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활개선 지도사업 
1. 사업결과 요약 
○ 농촌여성의 역할 확대에 따른 수행능력을 향상 시키기 위해 젊은 여성71,945명 
    에게 생활과학기술교육을 실시하였고 쌀이용 한국식 식생활 우수성, 영양식품 
    생산 활용 및 균형식 실천을 지도하였음. 
○ 쾌적하고 활력있는 농촌생활환경조성을 위해 12호의 농가에 부엌+ 목욕실 개 
    량, 설치하였고 270호의 농가는 담장개량, 영농부속사설치, 안마당가꾸기 등 
    농가옥외 공간가꾸기와 가정미화 과제를 지도하여 편리한 주거환경을 조성하 
    였음. 
○ 부녀자 유휴노동력을 활용하여 농가소득을 올릴 수 있도록 농촌여성 일감갖기 
    시범마을 30개소를 육성하였고 , 잊혀져가는 경기지역의 향토· 전통음식을 보 
    존계승 발전시키기 위하여 향토음식연구회원 2,318명을 육성하였고 전통 생활 
    문화 발굴·전수 활동을 통해 농촌 고유문화자원 의 중요성 인식 및 농업인의 문 
    화생활 욕구 충족하였음. 
○ 지역농특산물의 가공·저장기술의 개발 보급 및 상품화를 위한 지역 농특산물 
    가공기술개발 결과 배연화제등 5종의 제품을 개발하였으며 제조 기술홍보를 
    위하여 농민교육 및 홍보 행사를 34회 829명을 대상으로 실시, 농특산물의 안 
    정적 수급과 농가 소득 증대에 기여 하였음 
○ 도시와 농촌을 연결시켜 주고 농촌여성의 역량을 결집하여 더불어사는 지역공 
    동체 유지 발전에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도시농촌한마음 교류사업을 
     5개소에 지원하여 우리콩으로 담근 메주, 장류 홍보 행사등 내고장 특산물 알 
     리기, 농산물 수확 체험행사, 농산물직거래 등 다채로운 행사를 14개과정 23회 
     1,467명을 대상으로 실시, 도시소비자에게 농업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제고시 
     키고 농심을 살리는데 기여하였음 
○ 과학적인 생활기술과제를 선도 실천하고 지역사회 발전의 주체로 육성하기 위 
     한 생활개선회를 27개회 9,370명 육성하여 농촌여성의 지위 및 능력향상을 위 
     한 교육, 근검절약의 실천, 환경보전활동, 전통문화 계승보전활동, 봉사활동, 
     현장학습장 운영등 지역별 특색 에 맞는 다양한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 발전과 
     농촌전통생활문화를 발굴하고 보존하는데 기여하였음. 
○ 사업실적 총괄 
2. 지도과제별 결과 
  가. 편리하고 위생적인 주거환경개선 
     (1) 목 적 
      ○ 쾌적하고 위생적인 주거환경조성으로 아름다운농촌마을 조성 
      ○ 편리한 주거시설 설치로 농가주부의 가사노동절감 
     (2) 지도내용 
      부엌+목욕실 개량 
      환경친화형 화장실 개량 
      담장개량, 안마당가꾸기, 영농부속사 설치 
      대상농가 사전 교육 및 시공시 순회기술 지도 
      (3) 지도방법 
      개량전 사전교육 실시로 사업의 내실화 
      담장개량, 농가옥외 공간가꾸기, 영농부속사 설치 중 선택사업 추진으로 농촌의 자 
       연성 증진 
      (4) 지도결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