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풍피해(도복피해) 감소 기술
1. 도내 도복 발생현황(2000년)
○ 벼 총재배면적 : 121,657ha
- – 조 생 종 : 28,811ha(23.5%)
- – 중 생 종 : 27,008ha(22.2%)
- – 중만생종 : 66,604ha(54.3%)
○ 벼 도복면적 : 3,527.4ha(총재배면적의 2.9%)
- – 집중호우(8. 24∼28) : 180ha
- – 제13호 태풍 프라피룬 집중호우(8. 31) : 2,487.9ha
- – 제14호 태풍 사오마이 강풍(9. 14) : 859.5ha
☆ ’99년 도복면적 : 4,269.2ha(완전도복 2,222.4ha, 반도복 2,047ha)
→ 9월 중·하순 태풍 앤과 바트영향.
2. 도복 발생원인
○ 주된 원인 : 바람과 강우를 동반한 태풍
→ 우리나라의 태풍 빈도수는 년평균 3회이며 태풍이 불어오는 시기는 벼가
출수된 8월과 9월에 집중되어 피해가 더욱 커짐.(표 1)
○ 간접적 원인 : 벼 품종 및 재배기술의 차이
→ 도복에 약한 품종 선택 및 질소질 비료의 과용 등(표 2)
< 한반도를 통과한 태풍의 월별 횟수 > (1904∼1998년)
한반도를 통과한 태풍의 월별 횟수표
구 분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계
|
횟 수 |
1 |
14 |
80 |
106 |
70 |
7 |
278 |
비율(%) |
0.4 |
5.0 |
28.8 |
38.1 |
25.2 |
2.5 |
100 |
< 벼 질소시비량에 따른 도복비율 >
품 종 명 |
질소 시비량 (kg/10a) |
12 |
15 |
18 |
21 |
평 균 |
0 |
33 |
67 |
92 |
기 호 벼 |
0% |
50% |
83% |
100% |
대 청 벼 |
0 |
17 |
17 |
67 |
섬 진 벼 |
0 |
0 |
67 |
100 |
○ 기타 벼 도복 발생 조장요인
- – 기상조건 : 태풍, 집중호우, 생육기간중 일조시간 부족
- – 품종특성 : 줄기가 약하고 키가 크며 이삭이 큰 품종
- – 시 비 량 : 질소비료 과용, 질소를 출수 35∼45일전의 추비 등
- – 물 관 리 : 항시담수 재배 → 토양의 환원으로 뿌리생육 불량 초래
- – 재배방법 : 이앙재배보다 직파재배에서 벼의 지지력 약화
- – 재식밀도 : 다주밀식은 도체가 약화되어 도복을 조장
- – 병 충 해 : 문고병, 벼멸구가 많이 발생하면 도복되기 쉬움.
- – 기 타 : 오폐수 유입 등.
3. 도복의 양상
○ 벼 도복의 구분
- – 도복의 일반적 구분 : 완전도복, 반도복
- – 벼 도복 양상에 따른 구분 : 크게 4가지 유형으로 구분
① 좌절형 도복
- –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히 볼수 있는 도복형태
- – 하위절간 사이가 부러져서 도복됨
- – 한번 도복되면 회복이 어렵고, 양분과 수분의 이동이 단절되어 등숙과 미질에 큰 영향을 미치며, 수량에 가장 큰 영향을 줌.
② 만곡형 도복
- – 하위절간이 구부러져 벼 이삭이 지제부에 닿는 도복형태
- – 등숙초기에 발생하면 어느정도 회복되어 수량감소가 적음
③ 뿌리도복(전복형 도복)
- – 배수가 불량하고 토양의 환원이 심하여 뿌리 발달이 불량한 논에서 발생
- – 벼 생력화 재배를 위한 직파 재배농가에서 가장 문제시됨
④ 개장형 도복
– 등숙이 진전됨에 따라 이삭이 무거워져 서로 엉키면서 발생하는 형태의
도복 → 수량에는 큰 영향 없음.
