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논 잡초 발생량

경기지역 20개시·군을 농가답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논 잡초 발생량은 ’91년 ㎡당 19.32g에 비하여 ’95년 5.95g(69%), 2000년 3.06g(84%)으로 계속 감소 추세이며 이는 제초제 사용농가 증가와 제초제의 약효 증진에 따른 결과로 추정된다.
2000년의 일년생과 다년생잡초 분포비율은 49.7 : 50.3%로 ’95년에 비하여 일년생잡초의 발생비율이 증가되는 추세이다.

[표 1] 경기지역 논 잡초발생량 및 분포비율

경기지역 논 잡초발생량 및 분포비율 표
구분 일년생잡초
(g/㎡)
다년생잡초
(g/㎡)
건물중
(g/㎡)
지수
1991 4.77(24.7) 14.55(75.3) 19.32(100) 100
1995 2.26(38.0) 3.69(62.0) 5.95(100) 31
2000 1.52(49.7) 1.54(50.3) 3.06(100) 16

※ ( )는 분포비율

2. 발생 논 잡초 종류

2000년에는 화본과 4종, 방동산이과 6종, 광엽 및 기타 잡초가 12종 등 총 22종이 발생되어 ’91년의 25종에서 발생 논 잡초 3종이 줄어들었다.

[표 2] 발생잡초의 과별 초종수 및 분포비율

발생잡초의 과별 초종수 및 분포비율표
년도 구분 화본과 방동산이과 광엽 및 기타
1991 4(16) 7(28) 14(56) 25(100)
1995 3(14) 5(23) 14(63) 22(100)
일년생
다년생
2
1
1
4
10
4
13
9
2000 4(18) 6(27) 12(55) 22(100)
일년생
다년생
3
1
2
4
10
2
13
7

※ ( )는 분포비율

3. 논 잡초 우점도

2000년의 우점도는 올방개> 피> 벗풀> 물달개비> 가막살이>자귀풀 순으로 나타났으며, 다년생잡초인 올방개, 벗풀과 일년생잡초인 피는 ’91년이후 우점도의 순위만 바뀌었을뿐 계속 주요 우점 논 잡초로 대두되고 있다. 조사 결과에 따른 경기지역의 중점 방제대 상 5대 논 잡초는 일년생으로 피, 물달개비, 가막살이, 다년생으로는 올방개, 벗풀을 들 수 있다.
또한, ’95년에 비하여 2000년의 잡초 우점도 변동사항을 살펴보면 우점도가 증가된 잡초로는 올방개(26→30%), 피(24→25%), 물달개비(3→7%), 가 막살이(4→5%), 우점도가 감소된 잡초는 벗풀(31→14%)로 나타났다.

[ 표 3 ] 우점초종 분포현황

우점초종 분포현황표
년도 초종별 우점도 순위
1 2 3 4 5 기타
1991 올방개
(39)
벗풀
(19)

(11)
너도방동산이
(10)
물달개비
(5)
올챙이고랭이 등
(1)
1995 벗풀
(31)
올방개
(26)

(24)
가막살이
(4)
물달개비
(3)
새섬매자기,둑새풀 등
(12)
2000 올방개
(30)

(25)
벗풀
(14)
물달개비
(7)
가막살이
(5)
새섬매자기, 자귀풀 등
(19)

※ ( )는 분포비율

4. 답유형별 잡초발생 분포

보통답과 습답에서는 올방개, 사질답은 피, 염해답에서는 새섬매자기가 최우점 잡초로 나타나고
있다.

