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양식미 쌀 생산기술
가. 품 종
- ① 지금까지의 양식미(良食味) 품종의 특성은 대체로 키가 크고 줄기가 약하여 도복하기 쉽고 병해에 약함. 도복하기 쉬우므로 질소를 많이 줄 수 없어 양식미성 유지가 가능함.
- ② 양식미 품종은 생산지에 따라 반응이 다르게 나타남.
- ③ 우리나라에서는 추청벼, 동진벼가 선호되고 있음.
- ④ 일본에서의 양식미 품종은 “코시히카리”, “히토메보레”, “아키타코마치” 등의 성가 가 높음.
유명 브랜드 쌀의 예는 『니이가타현 우오누마(魚沼)산 코시히카리』, 『아키다현 산 “아키타코마치”』 등임.
표 5. 쌀 품질 및 식미에 따른 장려품종 분류
쌀 품질 및 식미에 따른 장려품종 분류표
구 분 |
해 당 품 종 |
계 |
79 품종 |
최상품질 (47) |
추청벼, 동진벼, 오대벼, 화성벼, 진미벼, 화진벼, 청명벼, 계회벼, 장안벼, 일품벼, 서안벼, 안중벼, 진부벼, 만금벼, 영남벼, 화영벼, 탐진벼, 상주벼, 조령벼, 대야벼, 간척벼, 화중벼, 화남벼, 삼백벼, 상산벼, 주안벼, 대안벼, 금남벼, 운장벼, 안산벼, 일미벼, 화신벼, 삼천벼, 중화벼, 내풍벼, 대진벼, 서진벼, 화삼벼, 동안벼, 대산벼, 새추청벼, 진품벼, 수라벼, 광안벼, 중안벼, 안성벼, 안중벼
|
상질미 (15) |
운봉벼, 금오벼, 오봉벼, 남원벼, 소백벼, 진부올벼, 신운봉벼, 팔공벼, 동해벼, 낙동벼, 대청벼, 둔내벼, 농안벼, 금오벼1호, 금오벼2호
|
중질미 (1) |
봉광벼 |
찰벼 (7) |
신선찰벼, 진부찰벼, 화선찰벼, 육도농림나1호, 상남밭벼, 설향찰벼, 아랑향찰벼
|
가공적성 특수미 (6) |
향미벼1호, 대립벼1호, 양조벼, 향미벼2호, 향남벼, 흑진주벼
|
초다수성 (3) |
다산벼, 남천벼, 안다벼
|
※ 쌀품질 : 밥맛은 세계 최고수준(한·일 생산 쌀품종의 밥맛비교 : ’95. 3. 3)
품명별 쌀품질 검정표
품 명(산지) |
총 평 |
한국인(17명) |
일본인(19명) |
일 품 벼(한국산) |
1.06 |
0.59 |
1.47 |
히또메보레(일본산) |
0.33 |
0.24 |
0.42 |
고시히까리(일본산) |
0.31 |
-0.12 |
0.79 |
고시히까리(한국산) |
-0.11 |
-0.29 |
0.05 |
히또매보레(한국산) |
-0.17 |
-0.18 |
-0.16 |
사사니시끼(한국산) |
-2.06 |
-1.77 |
-2.32 |
* 표준품종 : 추청벼(수원 작물시험장산)
검정요원 : 한국 – 작물시험장 전문검정요원, 일본 – 일본 쌀도매업자
나. 기상 및 토양
- ① 우리나라 양질미 생산지역의 기상 및 토양 특성 :
– 기상조건 : 벼 생육기간중, 특히 등숙기에 평균기온이 낮고, 기온교차가 크며, 일조시수 가 길고,
상대습도와 증기압이 낮음.
– 토양조건 : 지온과 관개수온이 낮고, 관개수중 무기성분 함량이 높으며, 토양의 투수성이 낮음.
- ② 과거에는 토성이 미질에 크게 영향하였으나 품종이 좋아지고 재배기술이 개선된 현재는 토성이 미질에 미치는 영향이 작은 것으로 보고되어 있음. 산지에 따른 미 질 차이는 토질 차이보다는 재배시기나 시비법 등 재배법의 차이로 판단됨.
- ③ 양식미 쌀 생산에는 지력 배양이 매우 중요함. 볏짚은 전량 논토양에 환원되어야 하며 볏짚 부숙을 촉진시키기 위한 기술(가을갈이의 시기, 깊이, 담수 여부 등)을 개발하여야 함.
다. 재 배 법
- ① 작 기
– 작기에 의한 미질 변동은 기상조건 특히 등숙기간중의 기온, 일조 변화에 따라 나타나는 것임. 작기가
빠를 경우 고온 등숙, 일조 증가로 유백미, 동할미가 증가하여 미질이 저하 우려
– 최근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온상승으로 결실기 고온에 의한 미질 저하 우려
- ② 재배기간중 온도
– 품종마다 식미가 최고로 되는 등숙온도가 있음.
→ 벼 등숙기간 중의 적산등숙온도가 중요함.
