② 습해(濕害)

콩의 습해는 7∼8월 장마기간 또는 폭우기에 일시적으로 침수피해를 입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강우 중에 또는 강우 후에 배수 불량지에서 과습 조건이 오래 지속되는 배수 불량으로 콩의 생육과 수량을 크게 떨어뜨린다. 우리나라는 콩 생육시기로 보아 7∼8월은 영양생장을 마치고 생식생장으로 전환하는 중요한 시기로 장마로 인한 습해발생은 콩 증수재배에 제한 요인이 되고 있다. 과습장해는 토양 중에 포장 용수량 이상의 수분이 존재할 때 발생한다. 과습조건에 처하는 부위는 뿌리이므로 토양 공기의 산소부족과 양분과 같은 다른 조건들이 변화되어 유발되는 현상이다. 과습상태가 계속되면 토양내 양분의 용탈과 뿌리에서의 중간대사 물질의 용탈이 심화되어 양분부족현상을 일으키거나 토양의 기상(氣相)이 수분으로 채워지면서 뿌리의 산소부족, C0₂과다, 에틸렌 발생 등의 장해를 일으킨다. 산소가 부족하게 되면 뿌리는 물론 초관부의 생육이 저해되고 잎이 커지거나 정부우세현상(頂部優勢現象)이 억제되는 등 형태적 변화가 일어나며, 광합성이 저해되어 무기호흡으로 인하여 pyruvate, ethanol 및 lactate 등의 유해물질이 축적된다. 조직내에도 C0₂농도가 높아져 독성물질이 축적되고 nitrate reductase 등의 효소 활성이 저하되며 전형적인 생장억제물질인 에틸렌도 과습시 증가한다고 한다.

○ 습해 대책

– 내습성 품종 선택 우리나라에서 육성 보급되고 있는 35개 콩 품종들에 대하여 내습성 정도를 분류하면 내습성이 강한 품종이 10품종, 중강(中强) 14품종, 중약(中弱) 6품종, 약(弱) 5품종으로 분류되였다(홍 등, 1998). 따라서 이러한 내습성이 비교적 강한 품종을 선택 재배하는 것이 습해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라 하겠다.

<표 5-3> 지상부건물중의 대조구 대비 과습구의 습해지수에 의한 내습성정도 구분

(홍 등 1998)

 

지상부건물중의 대조구 대비 과습구의 습해지수에 의한 내습성정도 구분
습해지수 구분 품 종 명
85%이상 새알콩, 무한콩, 장수콩, 단원콩, 만리콩, 태광콩, 화엄풋콩, 진품콩, 익산나물콩, 소백나물콩 (10품종)
75 ∼ 84 중강 장엽콩, 황금콩, 밀양콩, 백운콩, 보광콩, 단경콩, 은하콩, 큰올콩, 신팔달콩2호, 부광콩, 광안콩, 푸른콩, 두유콩(14품종)
65 ∼ 74 중약 남해콩, 장경콩, 삼남콩, 검정콩1호, 신팔달콩, 금강콩 (6품종)
65%이하 단엽콩, 한남콩, 단백콩, 명주나물콩, 진품콩1호 (5품종)

 

 

– 요소 엽면시비 개화기에 지하수위 5∼7cm의 습윤 조건으로 7일간 두었을 때 1%의 요소용액을 엽면 살포하면 정상 수량을 낼 수 있으며, 지상수위 2∼3cm의 담수처리를 하더라도 1%의 요소액을 엽면 살포하면 광합성이 증진되고 피해를 경감시킬 수 있다.

<표 5-4>요소엽면 시비에 따른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 (Hideki, 1998)

 

처리 협수
(개/개체)
협당립수
(개)
100립중
(g)
개체당수량
(g)
적습, 무살포
적습, 살포
습윤, 무살포
습윤, 살포
담수, 무살포
담수, 살포
63.25
62.80
60.00
62.80
41.25
43.50
1.80
1.80
1.71
1.74
1.83
1.90
25.66
26.48
25.58
26.58
27.13
28.00
29.21
29.93(102)
26.25
29.04(111)
20.48
23.14(113)
LSD0.05 2.20 0.09 0.8 0.86

 

※ ( )은 무살포대비 수량지수(%)

기타 재배기술 개선

·배수로와 암거의 설치로 정체수(停滯水)를 제거한다.

·경엽의 과번무를 피하기 위하여 시비량을 조절하고 배토를 한다.

·생육중기의 장마로 인한 도장을 극복하기 위하여 적심을 한다.

·밭갈이와 재식밀도를 조절하여 토양침식을 방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