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품종정보

 

(2) 벼 품종의 역사

 

가. 벼와 쌀이라는 말의 유래

 

중국남부에서는 벼(稻)를 ‘nei’나 ‘ni’, ‘nuan’이라 하고 베트남 지역의 ‘nep’과도 이어지는데, 중국 자전에 보면 옛발음은 ‘ni’라고 적고 있다. 여기서 ‘nuan’이란 말은 우리말의 ‘논’과 발음이 흡사하여 흥미롭다.

 

황해도에서는 쌀밥을 ‘이팝’이라고 하는데 이 말의 고어는 ‘니밥’이며 이는 ‘나’와 ‘밥’이 합쳐진 것이다. 자료에 의하면 稻를 ‘벼’, ‘니’, ‘우케’ 등 여러 가지로 부르고 있다. 우리말의 ‘벼’는 식물체와 열매의 이름을 동시에 나타내는 말로 쓰이는데, ‘니’는 ‘입쌀’, ‘이팝’과 같이 쌀이나 밥과만 결합된 말로 쓰여진다.

 

벼가 어릴 때 논에 심는 일을 ‘모내다’, ‘모심다’라고 하는데 이 ‘모’는 ”에서 변한 듯 하나 벼의 고유어였던 것같이 생각되고 한다. 일본어에서 벼알을 나타내는 ‘모미(漞)’는 바로 ‘mo(稻)’와 ‘mi(實)’가 합쳐져서 이루어진 말이다. 우리나라로부터 벼 농사의 전래를 받아들인 일본에서 ‘稻=일어イネ (ine)’, ‘漞=モミ (momi)’ 등 우리말과 연계된 언어가 그대로 남아 있다는 사실은 어쪄면 당연한 것일지도 모른다.

 

남부지방 방언에서 ‘벼’를 ‘나락’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낱 + 알 → 낟알 → 나달 → 나락으로 여러개의 유사어가 생길 때 발생하는 민간어적인 어형변화와 ‘鑁’ 이 ‘鱁’ 로 유음화현상을 거쳐 ‘나락’이 된 것이다. 여기서 ‘낱’은 ‘니(稻)’에 ‘알’이 붙어서 날→낟→낱으로 형태적 변화를 거쳐서 생겨난 말이다.

 

‘쌀’은 화본과 곡식의 껍질을 벗긴 알맹이를 일컫는 말이다. 우리 옛말로 밥 짓는 곡식을 모두 ”이라고 했고 이것이 오늘날의 ‘쌀’이 된 것이다. 이 ”은 ‘불’, ‘시’, ‘알’이 압축되어 생겨난 말로서, 우선 블 + 시 → 브시→[種]로 되고 여기에 ‘알’이 합쳐져서 ‘ ‘이 된 것이다. 즉 ”은 ‘ 알’로서 원래는 벼, 보리, 조, 수수 등의 낱껍질을 벗긴 알맹이를 모두 ‘ ‘이라 하였는데 현대어에 와서 밥짓는 재료로 말뜻이 줄어 들게 된 것이다.

 

 

나. 벼의 종류

 

벼의 생태형 분류는 일본학자 가또오(1928)가 동남아 각지에서 수집한 벼 품종들간의 잡종 붙임 정도와 형태적 차이 등에 따라 처음으로 인디카(indica)와 자포니카(japonica)의 두 개 군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중국에서는 옛날부터 켕(Keng)과 센(sen)으로 분류하여 왔고 중국학자 정영(丁潁)(1949)은 야생벼에서 센이 분화되고 센에서 다시 켕이 분화되었다고 추정하였다. 여기서 센은 인디카에, 켕은 자포니카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인디카와 자포니카에 모두 논·밭재배의 적응성 차이 즉 내하성(耐旱性)에 따라 논벼와 밭벼가 있다. 일반적으로 밭벼는 논벼에 비해 ⸁ 잎이 두텁고 넓고 크며, ⸂ 분얼이 적고 줄기절단시 재생력이 거의 없으며, ⸃ 뿌리가 굵고 깊이 뻗으며, ⸄ 대부분 출수가 빠르고 키가 큰 편이며, ⸅ 도열병 저항성이 강한 편이고 특이토양에 대한 적응성이 높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밭벼도 논에 물을 댄 상태로 심으면 밭재배보다 소출이 많이 나고 좋은 쌀을 생산하는데 유리하다.