[ 표 4 ] 2000년도 답유형별 잡초발생 분포

2000년도 답유형별 잡초발생 분포표
답유형 건물중
(g/㎡)
잡초발생분포(%)
보통답

사질답

습 답

염해답

2.83

2.99

4.02

3.24

올방개(35)>피(27)>벗풀(12)>물달개비(9)>가막살이(4)>기타(13)

피(28)>올방개(26)>벗풀(16)>올챙이고랭이(6)>물달개비(5)>기타(19)

올방개(39)>벗풀(16)>피(12)>물달개비(11)>가막살이(7)>기타(15)

새섬매자기(46)>피(23)>너도방동산이(11),가막살이(11)>올방개(8)>기타(1)

5. 이앙기별 잡초발생 분포

5월 중순은 피와 올방개, 5월 하순은 올방개와 피였으며, 6월 상순은 물달개비가 우점하는 경향으로 이러한 결과는 이앙기별 약제선정에 참고할 필 요가 있다.

[ 표 5 ] 2000년도 이앙기별 잡초발생 분포

2000년도 이앙기별 잡초발생 분포표
이앙기

(월.일)

건물중
(g/㎡)
잡초발생분포(%)
보통답

사질답

습 답

염해답

2.83

2.99

4.02

3.24

피(26)>올방개(25)>벗풀(16)>물달개비(7),가막살이(7)>새섬매자기(6)>기타(13)

올방개(37)>피(23)>벗풀(12)>물달개비(5)>자귀풀(5)>올챙이고랭이(4)>기타(14)

물달개비(52)>피(19)>벗풀(14)>올방개(8)>가막살이(5)>여뀌바늘(3)>
기타(0)

6. 농업지대별 잡초발생 분포

남부, 서부, 동부내륙 지대는 올방개와 피, 북부산간 지대는 피와 벗풀이 우점하고 있다.

[ 표 6 ] 농업지대별 잡초발생분포

농업지대별 잡초발생분포표
농업지대 년도 건물중
(g/㎡)
>잡 초 발 생 분 포 (%)
남부평야 ’95

2000

4.70

3.84

피(29), 올방개(27), 벗풀(23), 매자기(8), 나도방동산이(3),
물달개비(3), 기타(7)올방개(37), 피(16), 새섬매자기(11), 벗풀(8), 자귀풀(7),
가막살이(7), 기타(14)
서부평야 ’95

2000

7.10

1.81

피(35), 벗풀(28), 올방개(23), 둑새풀(3), 가막살이(2),
너도방동산이(2), 기타(7)올방개(34), 피(33), 벗풀(17), 물달개비(6), 너도방동산이(3),
v여뀌바늘(2), 기타(5)
동부내륙 ’95

2000

5.60

2.12

벗풀(40), 올방개(31), 피(10), 가막살이(5), 여뀌(4),
물달개비(2), 기타(8)올방개(34), 피(21), 벗풀(15), 물달개비(7), 사마귀풀(5),
가막살이(5), 기타(13)
북부산간 ’95

2000

6.70

6.35

벗풀(25), 올방개(18), 사마귀풀(11), 나도겨풀(8), 피(7),
둑새풀(6), 기타(27)피(37), 벗풀(19), 올방개(13), 물달개비(9), 올챙이고랭이(7),
사마귀풀(4), 기타(11)

7. 농가 제초제 처리실태

제초제 처리횟수는 ’95년도와 비슷한 수준이나, 적기처리 농가는 ’95년 53% 에서 2000년에는 77%로 적기에 처리하는 농가가 많아지고 있다.

[ 표 7 ] 제초제 처리실태

제초제 처리실태 표
년도 처 리 횟 수 (%) 처 리 시 기 (%)
1회 2회 적기처리 비적기처리
’91 77 23 43 57
’95 34 66 53 47
2000 33 67 77 23

8. 농가의 난방제 문제잡초

321농가를 대상으로 문제잡초에 대하여 설문조사한 결과, 농가가 가장 난방제 문제잡초라고 응답한 잡초비율은 올방개> 피> 벗풀> 자귀풀 > 물달개비> 가막살이 순으로 나타나 논 잡초의 채취 조사결과와 일치하고 있다.

