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논에 종자우렁이를 넣는 시기

이앙이 끝나면 준비된 종자우렁이를 넣어주어야 하는데 종자 우렁이를 넣는 시기는 이앙후 7일에 넣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표1)

 

표1. 왕우렁이 넣은 시기별 제초효과

(g/㎡건물중)

왕우렁이 넣은 시기별 제초효과에 관한 테이블
넣은시기 넣지 않은논 이앙직후 이앙 7일후 이앙 15일후
잡초발생량 64.8 2.6 0.9 19.8
제초효과(%) 0 96.0 98.6 69.4

 

* 방사량 : 5㎏/10a, 조사시기 : 이앙후 35일

 

이앙 직후에 넣어도 제초효과는 높으나 이앙묘에 피해가 있다. 이앙직후 모는 착근하지 않은 상태로 물속에 잠겨 있거나 수면에 잎이 처져있기 때문에 왕우렁이의 피해를 받기 쉽다. 그러나 이앙해서 7일정도 경과하여 새 뿌리가 나오고 자리를 잡아 모가 바르게 서고 키가 자라 수면위로 나오게 되면 왕우렁이의 피해를 막을 수 있다. 그리고 이 시기는 수면아래의 잡초 종자가 발아하는 시기임으로 발아와 동시에 왕우렁이의 먹이가 된다. 또한 왕우렁이 넣는 시기가 늦어지면 발아한 잡초가 자라서 수면위로 올라오게 되므로 왕우렁이가 잡초를 먹을 수 없어 제초효과는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벼에 피해가 없고 제초효과를 높일수 있는 이앙 7일후에 왕우렁이를 넣어야 한다.

 

(4) 종자우렁이 넣는 량

이앙 7일후에 종자우렁이를 넣어 주는 량은 10a의 논에 5㎏을 넣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표2)

 

표2. 종자우렁이 넣는량별 제초효과

종자우렁이 넣는량별 제초효과에 관한 테이블
넣은량(㎏/10a) 넣지않은논 5 10
넣은시기(이앙후) 7일 15일 7일 15일
잡초 발생량* 64.8 0.9 19.8 1.2 17.8
제초효과(%) 0 98.6 70.0 98.2 72.5

 

* 잡초 발생량(건물중) : g/㎡, ** 조사시기 : 이앙 35일후

 

종자우렁이를 논에 넣어 주는 량이 많아지면 초기에 먹이가 부족하여 굶어죽는 개체가 많아져 산란에 의한 어린 왕우렁이의 증식 밀도를 확보할 수 없어 잡초방제 효과가 낮아지는데 이앙 15일후에 10㎏을 넣은 것과 이앙 7일후에 5㎏을 넣은 것의 제초효과를 비교한 결과 종자우렁이의 량을 배량으로 증가시켜도 투입시기를 놓치게 되면 제초효과는 매우 낮았다. 따라서 투입적기(이앙 7일후)에 적정량(5㎏/10a)을 넣는 것이 제초효과를 높일 수 있다.

 

(5) 종자우렁이를 넣은후 논의 관리

논 잡초를 방제하기 위하여 종자왕우렁이를 넣은 논은 일반논 관리와는 달리 다음의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가) 물관리는 깊게

왕우렁이는 물속이나 수면에 있는 먹이를 먹기 때문에 물의 깊이가 낮거나 논이 마르면 왕우렁이의 몸체가 드러나고 먹이가 수면위로 드러나게 되어 먹이를 먹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발육이 나빠지고 산란도 불량하며 심하면 종자우렁이가 굶어죽는 일이 있어 어린 왕우렁이가 증식되지 않아 제초에 필요한 초기밀도 확보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왕우렁이를 넣은 논의 물관리는 모포기가 물속에 잠기지 않을 정도로 깊게 한다. 그러나 논둑으로 물이 넘치면 왕우렁이가 이동하여 인근의 이앙초기 논이나 담수직파를 한 논에 피해를 줄수 있으므로 논둑으로 물이 넘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 왕우렁이는 농약성분이 함유된 물속에서는 살수 없기 때문에 논에 관수하는 물은 농약에 오염되지 않은 물을 관수하여야 한다. 특히 농약을 살포한 인근 논의 배수로에서 흘러나온 물이나 논뚝을 넘친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나) 농약사용은 가능한한 제한

