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 생태적 특징
가.생리적 특징

1) 꽃눈 형성 및 유지가 용이하여 격년 결과성이 적다.

배나무는 꽃눈 형성이 좋고 배나무 특유의 단과지군이 잘 형성, 유지되어 격년결과(隔年結果)가 되지 않는다. 또한 전정 방법이나 정도에 따라, 꽃눈 형성 정도가 사과처럼 민감하지 않아 대체로 전정상 큰 문제가 없어 표준 생산량을 유지하기 쉽다. 그러나 품질이 좋은 과실을 많이 생산하기 위해서는 가지의 골격 형성, 결과지의 확보 및 배치, 묵은 결과지의 갱신 등 전정 기술이 필요하다.

2)도장지 발생이 많다.

배 재배시 도장지가 많이 발생되면 수관 내 광환경이 나빠져 꽃눈 형성 및 과실 품질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된다.도장지의 발생 원인은 토심이 깊어 뿌리가 수직으로 깊게 뻗을 경우, 토양내 질소 성분과 수분이 과다할 경우, 밀식에 의한 강전정의 경우, 또는 수형 구성시 주지를 급격하게 구부러 지게 유인할 경우에 도장지 발생이 많다. 이와 같은 도장지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나무의 주요 골격이 되는 주지와 부주지를 곧게 키우고, 주지 부주지의 상부와 하부의 굵기 차이가 나지 않도록 하여 양 수분의 흐름을 좋게 한다. 또한 주지 부주지의 연장지 세력을 강하게 유지 시키고, 지나친 강전정을 피하며, 예비지 전정을 실시하면, 도장지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3)가지가 직립성이다.

가지가 직립하면 성장이 강해지고 늦게까지 생장을 계속하게 되므로 가지가 자라는 데 동화 양분이 많이 이용되어 과실 생장과 꽃눈 형성 및 발달에 나쁜 영향을 주게 된다. 또한 직립성이 강한 가지는 좋은 결과지가 되기 어려우므로 결과지를 이용할 경우에는 여름철에 유인해 주어야 한다.신수와 같은 조생종 품종은 과실이 성숙할 수 있는 기간이 짧아 직립성의 가지를 그대로 두면 과실과 가지 생장간의 양분 결합에 의해 과실 생장이 저해 되므로 품질이 좋은 과실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가지를 유인해 주어 지나친 생장을 억제해야 한다.

4)가지 생장의 연속성이 없다.

배 묘목을 1cm정도 높이에서 절단한 후, 무전정 상태로 두면, 첫 해는 묘목 선단에서 2~3개의 새가지가 직립하여 강하게 자란다. 2년차 에서는 각 가지의 선단부 눈에서 1~3개의 새가지가 자라게 되고 아래는 중, 단과지도 다소 생기나 많은 눈이 잠아 상태가 된다. 3년차 이후도 2년차와 같은 형태로 자라게 되지만 선단에서 자라는 새가지의 길이는 매년 짧아지게 되고, 어느 시기에 가서는 선단의 신초 자람이 멈추고, 단과지만 형성된다. 이때 선단부의 자람이 멈추게 되면 주간이나 1년차에자란 가지의 기부 잠아나 중간아에서 웃자란 가지가 발생되어 가지가 복잡해 지고, 처음 자란 가지 위의 단과지는 고사되어 엽수와 엽의 크기도 작아지는데 이러한 경향은 햇빛을 잘 받지 못하는 가지에서 더 심해진다. 이와 같은 배나무의 생장 특성은 1년차 및 2년차 신초가 잘 자라는 정부 우세성이 보이지만, 연속적이 방임 하에서는 생장이 멈추게 되어, 가지 생장의 연속성이 없어지고, 동시에 기부잠아 부근에서 강한 도장성의 가지가 발생한다.

5) 품종에 따라 나무 특성에 차이가 있다.

배나무는 품종에 따라 정부 우세성, 단과지 형성 및 유지성, 가지 발생량, 액화아 형성 정도, 수세 등에 차이가 있으므로 이들 특성을 고려하여 전정 및 재배법을 달리해야 한다. 정부 우세성은 신수 품종은 강하고 풍수, 황금배, 장십랑 품종은 약하며, 추황배는 다소 강한 편에 속한다. 따라서, 가지 절단시는 정부 우세성 정도에 따라 가감해야 하며, 정부 우세성이 약한 품종은 수형 구성시 수관 확대가 늦어지기 쉽다. 단과지 형성 및 유지성 정도는 품종에 따라 차이가 크며 신고,풍수, 황금배, 추황배 품종은 단과지 형성과 유지가 잘 되나, 신수와 행수 품종은 잘 되지 않는다. 또한 장십랑, 풍수, 추황배 품종은 가지 발생량이 많고 신수 품종은 극히 적으며 신고, 영산배 등은 적은 편에 속한다. 가지 발생량이 많은 품종은 여름철 수관 내부 광환경이 나빠지기 쉬우므로 여름 전정에 의해 광환경을 좋게 해야 하며, 가지 발생량이 적은 품종은 가지를 유인하여 결과지를 확보해야 한다.

