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배기술-우량품종 육성)선두강낭콩 육성
|
||||||||||||||||||||||||||||||||||||||||||||||||||||||||||||||||||||||||||||||||||||||||||||||||||||||||||||||||||||||||||||||||||||||||||||||||||||||||||||||||||||||||||||||||||||||||||||||||||||||||||||||||||||||||||||||||||||||||||||||||||||||||||||||||||||||||||||||||||||||||||||||||||||||||||||||||||||||||||||||||||||||||||||||||||||||||||||||||||||
---|---|---|---|---|---|---|---|---|---|---|---|---|---|---|---|---|---|---|---|---|---|---|---|---|---|---|---|---|---|---|---|---|---|---|---|---|---|---|---|---|---|---|---|---|---|---|---|---|---|---|---|---|---|---|---|---|---|---|---|---|---|---|---|---|---|---|---|---|---|---|---|---|---|---|---|---|---|---|---|---|---|---|---|---|---|---|---|---|---|---|---|---|---|---|---|---|---|---|---|---|---|---|---|---|---|---|---|---|---|---|---|---|---|---|---|---|---|---|---|---|---|---|---|---|---|---|---|---|---|---|---|---|---|---|---|---|---|---|---|---|---|---|---|---|---|---|---|---|---|---|---|---|---|---|---|---|---|---|---|---|---|---|---|---|---|---|---|---|---|---|---|---|---|---|---|---|---|---|---|---|---|---|---|---|---|---|---|---|---|---|---|---|---|---|---|---|---|---|---|---|---|---|---|---|---|---|---|---|---|---|---|---|---|---|---|---|---|---|---|---|---|---|---|---|---|---|---|---|---|---|---|---|---|---|---|---|---|---|---|---|---|---|---|---|---|---|---|---|---|---|---|---|---|---|---|---|---|---|---|---|---|---|---|---|---|---|---|---|---|---|---|---|---|---|---|---|---|---|---|---|---|---|---|---|---|---|---|---|---|---|---|---|---|---|---|---|---|---|---|---|---|---|---|---|---|---|---|---|---|---|---|---|---|---|---|---|---|---|---|---|---|---|---|---|---|---|---|---|---|---|---|---|---|---|---|---|---|---|---|---|---|---|---|---|---|---|---|---|---|---|---|---|---|---|---|---|
|
||||||||||||||||||||||||||||||||||||||||||||||||||||||||||||||||||||||||||||||||||||||||||||||||||||||||||||||||||||||||||||||||||||||||||||||||||||||||||||||||||||||||||||||||||||||||||||||||||||||||||||||||||||||||||||||||||||||||||||||||||||||||||||||||||||||||||||||||||||||||||||||||||||||||||||||||||||||||||||||||||||||||||||||||||||||||||||||||||||
