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품질쌀 안전재배를 위한 시비요령경기도농업기술원
  비료사용 실태 및 농업환경  ○ 최근들어 시비량이 줄어들고 있으나 ’90년대 초반까지 증산 위주의 비료사용 습관이 남아있어 아직까지도 기준량보다 30%이상 많이 사용하고 있음  [비료 성분별 사용실태]  
비료 성분별 사용실태에 관한 테이블
| 성분별 | 사 용 실 태 |  
| 질 소 | 가지거름(분얼비)과 이음거름 기준으로 기준량보다 50%이상 사용하며 일부농가는 200%(2배)이상 사용하는 경우도 있음 |  
| 인 산 | 저인산 복합비료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음 |  
| 칼 리 | 저칼리 비료사용량이 늘고 있으나 과비된 포장에서 이삭거름 시용시 도복방지가 가능하다고 과다사용하는 경우가 많음 |  
| 규 산 | 규산질 비료가 4년주기로 무상공급되고 있으나 노력부족 등으로 사용을 기피하는 경우가 있음 |  ○ 비료살포시 적기를 지키지 않아 비료효과가 낮아지거나 도복의 원인이 됨 – 밑거름 : 3월중순부터 사용 – 가지거름 모낸 후 20∼30일경 이음거름으로 시용  논토양 비옥도 현황(1999년)  
1999년 논토양 비옥도 현황
| 구 분 | 산도 | 유기물 (g/kg)
 | 인산 (mg/kg)
 | 치환성양이온(cmol/kg) | 규산 (mg/kg)
 |  
| 칼리 | 칼슘 | 마그네슘 |  
| 경 기 | 5.5 | 23 | 93 | 0.35 | 3.9 | 1.2 | 101 |  
| 전 국 | 5.7 | 22 | 136 | 0.32 | 4.0 | 1.4 | 86 |  
| 적정치 | 6.0∼ 6.5
 | 25∼ 30
 | 80∼ 120
 | 0.25∼ 0.30
 | 5.0 | 1.5 | 130∼180 |  ※ 경기 422점 전국 4,047점 조사 ○ 유기물 : 전국 평균보다 약간 높으나 적정치의 90%수준임 ○ 인 산 : 평균 93mg/kg으로 적정치(100mg/kg)보다 낮은 수준이며 논에 맥류, 채소 등을 벼 심기전에 심은 논과, 가축분뇨를 과다시용한 논(약 20%)에서는 300∼500mg/kg으로 높은 상태임 ○ 칼 리 : 0.35cmol/kg으로 전국 평균보다도 높고 적정치(0.27cmol/kg)보다 높은 논이 56%임 ○ 마그네슘 : 1.2cmol/kg로 전국 평균치나 적정치보다 낮은 경향임    효율적인 시비요령  ○ 알맞는 시비량을 알기 위하여는 시군농업기술센터에 토양정밀분석을 의뢰하여 정확한 양을 결정 ※ 시비처방량은 일반계품종(평균) 500kg을 생산할 수 있는 양임 ○ 검정을 하지 않았을 때는 토성별 시비기준량을 지키되 오수유입, 객토 등 자기논의 환경에 따라 가감(kg/10a)
   
비 종,논유형별 시비기준량,비 고에 관한 테이블
| 지 대 | 논 유 형 | 시 비 기 준(성분량) |  
| 질소 | 인산 | 칼리 |  
| 평야지 및 중간지 (표고 250m이하)
 | 보통논, 미숙논 | 11 | 4.5 | 5.7 |  
| 모래논, 고논 | 13 | 5.1 | 7.1 |  
| 중산간지 (표고 250∼400m)
 | – | 11 | 6.4 | 7.8 |  
| 간 척 지 | 염농도 0.1%이하논 | 18 | 5.1 | 5.7 |  – 질소질비료 나누어주는 비율(1모작기준) · 보통논, 미숙논 : 밑거름 50%, 새끼칠거름 20%, 이삭거름 20∼30% · 모래논, 고 논 : 밑거름 50, 새끼칠거름 20, 이삭거름 20, 알거름 10% ○ 생육단계별 사용시기 준수 – 밑거름 · 보통논, 미숙논, 고논 : 써레질직전 살포후 로타리작업 실시 · 모래논 : 이앙전 살포(표층시비) – 새끼칠거름 : 모낸 후 12∼14일(생육촉진 필요시 모낸후 10일경) – 이삭거름 : 이삭패기전 25일경(어린이삭 길이가 1∼1.5mm일 때) – 알거름(모래논) : 이삭이 80% 팼을 때(생육이 저조할 때 시용)    비료 종류별 시비 기준량 ○ 밑거름(1모작 평야지, 중간지 기준) (10a당)
   
새끼칠거름,이 삭 거 름,알거름에 관한 테이블
| 구 분 | 비 종 | 논유형별 시비기준량 | 비 고 |  
| 보통논,미숙논 | 모래논,고논 |  
| 일반복비 | 22-12-12(신세대 비료) | 25kg(1.3포) | 30kg(1.5포) | 인산, 칼리함량이 많은논 |  
| 21-9-16(신저인산) | 26(1.3) | 31(1.5) | 인산함량이 많은 논 |  
| 21-17-17 | 26(1.3) | 31(1.5) | – |  
| 17-21-17 | 32(1.6) | 38(1.9) | 인한, 칼리함량이 적은논 (객토지, 개간지)
 |  
| 미량원소 함유비료
 | 21-12-11(플러스3) | 26(1.3) | 31(1.5) | – |  
| 15-10-10(도우미벼) | 37(1.9) | 43(2.2) | – |  
| 12-7-6(알찬들) | 46(2.3) | 54(2.7) | – |  
| 12-10-9(한아름) | 46(2.3) | 54(2.7) | – |  
| 11-6-6(쌀맛나) | 50(2.5) | 59(3.0) | – |  
| 11-9-8(으뜸비료) | 50(2.5) | 59(3.0) | – |  
| 10-8-7(쌀풍년) | 55(2.8) | 65(3.3) | – |  
| 완효성비료 | 18-7-9(단한번) | 50(2.5) | 60(3.0) | 웃거름 생략 |  
| 9-5-6(한번에 수도용) | 100(5.0) | 115(5.8) | 〃 |    ○ 웃거름 (실량 kg/10a)   
논유형에 따른 웃거름
| 논 유 형 | 새끼칠거름 | 이 삭 거 름 | 알거름 |  
| 요 소 | 복합비료 | 단 비 | 요 소 |  
| 비종 | 양 | 요소 | 염가 |  
| 보통논, 미숙논
 | 5 | 18-0-14 요 소
 | 12 2
 | 7 | 3 | – |  
| 모래논, 고 논
 | 6 | 18-0-15 | 14 | 6 | 4 | 3 |   ※ 이삭거름은 복합비료, 단비 중 1가지 선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