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냉 해

가. 피해양상과 발생원인

냉해란 고온을 필요로하는 여름작물이 생육기간 중에 기온 또는 수온의 하강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피해를 말한다. 벼가 발아해서 성숙에 이르는 동안 냉해발생 양상은 발아 및 출아불량, 생장불량, 적고발생, 영화퇴하, 출수지연, 불임발생, 등숙불량 등으로 나타나며 (표 1), 냉해를 가장 받기 쉬운 시기는 묘대기, 수잉기, 등숙기 이다.

수량감소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생식생장기 이후의 냉해는 장해형 냉해와 지연형 냉해로 구분하며 이들 두 장해가 복합적으로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를 복합형 냉해라고 한다. 장해형 냉해는 화분 이상에 의한 영화의 불임이 감수의 주 요인으로 냉해 위험기에 단기간의 저온에 의해서 발생되어 결정적으로 감수되기 때문에 그 피해가 크다.

< 벼 생육단게별 장해온도와 저온 피해 양상 >

 

벼 생육단게별 장해온도와 저온 피해 양상
생 육 단 계 생육적온
(℃)
장해온도
(℃)
피 해 증 상
발아기 30∼34 10> 발아 불량
출아기(직파) 20∼25 12> 발아 및 출아 지연, 유아생장 억제
묘대기 15∼25 13> 적고발생, 생장억제, 입고병 및 뜸모 발생
활착기 25∼28 13> 활착불량, 잎선단 고사
분얼기 25∼32 15> 분얼수 감소, 적고발생, 생장 억제 및 지연
유수형성기 23∼30 17> 유수분화 지연, 지경 및 영화수 감소, 추출 지연
감수분열기 23∼33 17> 화분발육 저해, 출수지연, 불임유발, 추출지연
출수개화기 23∼33 17> 출수 및 개화 지연, 수정장해, 불임유발, 추출도 불량
등숙기 20∼26 14> 등숙 지연 및 불량, 입중저하, 미질저하
 

지연형 냉해는 수정 후에 등숙불량이 감수의 주 원인이며 이는 영양생장기의 장기간 저온으로 생육지연에 따른 출수지연과 등숙기간에 저온으로 배유의 발달 저해에 의한 등숙장해로 나타난다.

나. 냉해경감 재배기술

(1) 내냉성 품종 선정

품종이 지니고 있는 특성으로서 내냉성 정도는 생육시기 및 재배조건에 따라서 상이한 반응을 나타내는데, 주요 내냉성 품종은 표 2와 같다. 냉해 상습지역에서는 내냉성이 강한 조ㅗ중생종 중에서 2∼3개 품종을 재배한다.

< 표고별 내냉성이 큰 품종 >

 

표고별 내냉성이 큰 품종
산간고냉지
(표고 250m 이상)
중간지
(표고 100∼250m)
평야지
(표고 100m 이하)
소백벼, 오대벼, 운봉벼 진미벼, 화성벼, 상주벼 일품벼, 서안벼
금오벼, 여명벼 조령벼, 삼백벼 봉광벼, 대청벼
진부올벼 등 화진벼 등 신선찰벼 등
 

 

(2) 토양개량제 시용

감수심이 큰 논이나 특수성분 함량이 낮은 토양에서는 객토를 하거나, 냉기온하에서 흡수가 크게 억제되는 규산, 인산질 비료 등 토양개량제의 시용은 냉해를 경감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적정시용량은 규산은 200∼300 kg/10a이며, 석회나 고토를 함유한 인산은 표준량의 10% 정도를 증시한다.

(3) 시비개선

저온으로 냉해가 우려되면 질소 시용량을 줄이고, 장해형 냉해가 우려되면 수비시용을, 등숙장해가 예상되면 실비(알거름)를 시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해 우려지역에서는 인산과 칼리를 20∼30% 더 시용한다.

(4) 유기물 시용

냉해 상습지와 저온이 에상되는 해에는 유기물 시용으로 냉해를 경감할 수 있는데, 퇴비는 10a당 1,500kg을 시용한다(표 3).

< 냉해지역에서 질소감비 및 유기물 시용에 의한 냉해 경감 효과 >

 

냉해지역에서 질소감비 및 유기물 시용에 의한 냉해 경감 효과
구 분 보비 보비+생짚 50% 감비 50% 감비+생짚 50%감비+퇴비
임실율(%) 9.4 48.0 70.0 79.5 74.7
현미중(kg/10a) 44 160 211 218 231
지 수 28 100 132 136 144
 

※ 보비(질소-인산-칼리) = 11-12-13 kg/10a, 품종 : 둔내벼

(5) 적기이앙

안전출수기에 출수할 수 있는 파종기는 조생;중생;만생의 생태형과 온도 및 일장에 의해서 결정되는데, 일반적으로 산간고냉지에서는 5월 25일까지, 중산간지와 동해안 냉조풍지에서는 5월 30일까지 이앙을 마치는 것이 안전하다.

(6) 물관리

산간고냉지아 냉수 용출 및 유입답에서는 냉수를 일시 저수하거나, 돌림도장을 50m이상, 비닐 튜브는 100m이상 설치하여 물 온도를 높여서 관수한다. 생식생장기에는 어린이삭을 보호하고 등숙비율을 높이기 위하여 수심을 15∼20cm 정도 깊이 덴다.

(7) 생장조절제 이용

벼 출수기경에 냉기온이 올 때는 응급조치로 다찌가렌을 500∼1,000배로 엽면시비 하면 근활력을 향상시키고 잎의 노화를 지연시켜서 등숙을 향상시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