[ 표 8 ]농가의 난방제 문제잡초 설문조사 결과

농가의 난방제 문제잡초 설문조사 결과표
문 제 잡 초 분 포(%)
   올방개(42.5), 피(22.4), 벗풀(15.2), 자귀풀(7.8), 물달개비(2.5), 가막살이(2.2),
   새섬매자기(1.6), 기타(5.8)

※ 조사농가수 : 321농가

이미지 영역

그림 1. 문제잡초에 대한 조사결과와 농가의견 비교

9. 종 합

본 잡초 조사결과를 통하여 도출된 문제점과 대응방안(표 9)을 살펴보면 도내 논 잡초 발생량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을 뿐만아니라 제초제 체계처 리 및 적기처리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은 매우 바람직한 현상이다. 그러나, 잡초방제에 대해 아직도 소홀히 대처하는 농가가 많은 것은 주지의 현실로 이들에 대한 지속적인 기술지도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잡초발생량은 줄고 있으나 다년생잡초인 올방개, 벗풀은 계속 문제잡초로 대두되고 있어 이들 잡초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일년생 잡초인 피는 문제잡초로 우점화하고 있으나, 기본 방제대상인 피에 대해 효과 없는 제초제는 없으므로 피 방제를 위해서는 농가의 제초제 처리후 올 바른 논 관리의 선행이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최근 새로운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제초제 저항성 잡초에 대해 일본에서는 수종의 출현에 대해 보고한 바 있고, 우리나라에서는 호남지방을 중심으로 물달개비가 SU계 제초제 저항성잡초로 확인되어 발생지역이 계속 확대되고 있을뿐 만아니라 우점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금후 이에 대한 대책도 검토가 되어야 하겠다.

[ 표 9 ] 문제점 및 대응방안

문제점 및 대응방안 표
문 제 점 대 응 방 안
· 전체 잡초발생량은 감소되었으나 초종별
  우점도가 다양해 지는 경향임.
· 새로운 초종에 대한 방제방법 연구 필요.

· 제초제 체계처리 및 적기처리 비율이 증가
  추세.
· 1회처리 및 비적기 처리 농가가 아직도
  20∼30%에 달함.
· 체계처리와 적기처리를 위해
  농가를 대상으로 지속적인 교육 필요.

· 전체적인 잡초발생량은 줄었으나 올방개,
  피, 벗풀 등은계속 문제잡초로 대두.
· 올방개, 피, 벗풀 방제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필요.
· 제초제 저항성 잡초가 발견 되고 있음.
  (물달개비, 자귀풀, 가막살이 등)
· 제초제 저항성 잡초에 대한 방제중점
  연구 필요.

잡초성벼 발생분포

1996년에 경기지역 농가당 2,490필지를 대상으로 잡초성벼 발생실태를 조사한 결과 조사필지의 54.9%에서 발생됨을 확인하였다.

[ 표 1 ] 잡초성벼 발생현황

잡초성벼 발생현황 표
총조사
필 지
무발생
필 지
잡초성벼 발생필지
소 계 이형주 샤레벼 이형주+샤레벼
2,490 1,122
(45.1)
1,368
(54.9)
543
(21.8)
505
(20.3)
320
(12.8)
농업지대별 잡초성벼 발생필지는 수도권 도시지역과 북부산간지대가 남부평야지대와 동부내륙지대보다 많았으나 단위면적당 잡초성벼 발생량은 서남부 평야지대에서 많았다.

[ 표 2 ] 농업지대별 잡초성벼 발생

농업지대별 잡초성벼 발생 표
농업지대 조사필지 발생필지 10a당 발생량(포기)
이형주 샤레벼
2490 1368
(54.9)
36.1
(015)
72.8
(0.31)
108.9
(0.46)
북부산간지대 390 262
(67.2)
3.9
(0.02)
25.4
(0.11)
29.3
(0.13)
수도권도시지대 521 394
(75.6)
34.3
(0.14)
39.1
(0.16)
73.4
(0.30)
동부내륙지대 566 266
(47.0)
30.6
(0.13)
83.7
(0.35)
114.3
(0.48)
서남부평야지대 1013 446
(44.0)
60.0
(0.25)
128.9
(0.54)
188.9
(0.79)

※ ( )는 분포비율

답유형별 잡초성벼 발생은 보통답보다 습답과 염해답이 다소 많은 경향이었고 재배양식 별로는 직파재배가 이앙재배보다 많았다.