4. 도복에 의한 수량감수 및 품질저하
○ 도복시기에 따른 수량감수
유숙기 > 호숙기 > 황숙기의 순으로 이삭이 나온후 빠르면 빠를수록 도복피 해는 더 커짐.
○ 수량감소의 직접적인 요인 : 등숙비율의 저하와 천립중의 감소
< 도복시기에 따른 수량감수(인위도복 처리) >
도복시기에 따른 수량감수율표
도복 시기 |
감수율(%) |
등숙비율(%) |
청미비율(%) |
무도복 |
0 |
73.9 |
5.2 |
유숙기 |
33 |
39.4 |
7.2 |
호 숙 기 |
28 |
53.7 |
10.4 |
황 숙 기 |
15 |
63.2 |
6.6 |
○ 도복에 따른 미질저하
< 출수후 일수별 도복에 의한 감수율과 미질 >
출수후 일수별 도복에 의한 감수율과 미질표
구 분 |
도 복 시 기 ( 출 수 후 일 수 ) |
무도복 |
5 |
10 |
15 |
20 |
25 |
30 |
40 |
감 수 율(%) |
– |
34 |
18 |
9 |
11 |
10 |
2 |
1 |
쇄립 비 율(%) |
14 |
33 |
33 |
31 |
27 |
23 |
17 |
14 |
청립 비 율(%) |
3 |
5 |
7 |
10 |
10 |
10 |
5 |
4 |
완전립비율(%) |
83 |
68 |
74 |
67 |
65 |
59 |
78 |
84 |
5. 도복피해 경감대책
사전 경감대책
(1) 품종적인 측면 : 내도복 양질 다수성품종 확대 보급
– 도복 상습지역 : 단간 직립초형이며 줄기가 강한 내도복성의 품종선택
– 품종 선택시 고려사항 : 토양 비옥도와 재배시기 등
< 질소 다비시 장려품종 포장도복 저항성 > (경기.’99)
질소 다비시 장려품종 포장도복 저항성 정보 표
포장도복 |
조 생 종 |
중 생 종 |
중만생종 |
강(1∼3) |
오봉벼, 대진벼 |
주안벼, 내풍벼, 농안벼 화선찰벼, 광안벼, 수라벼, 장안벼, 안중벼 |
대안벼, 일품벼 |
중(4∼6) |
오대벼 |
안산벼, 서진벼, 신선찰벼, 서안벼, 화중벼 |
동진벼 |
약(7∼9) |
흑진주벼, 진부벼 |
봉광벼, 화진벼, 화성벼 |
추청벼, 화명벼 |
☆ 2000년 도복 강(1∼3)품종 : 오봉, 대진, 내풍, 농안, 수라, 일품벼
(2) 재배기술 측면
가) 적정 시비량과 시비방법 준수
– 질소비료의 과용을 피하고 비료의 균형시비와 규산질비료의 시용
– 이삭거름의 적기(출수전 25일), 적정량 및 칼리비료와 균형시비
– 퇴비(부식, 유기태질소, 인산, 칼리 등 균형 있게 함유) 시용으로 도복경감
나) 적정 물관리 방법 실천 → 뿌리를 심층으로 유도
– 활착 후기 : 물걸러대기
– 무효분얼기 : 중간 물떼기를 2∼3회 실시
다) 적정 재식밀도, 심도와 파종량 및 파종심도
– 이앙밀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직파재배에서 밀파된 것과 같은 효과로 도복되기 쉬움
– 적정 이앙심도는 3cm정도로 하중이 무거워도 견디는 힘과 회복력이 큼
라) 논 깊이갈이
– 근권 확대로 뿌리의 발달을 좋게 함
마) 숙기별 재배시기 분산
– 재배시기를 달리하여 태풍이나 강풍 내습시 피해로부터 위험분산.
→ 태풍이 불어올 당시 지상부의 무게 특히 이삭무게가 무거울수록 중심고
가 높아 도복이 일어나기 쉬움.
바) 병충해 방제 철저
– 줄기와 엽초를 침해하는 병충해(문고병, 벼멸구 등) 발생포장은 도복발생의 원인이 되므로 방제 철저.
