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파종작업의 생력화

(가) 줄뿌림파종기를 이용한 생력파종법

파종작업의 전(前)단계로 경운, 정지, 시비 등의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들 작업은 콩 재배의 출발점이며, 이 작업의 정밀도 가 콩의 출아, 입모 및 생육에 큰 영향을 미친다. 콩의 파종작업은 작부방식, 파종기 및 노동력 등에 따라 다양하나 관행적으로 점파재배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 파종노력 절감의 일환으로 조파 또는 산파재배 면적이 늘어나고 있는 바 1989년 처음 농가에 보급된 트랙터 부착용 줄뿌림파종기를 이용한 생력 파종법이 90년대 초 개발되었으며, 최근에는 무경운 파종 방법에 대한 시험도 이루어져 보급 확대를 위하여 농가에 시범재배 되고 있는 바 줄뿌림 파종기를 이용한 파종 방법은 다음과 같다.

○ 파종량 조절

콩은 품종에 따라 대립, 중립 및 소립종으로 구분되는데, 동일품종이라도 파종기, 재배지역 및 토양비옥도 등에 따라 변이가 크므로 줄뿌림파종기를 이용하여 파종할 경우에는 파종 전에 종자의 100립중을 조사하여 종자배출 롤러 가로홈의 열림량을 조절하고, 1m당 떨어지는 입수를 재식개체수에 맞추어 파종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같은 재식밀도에서도 100립중에 따라 종자 소요량이 크게 달라진다.

[표 7-9] 품종별 종자크기에 따른 파종량

품종별 종자크기에 따른 파종량 테이블
품종 롤러 홈 크기(mm) 1m당 파종립수(개) 파종량(kg/10a)
적파 만파 적파 만파 적파 만파
은하콩 4.4 6.2 13.2 19.8 2.8 4.2
두유콩 6.1 8.5 13.2 19.8 3.8 5.7
만리콩 8.3 11.8 13.2 19.8 5.2 7.7
황금콩 9.4 13.2 13.2 19.8 6.0 9.0
○ 재식밀도
콩 재배시 알맞은 재식밀도를 확보하지 못하고 너무 넓게 심으면 경장이 짧아지고, 분지수가 많아 도복에 강해지지만 단위면적당 생육량의 부족으로 수량이 떨어지며 지나치게 밀식이 되면 도복이 되는 등 재식밀도는 수량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으므로 단위면적당 광합성 능력을 최대로 하기 위해서는 도복이 되지 않는 범위에서 밀식 할수록 유리하며 증수효과도 크다. 트랙터 부착용 줄뿌림 파종기는 품종 및 초형에 따라 적용 재식거리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즉, 단경 밀식적응 품종은 30∼40cm 간격으로 4줄, 일반품종은 60∼65cm간격으로 2줄 파종이 가능하다.
○ 파종노력
트랙터 부착용 줄뿌림파종기는 관행 점파나 기존 경운기 부착용 파종기와 달라서 로터리 경운, 쇄토(흙부수기), 파종, 복토(흙덮기)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파종의 정밀도와 생력화를 높일 수 있고, 작조장치에 장력유지 스프링이 있어서 밭이 거칠더라도 파종깊이 일정하게 밭 조건에 따라 그 장력을 조정하여 줌으로써 파종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콩 재배 총작업시간은 54.1시간/10a이 소요되고 있으며, 그 중 파종작업시간이 30%로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줄뿌림 파종기의 파종노력 절감효과는 경운시 인력 관행 대부 95%의 생력화 정도를 나타내었다.