– 예로서 일본에서는 양식미 쌀 고시히카리의 찰기가 최대로 되는 온도는 등숙기간 평균기온 25℃이며
이 보다 높거나 낮으면 찰기가 저하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음.
- ③ 시 비
– 식미에 가장 영향이 큰 요인은 질소임.
– 질소 다비는 심복백, 동할미가 증가하고 투명도가 낮아지는 단점 외에도, 단백질 함량을 높여 밥의
점성이나 조직감을 나쁘게 하고, 쌀 전분 세포막 물질을 만들어 밥의 부드러움을
해쳐서 식미를 저하시킴.
→ 우리나라에서는 질소를 과다시비하는 경향임.
– 질소 비료와 함께 인산 및 칼리질 비료의 균형시비가 필요함. 인산 및 칼리 비료가 부족하면 질소
효과가 감소됨. 칼리 다비도 식미를 저하시킴.
– 분시에 방법에도 유의하여야 함. → 양식미 쌀을 생산하려면 쌀알의 질소 함량이 높아지지 않도록
알거름을 줄이거나 생략하여야 함.
– 양식미 쌀을 생산하려면 지력을 높여 화학비료 의존도를 낮추어야 하며 토양조건에 적합한 시비를
하여야 함.
– 일본의 전국 평균 질소 시비량은 8.7kg/10a에 불과함.
※ 참고로 니이가타현 고시히카리에 대한 지대별 시비기준은 밑거름 3∼4kg/10/a, 이삭거름 2∼3kg/10a만을 주며 알거름은 주지 않음. 알거름을 주지 않는 이유 는 쌀알의 질소 함량이 1.2%(단백질 함량으로 7.1%)를 넘으면 양식미 쌀로 보 지 않기 때문임.
표 6. 고시히카리의 지대별 시비기준 (10a당 성분량)
고시히카리의 지대별 시비기준표
시비 지대(토성) |
질 소 |
인 산
| 칼 리 |
밑거름 |
이삭거름 |
밑거름 |
밑거름 |
이삭거름 |
下越北部(양질) |
3∼4 |
2∼3 |
8 |
8 |
3 |
평탄지(점질) |
2∼3 |
1∼3 |
8 |
6 |
2 |
산간지(점질) |
2∼3 |
1∼3 |
10 |
6 |
3 |
* 질소 이삭거름 시기 (고시히카리) : 1차 : 출수전 18∼15일, 2차 : 출수전 10일 (기타 품종 ) : 1차 : 출수전 25일, 2차 : 출수전 14∼10일
|
○ 양식미 쌀의 시비법 : 이삭수 확보, 도복방지, 쌀알의 질소함량 저하.
㉠ 질소 감비 : 양식미 품종은 일반 품종보다 질소를 감량함이 좋음.
㉡ 밑거름 및 가지거름 : 질소 과다로 인한 도복 방지 및 여분의 질소 쌀알 유입 방지.
㉢ 알거름(實肥) : 질소 알거름을 주는 것이 다수확에 도움이되나 쌀알내 단백질 함량을 높여 식미저하
→ 양식미쌀 생산이 목표라면 알거름은 생략함이 바람직 함.
④ 수확시기
– 적기 수확은 양질미 생산에 가장 중요한 조건임.
㉠ 조기 수확은 광택은 좋으나 파쇄립, 청미가 증가
㉡ 늦은 수확은 투명도 및 광택이 감소하고 동할미, 피해립, 복백미 증가.
– 도정특성, 식미 등을 고려한 수확적기는 만생종은 출수후 45∼55일, 평균 50일이며 조중생종은
이보다 빨라져야 함.
– 품종별 적산등숙온도가 충족되면 즉시 수확하여야 식미가 떨어지지 않음.
⑤ 건조방법
– 수확기 쌀알의 수분 변이는 최소 15%에서 최대 39% 범위임.
– 저수분 벼는 고온 건조해도 식미 저하가 크지 않으나 고수분 벼일수록 고온건조에 의하여 식미가
저하되기 쉬움.
– 화력건조시의 양식미쌀 건조 적온은 높아도 55℃ 미만이어야 하며 45℃ 전후가 적당.
– 양식미쌀의 수분함량은 15∼16%가 적당함
(일본에서는 현미 수분함량 15.5%를 권장).
라. 수확후 관리기술
① 수확후 품질에 영향하는 요인
: 쌀 수확 후 품질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수분함량과 온도조건임.
→ 쌀의 저장성을 높이려면 수분함량을 15% 이하로 하는 것이 좋으나 식미를 위해서는 16%
정도가 알맞음.
② 저장조건
– 쌀 저장중 품질에 영향하는 요인은 온도, 수분, 가스 조성, 포장재 종류, 쌀의 성상 등임.
– 가장 중요한 저장조건은 온도와 수분임.
현미 수분함량 16%에서는 공기습도가85% 정도 되므로 여름고온시 곰팡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
– 저곡 해충(쌀바구미, 곡식좀나방) : 15℃ 이상일때 쌀겨나 배아부에서 증식함.
– 벼의 수분함량을 15% 이하로 유지하면 여름에도 거의 안전저장이 가능하며 15℃ 이하에서
저장하면 더욱 좋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