『선두강낭콩』육성 Sundoo-kangnangkong has determinate growth habit, kidney type seed. It has good characteristics for marketing quality for green shell bean : shell and grain have pale yellowish-white base color and clearly red-pink secondary(spot) color, 100 grain fresh weight is 86g. This www.variety is relatively resistant to lodging and anthracnose, and early ripening type. Sundoo-kangnangkong contains more protein and total sugar in harvested grain. Its green grain yield of was 7% higher compared to with check variety Kangnangkong-1. This variety would be adaptable to near Kyonggi cultivated area. Key words : Kidneybean, Variety, Selection, Sundookangnangkong 1. 육성배경 강낭콩(菜豆, Kidney bean: Phaseolus vulgaris L.)은 식물학상 콩과(Leguminosae)에 속하는 1년생 초본으로 건조된 종실은 당질 61%, 단백질 21%, 지질 2%를 함유하고 있으며 생두는 단백질외에도 비타민 A, B₁B₂ 및 C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주요용도는 밥에 넣어 먹거나 떡과 과자의 속으로 이용되고 생협과 생두는 두과채소로 이용되며 주로 우리나라에서는 생두를 밥밑콩으로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강낭콩의 생산량은 두류 총 생산량의 30%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중 5%가 아시아에서 생산된다. 우리나라는 강낭콩 수요증가에 따라 1990년에 0.1톤을 수입하였으나 매년 증가되어 1993년 9.200톤 2000년에는 13만톤으로 급격히 증가되고 있다(2001 농산물유통공사). 국내 강낭콩 재배면적은 1993년 2,436ha이던 것이 1995년 2,805ha, 2000년 3,722ha로 점차 증가하였으며(농림부, 2001) 주로 생두용이며 이 중 경기도는 207ha로 주산지는 여주, 이천지역이다. 국내에서 생산된 강낭콩(건조)는 수입산에 비하여 가격경쟁력이 약하나 생두용은 수입과정에서 선도유지에 드는 비용이 많아 가격경쟁력이 있어 생두용강낭콩 재배가 일반적이다. 강낭콩 재배는 pH 5.5이하의 강산성토양을 제외하고 토질을 가리지 않고 재배할 수 있고(표현구 등, 1993) 저온에서도 잘 견디는 온난성작물로 비교적 재배가 쉽다. 생육기간은 90일정도로 매우 짧아 타작물의 전후작작물로 알맞고 노동투하량이 적어 이모작 등 작부체계에 적합하여 토지이용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조재영, 1986) 그러나 강낭콩은 파종적기인 4월 중순에 파종하면 등숙시기에 여름철 장마가 겹치고 고온다습한 경우에는 탄저병 등의 병해를 받기 쉽기 때문에 품질 및 수량이 낮아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병해 등 재해에 강하고 재배가 쉬우며 품질이 우수하고 수량이 많은 생두용강낭콩 품종 육성이 요구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1993년에 육성된 강낭콩1호가(홍은희 등, 1993) 유일한 품종으로 재배확대를 위해서 특성이 다양한 품종이 요구되고 이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 탄저병 등 병해에 강하고 수량성이 높으며 시장성이 좋은 강낭콩신품종 `선두강낭콩`을 육성하였다. 2. 육성경위 선두강낭콩은 내병다수성 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 1994년에 전국에서 수집된 강낭콩재래종 36계통에서 1995∼1997년까지 특성검정한 결과 내병다수성으로 유망한 계통을 순계분리하여 육성된 품종이다. 이 계통은 1997∼2001년까지 4년간 생산력 검정 및 화성, 연천, 이천 지역에서 지역적응성을 검정한 결과 병해에 강하고 수량성이 높으며 협 및 종피색이 우수한 경기2호를 선발하여 2001년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농진청 2001)에서 새로운 우량품종으로 지정하고 `선두강낭콩`으로 명명하여 경기일원에 보급하게 되었다.
