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저장

콩을 안전하게 저장하기 위해서는 곰팡이가 자라거나 침투하지 못하도록 수분함량을 낮추거나 저장고의 공기를 충분히 저온 또는 낮은 습도로 유지시켜야 한다. 콩 종자의 수분함량이 12~12.5%일 때는 온도와 관계없이 저장고 내의 곰팡이 발생은 문제되지 않으며, 5℃저온에서 저장할 경우는 콩의 수분함량이 14.0~14.3%에서도 곰팡이 발생은 전혀 없다. 일반적으로 곰팡이는 온도가 4.4℃ 이하에서는 거의 자라지 못하며, 65%의 상대습도하에서 저장할 경우 수분함량은 11%~12%로 유지된다.
곰팡이와 해충은 저장 곡물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주요 원인이다. 곰팡이와 해충 모두 콩에 상처가 있거나 부산물이 섞여있을 때 많이 발생하며, 고온 다습한 조건을 선호한다. 해충은 건전한 콩 종자는 거의 먹지 않지만 곰팡이에 의해 변질된 콩은 쉽게 공격하여 피해를 준다.
콩은 다른 작물에 비해 저장기간 중에 수분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다. 안전하게 저장하기 위해서는 수분함량을 적어도 13% 이하로 낮추어야 한다. 수분함량이 12~12.5%인 콩은 4년간 저장하여도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나, 수분함량이 13%인 콩은 수확시기부터 초봄까지, 수분함량이 14%인 콩은 추운 겨울기간만 상품성을 유지하였다.
종자로 사용하고자 하는 콩은 종자활력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가공용 콩에 비해 수분함량을 적어도 1%는 더 낮게 유지시켜야 한다.
콩 종자가 품질과 관련하여 퇴화하는 주 요인은 생리적 및 병리적 퇴화로 나눌 수 있는데 종자의 퇴화는 생리적 성숙기 이후부터 이루어진다. 생리적인 퇴화는 종자가 생리적으로 성숙된 후 밤낮의 온도차이와 대기습도 등에 의하여 종자의 활성이 낮아지는 것을 의미하며, 병리적 퇴화는 곰팡이 및 세균 등과 같은 병원균이 종자에 침입하여 종자의 품질이 저하되고 발아력이 떨어지는 것을 말한다.
포장에서 종자의 퇴화정도는 품종간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데, 종자의 크기가 큰 품종일수록 종자의 퇴화가 급속이 이루어지며, 흑색콩은 황색콩에 비하여 퇴화가 느리게 진행되고, 종자의 크기가 비슷한 품종간에도 종자의 유전적 특성에 따라 퇴화정도에 차이를 보인다.
저장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인 온도는 수분함량과 밀접하게 관련되어있는데, 수분이 많은 콩은 상온에 비해 저온에서 더 오랜 기간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우리 나라에서는 남부지역이 중부지역보다 온도가 높기 때문에 남부지역에서 안전하게 콩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중부지역보다 콩의 수분함량을 더 낮추어야 한다. 또한 안전하게 콩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잡초종자나 이물질 그리고 균열이 심한 콩은 제거되어야 한다.
콩이 적정한 수분함량과 상대습도 조건에서 저장되더라도 콩더미 상층부에 이슬맺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저장고 내부의 온도차이가 심하면 이슬맺힘 현상이 발생하는데, 수확후 비교적 따뜻한 시기에 저장된 콩은 날씨가 추워짐에 따라 느리고 불균일하게 열을 잃는다.
늦가을과 겨울에 외부 온도가 떨어짐에 따라 저장고 외벽 근처의 콩은 빠르게 열을 잃지만 콩더미 내부에 있는 콩은 따뜻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 온도 차이에 의해서 공기는 벽쪽 아래에 있는 차가운 콩으로부터 위를 통해 따뜻한 콩으로 이동하게 된다. 차가운 공기가 위로 상승하면서 공기의 온도는 상승하고, 콩의 표면에 접촉한 후 다시 온도가 낮아진다. 공기가 위로 상승하면서 데워질 때 수분을 흡수하며, 차가운 공기가 따뜻한 공기에 비해 더 적은 수분을 유지하므로 공기는 차가운 콩 표면 위에 응축하면서 수분을 방출한다. 이 과정은 콩에서 온도 차이가 있는 한 계속되므로 제일 상층은 습도가 매우 높아지며 온도가 적당하다면 균류가 생장하기에 이상적인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콩더미 전체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하여 이슬맺힘 현상을 막을 수 있는데, 공기 순환은 콩의 내부까지 공기를 이동시켜서 콩더미 전체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하는 방법이며, 적은 양의 공기를 지속적으로, 또는 많은 양의 공기를 주기적으로 공급시켜야 한다.
공기순환을 위해서는 저장시설내 모터로 작동되는 환풍기, 공기 수송 시스템 또는 구멍이 뚫려 있는 마루시설 등이 필요한데, 이 시스템들은 공기를 아래로 이동시키며, 배기관에 있는 팬을 작동시켜서 이슬맺힘 현상이 발생하는 차가운 콩 표면뿐만 아니라 내부의 따뜻한 콩을 거쳐 방출 고온다습한 공기를 외부로 방출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