종자우렁이를 넣은 논에는 제초제를 비롯한 살충․살균제의 입제 농약을 사용해서는 안되면 잎과 줄기에 살포하는 희석제의 농약도 생육초기에는 살포하지 않는 것이 좋다. 특히 살충제의 사용은 제한하는 것이 좋다.

 

(다) 배수로와 논둑에 설치한 망울타리의 관리는 철저히

왕우렁이는 배다리로 지면을 스치듯 아주 느리게 이동하여 그다지 멀리 이동하지 못하나 수면위로 떠오른 왕우렁이는 물의 흐르는 속도와 물길에 따라 빠른 시간에 아주 멀리 이동한다. 따라서 배수와 논둑에 설치한 망울타리는 수시로 확인하여 왕우렁이가 밖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철저히 관리하여 한다. 특히 인근에 이앙초기 논이나 담수직파논이 산제하고 있다면 관리를 더욱 더 철저히 해야 한다.

 

(라) 조류 피해방지

종자우렁이를 넣어준 논에는 백로와 같은 조류가 몰려와 종자 우렁이를 잡아먹기 때문에 새그물이나 방제테이프를 쳐서 조류 피해가 없도록 해야 한다.

 

라. 왕우렁이농법의 효과

먹이습성을 이용하여 제초제를 대용한 왕우렁이농법은 논농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제초제를 생물적 자원으로 대체함으로써 토양 및 수질오염 방지와 생태계 보호 등 친환경농업 육성에 기여할 수 있으며 농산물의 농약오염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신을 해소할 수 있는 고품질 농산물 생산과 농가 소득증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 제초제를 대신할 수 있는 생물자원

생물자원인 왕우렁이의 제초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초제를 2회 살포한것과 비교해 본 결과 이앙후 7일에 5㎏의 왕우렁이를 넣어준 곳에서는 다년생이나 1년생 초종 모두에 효과가 있어 98.6%의 제초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이앙 초기 제초제와 중기 제초제를 각 1회씩 2회 살포한 곳의 제초효과는 왕우렁이 농법보다 낮은 91.3% 이었다(표3).

 

표3. 왕우렁이농법의 제초효과

(g/㎡건조중)

왕우렁이농법의 제초효과에 관한 테이블
구 분 왕우렁이 농법(㎏/10a) 제 초 제2회처리 무제초
이앙후 7일
제초효과(%) 98.6 91.3
0.9 6.5 64.8
다년샌 올방개 1.3 21.7
올 미 2.9 19.8
1년생 밭뚝외풀 0.3 0.5
여 뀌 0.1 0.7 5.6
마 디 풀 0.2 0.6
물달개비 0.3 2.6
방동사니 1.3 2.7
사마귀풀 7.2
0.3 4.1

 

* 제초제 처리 : 이앙초기(론스타), 이앙중기(노난매), 처리량 : 3㎏/10a

** 조사시기 : 이앙 35일후

 

왕우렁이는 잡초가 지속적으로 발아하여 올라온다 하더라도 계속적으로 먹어 치우기 때문에 왕우렁이가 생존하는 한 제초제효과는 지속적이라고 볼 수 있다. 왕우렁이의 특성을 이용하여 많은 인력과 경비가 소요되는 수로의 수초제거에도 응용해 볼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2) 왕우렁이농법은 환경보전에 기여

왕우렁이농법에 대한 환경평가를 위하여 관행농법에서 사용되는 제초제를 이앙초․중기에 2회 살포한 것과 물벼룩의 밀도를 조사 비교하였다. 그결과 제초제를 2회 살포한 논에서는 5㎖당 1.5마리였으나 왕우렁이농법을 한 논에서는 3.5마리로 2배이상 많았다(표4).