 

 

다. 벼 품종 이름에 얽힌 얘기

 

새로운 볍씨가 개발되면 육종가는 마치 자식을 낳으면 이름을 지어 주듯이 새로운 벼에 품종 이름을 지어주어야 한다. 이럴 경우 육종가들은 그 벼 품종의 유래나 주요한 특징 및 적응지역을 고려하여 작명을 하기에 여간 고심하지 않는다. 이 새로운 이름은 기존의 품종명에서 없었던 것으로 부르기에 좋으면서 그 품종의 특징에 합당하는 의미도 나타내어야 하기 때문이다. 육종가가 지어 제시하는 몇 개의 품종 명명안은 ‘주요 농산물 종자심의회’에서 이를 다시 검토하여 그 중에서 적절한 것을 정하게 된다.

 

대개 품종명을 지을 경우 그 품종이 육성된 곳을 나타내는 지명이나 유명사적지명 등을 붙일 경우도 있고 그 양친 품종 이름에서 한 자씩 따서 붙일 경우도 있다. ‘수성(水成)’이나 ‘팔달(八達)’, ‘용주(龍珠)벼’, ‘밀성(憋成)’, ‘만경(萬頃)’ 등은 육성모지를 나타내는 이름이고, ‘진흥(振興)’, ‘재건(再建)’ 등은 농촌진흥청의 설립과 제3공화국의 출범시 슬로건과 관련된 이름이며, ‘관옥(關玉)’은 양친 품종 이름에서 따서 지어진 이름이다. 지난 1980년대부터 조생종은 산이름, 중만생종은 강이름을 붙이기도 하여 ‘오대벼’, ‘설악벼’, ‘관악벼’, ‘도봉벼’, ‘천마벼’, 그리고 ‘동진벼’, ‘낙동벼’, ‘섬진벼’, ‘한강찰벼’, ‘금강벼’, ‘영산벼’ 등 우리나라의 유명한 산이나 강 이름 중에서 부르기 좋은 이름은 이미거의 다 벼 품종 이름으로 써버린 상태에 이르렀다.

 

벼 품종명은 그 품종이 지니고 있는 대표적인 특서을 적절하게 나타내는 방향으로 짓는 경우가 많은데, 예를 들면 병충해나 재해에 대한 저항성이 강함을 나타내는 ‘청청(靑靑)벼’, ‘삼강(三綱)벼’, ‘상풍(常豊)벼’, ‘대안(大安)벼’ 등이나 쌀 품질 및 식미가 양호함을 나타내는 ‘수정(水晶)벼’, ‘청명(晴明)벼’, ‘진미(珍味)벼’, ‘일품(一品)벼’ 등이 그것이다. 또한 꽃가루 배양법을 이용하여 육성된 품종들은 ‘화성(花成)벼’, ‘화청(化淸)벼’, ‘화중(花中)벼’, ‘화남(花南)벼’ 등 과 같이 모두 ‘화’자 돌림으로 명명되어 있어 특수한 육종법에 의해 만들어졌음을 쉽게 알 수 있게 하였다.

 

2) 전국의 벼 품종

 

(1) 극조생, 조생

 

종 명 간장(cm) 수수 내만식성 내냉성 내도복성 탈립 수발아 현 미천립중

(g)

밥맛 심복백
적파만식 만파만식
화 성 벼 82 안됨 22.4 드뭄
팔 공 벼 85 약간 적음 22.9 없음
화 진 벼 81 중강 안됨 적음 20.3 드뭄
동 해 벼 79 많음 안됨 적음 20.6 드뭄
청 명 벼 71 많음 안됨 21.4 드뭄
장 안 벼 75 많음 안됨 21.0 드뭄
서 안 벼 80 많음 안됨 적음 20.6 드뭄
봉 광 벼 94 많음 중약 안됨 22.0 없음
신선찰벼 99 중강 중약 안됨 적음 22.0 찰벼
안 중 벼 76 안됨 22.6 드뭄
화 영 벼 77 안됨 22.8 드뭄
간 척 벼 69 안됨 적음 21.3 드뭄
화선찰벼 80 안됨 적음 20.8 찰벼
화 중 벼 80 중강 안됨 적음 22.1 드뭄
농 안 벼 76 적음 중약 안됨 적음 18.2 드뭄
대립벼1호 88 적음 중강 약간 적음 34.8 대립
주 안 벼 71 중강 안됨 중약 21.1 드뭄
안 산 벼 70 안됨 적음 20.0 드뭄
종 명 간장(cm) 수수 내만식성 내냉성 내도복성 탈립 수발아 현 미천립중