[표 7-10]경운작업의 기계화시 파종작업의 생력화 정도

품종별 종자크기에 따른 파종량 테이블
구분 경운·정지 비료 살포 파종 생력화(%)
정운 3.9 2.0 4.0 9.9 5
인력관행 47 39 102 188 100

(단위 : 시간/ha)

○ 수량성
콩 재배시 다수확을 올리기 위한 가장 필수적 요인중의 하나가 적정 재식개체수의 확보인데 관행재배법, 즉, 인력 점파를 할 경우에는 적정 재식개체수의 확보가 쉽지만 파종노력이 많이 드는 반면 전면산파의 경우 파종노력은 줄지만 적정 재식개체수 확보가 어려워 수량이 떨어진다. 줄뿌림파종기는 파종노력과 경비를 줄일 수 있고 복토 균일성, 적정파종깊이, 파종량 조절에 의한 적정 재식개체수의 확보가 쉬워 수량면에서도 유리한 점을 가지고 있다.

(나) 기타 기계를 이용한 파종법

○ 무경운 또는 최소경운 조파
무경운 조파는 밭을 갈지 않고 콩을 줄뿌림하는 방법이며, 최소경운은 밭을 최소한으로 갈아 재배하는 방법을 말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무경운 조파는 맥후작 콩 파종시 보리 수확 후 밭을 갈지 않고 바로 콩 파종을 함으로써 노력절감과 파종기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개발된 방법이다. 밭을 갈지 않는 상태에서 경운기 또는 트랙터 부착용 줄뿌림파종기를 이용하여 직접 파종하는 방법인데, 경운기 또는 트렉터 부착용 줄뿌림 파종기 자체에 붙어있는 로타베이타에 의해 최소한의 로터리 작업이 이루어 진 다음 파종이 되므로 최소경운 조파라고도 말하며, 수확물잔재를 포장에 그대로 남겨두는 것을 전제로 한 파종방법이다.
최근에는 미국을 비롯한 브라질, 멕시코 및 유럽 각국에서 최소경운 재배법이 급속하게 보급되어 재배면적이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다. 현재 미국 농무성에서는 최소경운 재배법을 [경제적인 면에서 가장 유효한 토양침식의 방지책] 이라 하여 보급을 장려하고 있다. 그들의 추정에 의하면 1974년도 최소경운 재배면적이 220만ha이던 것이 2000년도에는 6,200만ha 즉 미국 농경지의 45%에 달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일본에서도 최소경운재배 연구가 수행되어 관동, 북해도 등의 전작물지대에서는 최소경운재배의 도입 가능성이 인정되고 있다. 따라서 최소경운 파종에 대해서 국립연구기관, 현시험장 및 민간의 연구기관에서 많은 기계가 개발되었고 또 실용성이 검증되어 시판단계에 있다. 일본에서 최소경운 파종에 대한 연구는 앞작물 수확 후 조기파종이 가능하기 때문에 논의 윤작체계에도 콩을 도입하기 쉽고, 강우 후에도 작업이 가능하여 적기파종 및 작기확대가 용이한 점과 경운작업의 생략으로 생력효과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 최소경운 재배년한
– 재배년수에 따른 생육 및 수량
콩의 연작에 의한 수량감소의 원인으로는 석회등의 집중수탈, 토양비료분의 불균형에 의한 100립중의 저하, 조기황화현상, 토양선충, 콩나방, 입고병의 증가 등을 들 수 있다. 권업모범장(1915)은 4년간의 연작에 의하여 콩 수량이 15∼16%의 감수를 보였다고 하였으며 大久保(1980)는 3년간의 연작으로 20∼25% 감수되며 일본의 경우 추운 지역에서는 콩 토양선충, 따뜻한 곳에서는 근류선충의 피해 그리고 배수가 불량한 답전전환 밭에서는 입고성 병해가 주원인이라고 보고하였다. 최소경운 재배년수에 따른 수량성은 2년차 까지는 매년경운 재배와 큰 차이가 없었으나 3년차부터는 매년 경운재배 대비 88∼43%로 현저히 감소하는 바, 콩의 최소경운 재배는 최소경운재배 1년 후 경운재배 1년이 바람직하나, 최소경운재배의 한계년수는 2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림 7-2] 최소경운 재배년수에 따른 생육 및수량비교