사) 생육 과번무시 도복경감제 처리
– 도복경감제 : 세리타드, 트리넥사팍에칠, 2.4-D 등
< 벼의 4, 5절간 단축효과 >
벼의 4, 5절간 단축효과 표
구 분 |
관 행 |
처 리 |
단축효과 |
시험기관 |
4절간 |
5절간 |
4절간 |
5절간 |
4절간 |
5절간 |
중간물떼기 |
12.0cm |
6.0 |
10.8 |
4.9 |
1.2 |
1.1 |
’93 호시 |
도복경감제 |
9.9 |
4.8 |
8.6 |
3.3 |
1.3 |
1.5 |
’94 작시 |
< 도내 장려품종별 포장도복 특성 > (2000. 경기)
도내 장려품종별 포장도복 특성표
품종명 |
수량 특성 |
품종 특성 |
지역장려선발(보비) |
다비 |
견본포(보비) |
화성 |
여주 |
연천 |
중 묘 |
어린모 |
조생종 |
진부벼 |
521 |
강 |
중 |
약 |
– |
약 |
약 |
약 |
오봉벼 |
503 |
강 |
강 |
– |
중강 |
강 |
약 |
강 |
오대벼 |
481 |
강 |
강 |
약 |
약 |
약 |
중강 |
강 |
대진벼 |
504 |
강 |
강 |
강 |
약 |
중강 |
강 |
강 |
중생종 |
안산벼 |
509 |
강 |
강 |
중강 |
중강 |
약 |
강 |
강 |
내풍벼 |
527 |
강 |
강 |
– |
– |
중강 |
강 |
강 |
중안벼 |
530 |
중 |
중 |
약 |
약 |
약 |
중 |
강 |
농안벼 |
515 |
강 |
강 |
– |
– |
중강 |
중강 |
강 |
광안벼 |
517 |
중강 |
중 |
중 |
– |
약 |
중강 |
강 |
화성벼 |
493 |
중 |
중 |
중 |
약 |
약 |
강 |
강 |
수라벼 |
552 |
강 |
강 |
강 |
강 |
약 |
강 |
강 |
장안벼 |
520 |
강 |
강 |
– |
– |
약 |
강 |
강 |
안중벼 |
519 |
강 |
강 |
강 |
강 |
약 |
강 |
강 |
진품벼 |
552 |
강 |
강 |
강 |
약 |
약 |
중강 |
강 |
봉광벼 |
447 |
약 |
약 |
중약 |
약 |
약 |
중 |
약 |
서진벼 |
522 |
중강 |
중강 |
중강 |
중강 |
약 |
중강 |
약 |
주안벼 |
503 |
강 |
강 |
– |
– |
약 |
강 |
강 |
안성벼 |
557 |
강 |
강 |
중강 |
중강 |
약 |
강 |
강 |
서안벼 |
505 |
강 |
강 |
중강 |
강 |
약 |
중강 |
중 |
화중벼 |
481 |
강 |
강 |
– |
– |
약 |
중 |
약 |
화진벼 |
510 |
중 |
중 |
– |
– |
약 |
중 |
약 |
중만생종 |
대안벼 |
511 |
강 |
강 |
강 |
중강 |
중강 |
중강 |
중 |
화명벼 |
505 |
중 |
중 |
중강 |
– |
약 |
중강 |
강 |
동진벼 |
479 |
중 |
중 |
– |
– |
약 |
중강 |
강 |
일품벼 |
534 |
강 |
강 |
강 |
강 |
강 |
강 |
강 |
추청벼 |
453 |
약 |
약 |
중강 |
강 |
약 |
중강 |
약 |
새추청벼 |
558 |
중 |
약 |
중강 |
강 |
약 |
중 |
약 |
중만생종의 품종별 수량 특성표
품종명 |
수량특성 |
품종특성 |
지역장려선발(보비) |
다 비 |
견본포(보비) |
화성 |
여주 |
연천 |
중 묘 |
어린모 |
중만생종 |
대안벼 |
511 |
강 |
강 |
강 |
중강 |
중강 |
중강 |
중 |
화명벼 |
505 |
중 |
중 |
중강 |
– |
약 |
중강 |
강 |
동진벼 |
479 |
중 |
중 |
– |
– |
약 |
중강 |
강 |
일품벼 |
534 |
강 |
강 |
강 |
강 |
강 |
강 |
강 |
추청벼 |
453 |
약 |
약 |
중강 |
강 |
약 |
중강 |
약 |
새추청벼 |
558 |
중 |
약 |
중강 |
강 |
약 |
중 |
약 |
* 이앙기 : 지역장려품종 선발(5월 20일), 견본포(5월 25일)
* 시비량(N-P2O5-K2O, ㎏/10a) : 보비(11-4.5-5.7), 다비(22-4.5-5.7)
○ 사후 피해 경감대책
– 침·관수 포장 조기 배수 : 침·관수된 논은 우선 중앙 및 논두렁 주변에 배수로를 만들어 물을 완전히 빼서 벼의 손상을 방지하고, 잎에 부착된 오물을 씻어 광합성 능력을 촉진.