(g)

밥맛 심복백
적파만식 만파만식
금오벼1호 73 안됨 적음 21.3 드뭄
내 풍 벼 75 많음 중약 중약 안됨 20.2 드뭄
다 산 벼 73 안됨 적음 23.5 약간
남 천 벼 80 잘됨 적음 21.3 약간
서 진 벼 79 안됨 22.8 드뭄
금오벼2호 75 안됨 21.8 드뭄
영 해 벼 81 많음 중강 중강 중강 중강 안됨 적음 22.8 드뭄
수 라 벼 75 안됨 적음 21.5 드뭄
화 봉 벼 78 안됨 적음 22.2 드뭄
원 황 벼 76 안됨 적음 20.7 드뭄
광 안 벼 86 잘됨 적음 22.4 드뭄
안 다 벼 81 안됨 적음 23.5 드뭄
진 품 벼 83 중강 안됨 적음 21.4 드뭄
안 성 벼 83 안됨 적음 21.4 드뭄
중 안 벼 86 안됨 적음 21.3 드뭄
소 비 벼 84 적음 중강 중강 안됨 27.3 드뭄
아 름 벼 84 잘됨 적음 22.4 약간
설향찰벼 89 안됨 적음 20.4 찰벼

 

 

(2) 중생종

 

종 명 장폭비 도열병 백엽고병 호엽고병 흑 조위축병 벼멸구 장려품종결정년도 수량성(kg/10a)
K1 K2 K3
화 성 벼 1.75 `85 493
팔 공 벼 1.76 `86 510
화 진 벼 1.70 중약 `88 516
동 해 벼 1.78 `88 493
청 명 벼 1.76 중약 `89 511
장 안 벼 1.75 `89 520
종 명 장폭비 도열병 백엽고병 호엽고병 흑 조위축병 벼멸구 장려품종결정년도 수량성(kg/10a)
K1 K2 K3
서 안 벼 1.97 중약 `90 505
봉 광 벼 1.81 `74 447
신선찰벼 1.93 중강 `82 485
안 중 벼 1.85 중강 `91 519
화 영 벼 1.79 중강 `91 505
간 척 벼 1.78 `92 496
화선찰벼 1.90 중강 `92 464
화 중 벼 1.92 중약 `93 481
농 안 벼 1.93 중강 `93 515
대립벼1호 1.94 `93 442
주 안 벼 1.72 중약 중약 중약 중약 `94 503
안 산 벼 1.97 `95 509
금오벼1호 1.74 `95 465
내 풍 벼 1.75 중강 `95 527
다 산 벼 2.23 `95 677
남 천 벼 1.79 `95 663
서 진 벼 1.86 `96 522
금오벼2호 1.76 `96 511
영 해 벼 1.76 `97 538
수 라 벼 1.88 `98 552
화 봉 벼 1.77 중강 `98 552
원 황 벼 1.82 중강 `98 551
광 안 벼 1.86 `98 543
안 다 벼 2.62 중강 `98 727
진 품 벼 1.78 `99 552
안 성 벼 1.87 중강 `99 557
종 명 장폭비 도열병 백엽고병 호엽고병 흑 조위축병 벼멸구 장려품종결정년도 수량성(kg/10a)
K1 K2 K3
중 안 벼 1.68 `99 580
소 비 벼 1.86 `99 583
아 름 벼 1.97 중강 `99 741
설향찰벼 1.81 `99 523

 

 

(3) 중만생종, 밭벼

종 명 간장(cm) 수수 내만식성 내냉성 내도복성 탈립 수발아 현 미천립중

(g)