최소경운 재배년수에 따른 생육 및 수량 비교 : 매년경운은 245kg/10a이고 1년,2년,3년,4년에 따른 수량 그래프입니다.
최소경운 재배년수에 따른 생육 및수량비교 테이블
재배구분 매년경운 1년 2년 3년 4년
최소경운
100립중(g) 12.3 11.9 9.4 8.9 8.2
흑색뿌리썩음병
이병주율(%)
0.0 0.0 0.5 5.8 23.5
도복(0-9) 0 0 0 1 1

(`94∼`97 호시)

– 재배년수에 따른 토양물리성 변화
최소경운 재배년수에 따른 토양물리성 변화를 보면 아래표와 같다. 토양 수분함량은 매년 경운재베에 비해 최소경운 재배년수가 경과할수록 토심에 관계없이 토양수분함량이 많은 경향이었다. 콩 최소경운재배는 토양침식을 방지하고 토양수분보유력을 향상시켜 한발의 위험도를 감소시킨다 하여 미국 농무성(199)에서도 풍식이 심한 지대에 풍식방지를 위하여 최소경운 재배를 장려하고 있다. 토양의 3상중 기상율은 표토의 경우 최소경운 재배후 2년, 심토는 최소경운 재배당년도부터 높아지고, 경도는 최소경운 재배에서 매우 낮았으며 매년 경운시에는 토심 10∼15cm부위에 경반충이 형성되나 최소경운 재배에서는 재배년수가 경과할수록 경반층이 얕고 깊어지는 양상을 보인다. 이는 콩 재배시 경운을 하지 않아 입단이 파괴되지 않고 수직배수가 양호하여 뿌리의 생육에 유리하게 작용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표 7-11] 최소경운 년수에 따른 토심별 토양물리성변화

최소경운 년수에 따른 토심별 토양물리성변화 테이블
재배구분 토심별 토양수분(%) 공극율(%) 삼상(%) 경도(mm)
고상 액상 기상
매년경운 표토 11.8 50.4 49.6 15.0 35.4 21
심토 11.8 43.5 56.5 15.7 27.8 23
최소 1년 표토 12.3 49.2 50.8 13.2 36.0 20
심토 12.5 44.8 55.2 14.2 30.6 21
경운 2년 표토 13.0 53.1 46.9 13.0 40.1 18
심토 14.0 45.5 54.5 14.0 31.5 19
3년 표토 14.0 57.0 43.0 12.9 44.1 10
심토 15.2 47.9 52.1 15.5 32.4 19

※ 자료 : `94∼`97, 호시

○ 무경운 보리골 산파
무경운 보리골 산파는 보리 수확 후 파종노력을 줄이기 위하여 개발된 방법으로 보리를 벤 그루터기에 콩 종자를 뿌리고 그루터기가 없는 부분을 경운기로 갈아 그 흙을 이용하여 덮거나 경운기로타베이타를 이용하여 직접 덮는 방법이다. 파종노력은 다소 줄어드나 싹이 균일하게 나지 않아 수확량이 감소될 우려가 있다.
○ 휴립광산파(畦立廣散播)
휴립광산파는 남부 답리작지대에서 맥류 파종에 흔히 사용되는 방법으로 콩 파종에도 이용이 가능한데 먼저 종자, 비료, 퇴비 등을 밭 전면에 뿌리고, 휴립복토기로 배수를 겸한 골타기와 복토를 겸하여 실시하거나 경운기로 골을 타고 로타베이타로 정지하면서 복토하는 방법이다. 이 파종법은 파종노력은 줄어드나 싹이 균일하게 나지 않아 무경운 보리골산파의 경우와 같이 수확량이 감소될 우려가 있다.
○ 전면산파
전면산파는 콩 파종방법 중 노력절감 효과가 가장 크지만 수량성은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 이 방법은 밭전면에 비료, 퇴비, 종자를 뿌리고 경운기 또는 트랙터 로타베이타를 이용하여 복토하는 방법으로 흙덮기가 균일치 못하여 싹이 균일하게 나지 않는 어려운 점이 있으며, 배수로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게 되므로 배수가 불량한 밭에서 습해를 입을 우려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