 

표4. 왕우렁이농법을 실시한 논의 물벼룩 밀도

왕우렁이농법을 실시한 논의 물벼룩 밀도에 관한 테이블
구 분 왕우렁이농법 관행(제초제2회)
물벼룩밀도(마리/5㎖) 3.5 1.5

 

* 각 시험구 물 1㎖내 물벼룩의 밀도를 실측(실체현미경 100배) 5회 조사 합계치의 2개 지역 평균값

** 조사시기 : ‘99. 8월 10일

 

(3) 왕우렁이농법은 농가소득증대에 기여

왕우렁이농법의 쌀 샌상량은 ‘96년 시험결과 10a당 527㎏으로 관행농법의 538㎏에 비하여 2.3% 정도 감수하였다. 이것은 왕우렁이 농법에서는 비료와 제초제뿐만 아니라 병해충방제에 필요한 각종 농약을 가능한 살포치 않은 결과이다. 따라서 제초비용과 경영비를 제한 소득은 오히려 관행농법에 비해 2.1% 정도 증가하였다(표5).

 

표5. 왕우렁이농법의 수량과 경제성

(천원/10a)

왕우렁이농법의 수량과 경제성에 대한 테이블
구분 수량(㎏/10a) 제초비용 조수입 경영비 소 득
재료비 노력비 소득액 지수(%)
왕우렁이농 법 527 25 1.6 910 38 582 102
관행농법 530 40 8.8 930 360 570 100

 

 

마. 문제점

(1) 월동 및 피해가능성

왕우렁이농법에 사용한 왕우렁이는 열대성 연체동물이다. 생육에 적당한 물의 온도는 17~25℃이고 생존가능한 한계저온은 2℃일뿐 아니라 토종우렁이와는 달리 겨울잠을 자지 않고 먹이를 계속해서 먹어야만 생존할 수 있고 물의 온도가 생존가능한 농도라고 하더라도 먹이가 없으면 굶어 죽게 된다. 따라서 남해 일부지역에서 월동 가능선을 배제할 수는 없으나 월동후 벼에 피해를 줄만한 밀도가 형성될 것인가는 게속적인 검토가 필요한다. 그러나 일본의 경우 벼에 대한 피해보고가 있는후 피해 한계선이 계속 북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국내 환경에 적응한 변이종의 출현가능성

일부 연구가들의 토종우렁이와 교잡한 새로운 변이종이 출현하여 국내환경에 적응하면 작물에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는 토종 우렁이는 새끼를 낳는 태생인데 비하여 왕우렁이는 알은 낳는 난태생으로 교잡자체가 불가능하여 교잡에 의한 변이종의 출현은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왕우렁이 자체가 따뜻한 남부 지역의 깊은 못에 월동할 가능성도 있으므로 앞으로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바. 맺는말

지금 우리농업의 현실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WTO의 농수산물 개방화, Green round, OECD의 농업 환경지표 개발 등 우리에게는 어느것이나 쉬운게 없다

이제는 다수확하는 것도 좋으나 소비자들이 외면하는 농법으로서는 농업을 지속하기 어려워졌다. 따라서 환경을 보호하면서 소비자들이 찾아주는 농업, 농산물을 생산해야 될 때라 생각한다. 이러한 때에 농업에 관련된 많은 농업인들이 분발하여 비료와 농약을 대체할 수 있는 생물적자원들과 환경에 부담을 주지 않는 대체물질들을 많이 개발, 실용화하여 비료와 농약을 전혀 사용치 않거나 적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왕우렁이농법은 제초제를 대체할 수 있는 훌륭한 생물자원이나 국내에서 월동문제, 작물에 피해가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