[ 표 3 ] 답유형별 잡초성벼 발생

답유형별 잡초성벼 발생표
농업지대 조사필지 발생필지 10a당 발생량(포기)
이형주 샤레벼
보통답 2344 1261
(53.8)
38.3
(0.16)
75.4
(0.32)
113.7
(0.48)
습 답 76 56
(73.7)
31.9
(0.13)
130.3
(0.55)
162.2
(0.68)
염해답 70 50
(71.4)
2.3
(0.01)
2.7
(0.01)
5.0
(0.02)

※ ( )는 분포비율

[ 표 4 ] 재배양식별 잡초성벼 발생

재배양식별 잡초성벼 발생표
재배양식 조사필지 발생필지 10a당 발생량(포기)
이형주 샤레벼
중묘 기계이앙 2239 1244
(55.6)
36.7
(0.16)
53.3
(0.22)
90.0
(0.38)
어린모 기계이앙 168 73
(43.5)
2.8
(0.01)
29.1
(0.12)
31.9
(0.13)
건 답 직 파 45 25
(55.6)
130.4
(0.55)
626.3
(2.63)
756.7
(3.18)
담 수 직 파 39 26
(66.7)
5.6
(0.02)
373.8
(1.57)
379.4
(1.59)

※ ( )는 분포비율

[ 표 5 ] 이앙시기별 잡초성벼 발생

종자보급년수에 따른 잡초성벼 발생필지는 보급종과 자가채종 1∼2년차 종자를 사용할 때 보다 자가채종 3년 이상된 종자를 사용한 포장에서 잡초성벼 발생율이 높았다.

[ 표 6 ] 이앙시기별 잡초성벼 발생

이앙시기별 잡초성벼 발생표
종자보급년수 조사필지 발생필지 10a당 발생량(포기)
이형주 샤레벼
보 급 종 786 385
(49.0)
16.6
(0.07)
37.5
(0.16)
54.1
(0.23)
자가채종 1년 419 238
(56.8)
69.5
(0.29)
48.5
(0.20)
118.0
(0.49)
자가채종 2년 701 341
(48.6)
23.6
(0.10)
65.5
(0.28)
89.1
(0.38)
자가채종 3년 389 253
(65.0)
19.7
(0.08)
128.6
(0.54)
148.3
(0.62)
자가채종 4년 이상 195 150
(76.9)
107.3
(0.45)
181.0
(0.76)
288.3
(1.21)

※ ( )는 분포비율

[ 표 7 ] 품종 조만성에 따른 잡초성벼 발생

품종 조만성에 따른 잡초성벼 발생표
품종 조만성 조사필지 발생필지 10a당 발생량(포기)
이형주 샤레벼
조 생 종 132 83
(62.9)
14.4
(0.06)
30.3
(0.13)
44.7
(0.19)
중 생 종 755 411
(54.4)
42.5
(0.18)
61.3
(0.26)
103.8
(0.44)
중만생중 1556 837
(53.8)
36.6
(0.15)
66.8
(0.28)
103.4
(0.43)
기 타 47 40
(78.7)
27.8
(0.12)
159.3
(0.67)
187.1
(0.79)

※ ( )는 분포비율

논 이미지 영역
논 이미지 영역
논 이미지 영역

[ 논에 발생된 잡초성벼 모습 ]

논 이미지 영역

[ 잡초성벼 무발생답(좌)과 발생답(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