– 유숙기에서 호숙기에 도복된 벼 : 가능한 빨리 4∼6포기씩 묶어 세우는 것이 내부엽신의 기능저하를 막고 또한 부패와 수발아 등 피해를 경감시킬수 있음.
– 황숙기 이후에 도복된 벼 : 서둘러 베어 말리거나 물이 일찍 빠진 논은 뒤집기를 하여 말린후 벼 베기로 쌀 품질 저하방지.
< 숙기별 도복정도에 따른 감수율 및 묶어세운 효과 > (작시)
숙기별 도복정도에 따른 감수율 및 묶어세운 효과표
피 해 시 기 |
반도복→묶어세움 |
완전도복→묶어세움 |
유 숙 기 |
30→7%감수 |
50→10%감수 |
호 숙 기 |
15 →5 |
25 →7 |
황 숙 기 |
4 →0 |
8 →0 |
< 도복후 일수에 따른 묶어세우기 효과 >(’84∼’85.작시)
도복후 일수에 따른 묶어세우기 효과표
처 리 |
등숙비율(%) |
현미천립중 (g) |
현미수량 (kg/10a) |
지수(%) |
무도복 |
77.6 |
18.5 |
505 |
100 |
도복 1일 |
64.8 |
18.4 |
411 |
81 |
3일 |
62.7 |
18.1 |
391 |
77 |
5일 |
55.8 |
17.7 |
379 |
75 |
7일 |
52.3 |
17.5 |
344 |
68 |
도복방임 |
39.3 |
16.7 |
297 |
59 |
< 도복 형태별 벼 등숙율, 쌀수량 및 현미품위 > (’98. 영시)
도복 형태별 벼 등숙율, 쌀수량 및 현미품위표
구 분 |
출수기 (월.일) |
등숙율 (%) |
쌀 수량 (kg/10a) |
현 미 품 위 |
완전미 |
미숙립 |
동할미 |
사미 |
정 상 |
8.21 |
88.5 |
479(100) |
82.6 |
9.9 |
2.6 |
4.9 |
만곡도복 |
8.24 |
83.8 |
446 (93) |
80.6 |
13.0 |
1.3 |
5.1 |
좌절도복 |
|
|
|
|
|
|
|
·세 움 |
8.18 |
73.3 |
427 (89) |
76.8 |
16.5 |
0.8 |
6.0 |
·벼뒤집기 |
8.26 |
62.3 |
380 (79) |
62.4 |
28.8 |
0.3 |
8.5 |
·방 치 |
8.20 |
43.6 |
263 (55) |
52.6 |
34.5 |
3.6 |
9.3 |
- * 품 종 : 동진벼, 이앙기 : 5월 24일∼6월 6일, 질소시비량 : 13∼17kg/10a
- * 도복시기 : 출수후 35∼43일, 배수시기 : 도복후 2∼4일
- * 세움 및 벼 뒤집기 시기 : 도복후 3∼4일, 도복후 수확기간 15∼19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