밥맛 심복백
적파만식 만파만식
일 품 벼 79 안됨 적음 21.3 드뭄
낙 동 벼 95 약간 적음 22.0 드뭄
추 청 벼 100 많음 중강 안됨 적음 20.0 없음
동 진 벼 94 중강 약간 적음 22.8 적음
탐 진 벼 87 안됨 적음 23.5 드뭄
계 화 벼 81 중강 중강 안됨 22.0 드뭄
대 청 벼 90 안됨 22.8 드뭄
만 금 벼 85 중강 중약 안됨 적음 20.5 없음
영 남 벼 75 안됨 적음 20.8 드뭄
대 야 벼 74 중약 중강 안됨 적음 23.7 드뭄
향미벼1호 72 적음 잘됨 적음 20.6 향미
화 남 벼 77 안됨 적음 19.8 드뭄
대 안 벼 76 많음 중강 안됨 적음 21.7 드뭄
금 남 벼 79 중강 안됨 적음 20.5 드뭄
양 조 벼 71 안됨 적음 25.4 양조
화 신 벼 87 안됨 적음 22.5 없음
일 미 벼 79 중강 안됨 적음 19.8 드뭄
향 남 벼 82 안됨 21.2 향미
종 명 간장(cm) 수수 내만식성 내냉성 내도복성 탈립 수발아 현 미천립중

(g)

밥맛 심복백
적파만식 만파만식
화 삼 벼 81 중강 안됨 적음 20.4 드뭄
동 안 벼 78 안됨 적음 24.5 드뭄
대 산 벼 80 중약 약간 적음 20.3 드뭄
화 명 벼 80 많음 중강 안됨 21.0 드뭄
남 평 벼 80 안됨 적음 21.7 드뭄
남 강 벼 85 중강 중강 중강 중강 안됨 적음 21.9 드뭄
아랑향찰벼 88 중강 안됨 적음 20.5 향찰
흑 남 벼 73 안됨 적음 23.5 유색
호 안 벼 78 안됨 적음 21.0 드뭄
농 호 벼 84 안됨 적음 20.7 드뭄
동진찰벼 80 안됨 적음 22.3 찰벼
미 향 벼 79 안됨 적음 22.6 향미
새추청벼 95 많음 안됨 적음 20.5 없음
신동진벼 80 적음 중강 중강 안됨 중약 27.3 드뭄
수 진 벼 81 중강 중강 약간 적음 20.9 드뭄
농림나1호 82 적음 중강 약간 잘됨 21.3
상남밭벼 83 적음 안됨 20.1
품 종 명 장폭비 도열병 백엽고병 호엽고병 흑 조위축병 벼멸구 장려품종결정년도 수량성(kg/10a)
K1 K2 K3
일 품 벼 1.83 `90 534
낙 동 벼 1.72 중강 `75 468
추 청 벼 1.82 `70 453
동 진 벼 1.78 중강 `81 479
탐 진 벼 1.87 중강 중강 `88 481
계 화 벼 1.76 중강 중강 중강 중강 `89 478
대 청 벼 1.85 `84 487
품 종 명 장폭비 도열병 백엽고병 호엽고병 흑 조위축병 벼멸구 장려품종결정년도 수량성(kg/10a)
K1 K2 K3
만 금 벼 1.64 `91 478
영 남 벼 1.71 중강 `91 479
대 야 벼 1.79 `92 480
향미벼1호 2.44 중강 `93 493
화 남 벼 1.79 중강 `93 509
대 안 벼 1.83 `94 511
금 남 벼 1.75 `94 521
양 조 벼 1.78 중강 `94 511
화 신 벼 1.73 중강 중강 중강 `95 532
일 미 벼 1.73 중강 `95 522
향 남 벼 1.81 중약 `95 503
화 삼 벼 1.79 `96 534
동 안 벼 1.70 `96 533
대 산 벼 1.74 중강 `96 538
화 명 벼 1.78 `97 505
남 평 벼 1.63 `97 547
남 강 벼 1.76 `97 552
아랑향찰벼 1.90 `97 537
흑 남 벼 2.14 중강 `97 497
호 안 벼 1.76 `98 539
농 호 벼 1.77 중강 `98 562
동진찰벼 1.70 `98 549
미 향 벼 1.86 중강 `98 557
새추청벼 1.74 `99 558
신동진벼 1.88 `99 596
수 진 벼 1.62 중강 `99 551
농림나1호 1.90 중약 중강 중강 `67 240
상남밭벼 1.68 `88 2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