그림 1. 육성계통도
그림 2. 육성계보도 3. 주요특성 선두강낭콩은 도복에 강한 편이며 탄저병 등에 저항성으로 재해에 강하며 생두백립중이 무거운 대립다수성인 왜성 강낭콩품종이다. 또 성숙이 빠른 조숙종이며 꼬투리 및 종피는 백색바탕에 선명한 붉은 무늬가 있어 시장 기호도가 높으며 용도는 생두용이다. 가. 고유특성 선두강낭콩은 표 1과 같이 신육형은 왜성이며 배축색이 녹색이다. 잎의 색은 연녹이며 모양은 장환형이다. 꽃색은 분홍으로 성숙협은 황백색 바탕에 적색무늬, 종피는 백색바탕에 선명한 적색무늬가 있으며 종실은 타원난형인 생두용 품종이다. 표 1. 『선두강낭콩』의 고유특성
※ ( )의 숫자는 UPOV 기준에 의한 분류임 표 2와 같이 개화기는 5월29일, 풋강낭콩(생두용)성숙기는 7월 1일로 강낭콩1호보다 2일 빠른 조숙종이며 경장은 27cm로 강낭콩 1호보다 4cm정도 작아 도복에 강하고 개체당 협수는 적고 협장은 다소 작으나 협폭이 넓은 특성이 있다. 한편 생두백립중이 85.8g정도인 대립종으로 생두용에 적합한 품종이다. 표 2. 생육 및 수량구성요소
품질특성을 조사한 결과 표 3과 같이 선두강낭콩은 강낭콩 1호에 비하여 단백질함량 0.7%, 총당 0.9%정도 높아 영양적으로도 우수한 품종이이다. 표 3. 종실의 성분 (2001 지적, %)
다. 병해충 저항성 병해저항성은 표 4와 같이 수량감소와 품질을 떨어뜨리는 탄저병 발생정도(0∼9)은 화성, 연천. 이천지역에서 선두강낭콩은 0∼2로 강낭콩 1호의 2∼3에 비하여 경미하게 발생되었고 바이러스병은 발생되지 않아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표 4. 병해 발생
♩ 2001년 지적시험 1997∼1998년 경기도농업기술원 전특작 포장에서 생산력 검정 결과 표 5와 같이 선두강낭콩은 강낭콩1호에 비하여 1997년 및 1998년 모두 증수하여 2개년 평균 16% 증수되었다. 표 5. 생산력검정시험
1998∼2001년 연천, 화성, 이천 3개지역에서 4개년 동안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표 6과 같이 강낭콩1호 512kg/10a에 비하여 10a당 생두수량이 37㎏ 많은 7% 더 증수되어 수량성이 높은 품종이었다. 표 6. 지역적응시험시험의 수량성
마. 재배상 유의점 강낭콩은 봄철에 되도록 빨리 파종하여 조기에 출하할수록 가격이 높아 지므로 파종기에 지온이 낮은 지역에서 비가림하우스 재배시 이중터넬과 보온시설로 지온을 상승시켜 출아 및 초기생육을 촉진시켜야 한다. 노지재배시에는 비닐피복등으로 지중온도를 높이는 것이 좋다. 또 강낭콩은 내병성은 강하나 배수불량지나 연작지는 피하고 종자채취시 병해주를 제외하여야 그 다음해 종자전염병을 경감시킬 수 있다. 특히 선두강낭콩은 강낭콩 1호에 비하여 분지수 및 개체당 협수가 적으므로 다소 밀식하는 것이 단위면적당 개체수를 많이 확보할 수 있어 다수확을 할 수 있다. 4. 적요 『선두강낭콩』는 내병다수성 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 1994년에서 전국에서 수집된 재래종 143계통에서 협 및 종피색이 우수하고 내병다수성으로 유망한 계통을 순계분리하여 2001년 육성된 품종으로 내병성이 뛰어나고 수량성이 높으며 상품성이 좋은 우량품종으로 주요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신육형은 왜성, 배축색은 녹색이며 성숙협은 황백색바탕에 적색무늬가 있고 종피색은 백색바탕에 적색무늬가 있다. 나. 개화기는 5월 29일, 풋강낭콩성숙기는 7월 1일로 조숙종이며 경장은 27cm로 내도복성 품종이었다. 다. 생두백립중은 85.8g으로 대립종이며 탄저병 등 병해정도는 0∼2로 낮았다. 라. 강낭콩1호에 비하여 조단백함량은 0.7%, 총당은 0.9% 높았다. 마. 지역적응시험 결과 생두수량은 강낭콩 1호 512kg/10a에 비하여 생두백립 중이 무거워 7% 증수되었다. 5. 인용문헌 농림부. 2001. 작물통계 표현구, 최정일, 이강희. 1993. 채소원예각론. p398 조재영 등. 1986. 식용작물학 Ⅱ- 전작(四訂). p348 홍은희, 이상양, 이영호, 문윤호, 김석동. 1993. 생두생협용 “강낭콩1호” 우량품종육성. 농업논문집 35(2) : 175∼178 농산물유통공사, 2001, 농산물무역통계연보. 6. 연구결과 활용실적 요약 ○ 기술이전 제목 : 강낭콩 내병 다수성 신품종 `선두강낭콩` 육성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