도의 광도가 있으면 버섯발생이 5~7일 만에 시작되게 된다. 그러나 광도가 이보다 낮으면 버섯발생이 안되거나 약하게 된다.
3) 버섯 생육
버섯이 자랄 때의 환경조건은 버섯발생시의 조건과 동일하다. 즉 유지온도는 17~20℃로 하고 광도는 100~700룩스로 맞추어 주어야 한다. 그리고 습도는 70~80%로 유지하면 된다. 이때에도 역시 밝은 빛이 있어야 버섯생육이 촉진된다. 이때의 광도는 형광등이나 백열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생육기간은 15~20일간 관리 유지하면 된다.
4) 버섯 수확
버섯이 배양병의 입구까지 자라거나 자실체의 끝이 분화되어 포자가 형성되기 시작하면 수확하여야 한다. 배지제조 후 접종된 병에 대한 수확 수율은 95%정도로서 수율이 높은 비교적 재배하기 손쉬운 종류의 하나에 속한다. 눈꽃 동충하초는 균사가 어느 정도 자라면 그 끝에서 수많은 무성세대의 분생포자가 형성되게 한다. 이들 포자는 번식력이 강하여 다른 유용한 균에 혼입되기가 쉽고 다른 버섯균의 배양시에는 오염될 수 있으니 이점에 주의하여야 한다. 수확된 버섯은 포자가 공중으로 비산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고 장기간 보관시에는 저온저장 하거나 동결건조 시켜서 상품화하여야 한다.
다. 번데기 동충하초(Cordyceps militasis)
번데기 동충하초는 중국에서는 코디셉스 시넨시스 다음으로 애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재배하기는 중간정도의 난이도를 가지고 있다.
1) 배지제조
사용되는 공병은 유리병으로 900㎖ 크기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는 광선 투과는 잘되는 장점이 있으나 취급이 어렵고 버섯 수확시에 불편한 점이 있다. 보통은 반투명한 내열성 플라스틱 병 850㎖를 사용하고 있다.
배지재료로서는 누에 번데기, 현미, 호밀, 옥수수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누에 번데기는 중국에서 누에고치로 수입된 것에서 견사를 빼내고 부산물로 산출되는 것을 사용하면 공해물질이 없는 순수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현미 등 곡물은 번데기의 과습된 상태의 수분을 맞추는데 보조적으로 첨가하는 것으로 사용한다.
2) 버섯발생
버섯이 발생되도록 환경조건을 유지시켜 주어야 한다. 이때의 온도는 15~20℃이며 습도는 70~90%를 유지시켜 주어야 한다. 또한 광도는 높게 1,000~3,000룩스를 비추어 가면서 5~10일간 관리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환경조건은 대체적으로 눈꽃 동충하초보다 높고 강하게 유지시켜야 하는 점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광도를 높게 유지 조절시켜 주는 것이 핵심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버섯 발생 소요기간은 5~10일 정도이다. 버섯이 발생될 때에는 균사가 흰색에서 황색으로 변한 후 다시 시간이 지나면 적갈색으로 변화하는 것이 특징이다. 버섯 발생율이나 수율은 눈꽃 동충하초보다 약간 떨어지는 경향이다.
번데기 동충하초의 형태이미지
3) 버섯생육 및 수확
생육시의 환경조건으로서 온도 및 습도로서는 버섯발생시의 조건과 동일하게 관리하면 된다. 그러나 광도만큼은 약간 강하게 하고 오래 지속시켜주어야 한다. 광도조절은 형광등 또는 백열등으로 조절하여 주었다. 버섯이 생육하는데 소요되는 기간은 15~40일 정도로서 긴 기간이 요구된다. 버섯이 발육되면 생육조건만 맞으면 큰 무리 없이 생육될 수 있다. 이때에도 가장 유의할 점은 빛과 충분한 수분이 유지되어야 하는 것이 중요한 사항임을 다시 한번 강조한다. 실내 습도는 90%정도로 높게 유지하여야 한다.
그러나 버섯 생장시에 실내 습도가 이보다 높게되면 병마개를 4시간정도 열었다가 다시 닫아주어야 한다. 버섯이 병 입구까지 생장하였을 때 또는 자실체가 45~50mm정도로 생장하면 수확 할 수 있다.
동 버섯은 발생된 형태 그대로 건조시키는 것이 상품가치가 높고 모양도 양호함으로 이점에 주의하여야 한다. 버섯 발생 및 수확시기까지의 수확된 버섯의 수율은 접종된 배양병을 기준으로 하여 85%정도로 약간 낮은 것이 특징이다.
라. 곡물 배지를 이용한 동충하초 재배법
식용 가능한 곡물을 배지재료로 하여 동충하초 재배법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1) 배지재료
배지재료로서는 현미, 밀, 백미 등을 사용하는 것이 균사 생장이 빠르고 이들 재료를 단독재배 보다는 첨가제와 혼합처리 하는 것이 양호한 균사 생장을 보이는데 첨가제로는 분유와 미강이 좋으며 첨가량은 20%수준에서 배양적 특성이 양호하다. 이때 배양기간은 25~30일이 소요되며 수분 조절을 위해 가수량은 125~150% 정도가 적당하다. 대량 생산을 위해서 850cc의 PP병 용기에 배지 량은 600g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가장 높음.

〔표 8-1〕배지 첨가제(버섯시험장, ’99)

배지 첨가제 표
처리내용 백 미 백미+분유(8:2)
설화동충하초 번데기동충하초 설화동충하초 번데기동충하초
배양일수(일) 15 25 16 26
초발이 소요일수(일) 9 41 10 46
생육일수(일) 30 32 32 30
수량(g/㎡) 14 11 31.8 22.7
수량지수 100 100 227 206

〔표 8-1〕배지 첨가제(버섯시험장, ’99)

발이 및 생육환경
처리내용 발이 및 생육온도 광조건(250Lux)
25℃ 20℃ 무처리 적색
초발이 소요일수(일) 12 12 10 10
생육일수(일) 33 32 31 32
수량(g/㎡) 31.6 32.4 26.5 27.9
수량지수 100 103 100 105
곡물재배(백미80+분유20%) 동충하초 : 인중생산

2) 버섯 발생 및 수확
발이 및 생육 온도는 20~25℃가 적정하며 초발이 소요일수 및 생육일수 모두 온도가 높아질수록 단축된다. 균사의 활착은 24℃ 내외가 적당하나 자실체 형성을 위한 발이 유기는 20℃ 내외가 적당하다. 25℃ 이상에서는 자실체를 형성하지 않는 수가 있다. 습도는 70~80%로 유지하고 재배 용기의 뚜껑을 닫고 배양 및 생육과정을 거쳐 자실체를 형성하는 것이 양호 결과를 얻을 것이다. 발이시 광도는 250Lux 정도가 적당하며 광조건은 적색광 혹은 형광등 조사가 적절하다. 버섯이 생육하는데 소요되는 기간은 30~40일 정도로서 긴 기간이 요구된다. 발이 개체 수는 20~60개 정도가 되며 자실체가 45~50㎜ 정도 성장하면 수확할 수 있다. 버섯은 발생된 형태 그대로 건조시키는 것이 상품 가치가 높고 모양도 양호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