나. 생태적 특징

1) 온도

경제적 재배 온도는 생육 기간 중 고온량 지수(월평균 5℃ 이상의 달에서 5℃뺀 온도 합계)가 85℃선이며, 충남 이북 지방은 조·중생종 재배는 적합하나, 만생종은 생육 기간 중의 적산 온도가 부족하여 과실 품질 저하로 부적합하다. 남부 지방 에서는 조생종~만생종 모두 품질이 우수하여 기온상으로 재배 적지라고 할 수 있다. 배의 주산지는 1일 평균 기온 10℃ 이상 일수가 215~240일이 되어야 한다. 한국배의 자발 휴면 완료기는 12월 하순~1월 중순이다. 개화기 저온은 화기에 직접 동해를 주어 수분과 결실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화분 매개 곤충인 꿀벌은 18.3℃ 이하에서는 벌집에서 나오지 않으며, 바람이 적고 기온이 21℃ 되면 활발히 날아 다니며 수분 작용을 한다.

2) 강우량

한국배는 생육 기간 중 강우량이 많고, 습윤한 기후 조건에 적합한 과수이다. 생육 기간 중 기온이 낮고 강우량이 적은 지방에서 생산된 과실은 품질이 떨어진다. 특히 공기 습도는 과피 색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생육 기간 중 다습한 기후 조건에서 장십랑과 조생종 품종은 적갈색을 나타내고 여름철 건조한 기후에서는 중간색을 띤다. 금촌추와 만삼길 등은 기후의 건습에 관여하지 않고 적갈색을 띤다. 과피에 형성되는 과점콜크인 녹도 생육 기간 중 강우량의 다소에 따라서 영향이 다르다. 4~10월 강우량이 많은 지방에서 생산된 과실은 과면이 거치고 과점이 크며 일정 과피 표면적당 과점수가 많다. 생육 기간 중 강우량이 적은 지대에서는 봉지 재배를 하여 봉지내 습도의 변화를 적게 한다. 과육 중의 석세포는 건조한 지역에서 생산된 과실에 많이 생긴다. 이러한 현상은 공중 습도의 원인 뿐만이 아니고, 토양 수분 부족에 따른 칼슘 흡수 장해 또는 고온에 깊은 관계가 있다.

3)일조

배나무는 광선 부족에 매우 민감한 과수이다. 차광에 의한 배의 건물량 생성 기능은 사과와 같이 타 과수에 비하여 가장 심하게 영향을 받는 과수이다. 특히 칼리 성분이 부족한 경우, 직사광선을 받지 않는 단과지의 과실은 비대 생장이 억제되어 소과로 되는 경우가 많다. 과실의 당도에 영향을 미치는 광선의 효과는 광선 투과가 다른 봉지를 20세기 품종에 씌운 후, 성숙 과실의 당 함량을 비교 분석한결과, 봉지를 씌우지 않은 과실의 당도가 가장 높고, 봉지 종류에 따라 7~8℃까지 차이가 있었다. 광선 투과가 가장 낮은 흑색 봉지구 에서는 5%로 감소되어 차광과는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과실의 당분은 과실에 인접한 잎의 동화 작용에 기인하여 생성된 것이고, 과실 자체에 의한 광합성 작용은 극히 적다.

4)토양 조건

① 토양 공기

배나무의 신초 생장을 억제 시키는 것은 토양 내의 산소 농도 부족이다. 밀봉 처리한 포트 내에 토양 공기의 산소 농도가 7~8%일 때는 배 묘목이 정상적인 생육을 한다. 배 신근의 생성을 억제하는 산소 농도는 2% 이하이다.

② 토양 수분

배 묘목 생육에 미치는 토양 수분 함량은 건토중으로 하여 30%~40%가 가장 양호하며, 20%이하에서는 현저히 억제되고, 15%로 되면, 지상부는 생육이 정지되며, 9%에서는 위조되기 시작한다. 배뿌리는 30%~40%의 적습의 수분에서는 외피는 황갈색~선갈색을 나타내고 흡수부가 크게 자라지만,토양 수분이 10%내외로 되면, 뿌리색은 암갈색으로 변하고 굵기도 가늘어 지며, 신근이 형성되어도 백색부는 볼 수 없게 된다.

③토양의 내건성 및 내수성

배나무의 내선성이 토양 수분 당량에 가까운 24%에 달하면, 가지의 생장이 정지되고 잎의 위조가 시작되므로, 건조에 대한 저항성이 타 과수에 비하여 현저히 약하다. 내수성과 관련되는 가지 신장, 잎의 위조, 동화 작용, 뿌리 신장, T/R율의 변화는 배는 중간에 속한다.

④토양의 비옥도

배나무는 비옥하고 경토가 깊은 토양이 알맞으며 하층토는 배수가 양호하고 토양 수분량이 높은 사양토, 식양토, 식토 등이 적합하다. 표층에서 60cm 깊이까지 공기 함량이 10% 이라도 지하수가 유동하고 있으면 신선한 산소가 용존하고 있어 직근은 토양 깊이까지 신장한다. 지력이 척박하고 건조한 사토에 심어진 나무는 영양 생장이 불량하고 수량이 적으며, 석세포가 많아, 육질이 불량한 과실이 생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