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춘파 쌀귀리 이모작 적합 콩 품종선발 및 파종한계기 구명
과제구분 |
지역특화 |
수행시기 |
전반기 |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명 |
연구분야 |
수행기간 |
연구실 |
책임자 |
경기북부 특화작물 경쟁력향상 재배기술 개발
|
전특작 |
’21~’24 |
소득자원연구소 |
박건환 |
춘파 쌀귀리 이모작 적합 콩 품종선발 및 파종한계기 구명
|
전특작 |
’21~’24 |
소득자원연구소 |
박건환 |
색인용어 |
쌀귀리, 콩, 이모작, 경지이용률, 소득증대
|
-
- □ 연구 목표
- 귀리는 식이섬유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콜레스테롤 저하는 물론 혈당저하, 변비완화, 심장강화, 항암 등의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소비자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2006년도에 처음 보급되기 시작하였는데 이중 출수가 빠르고 수량성이 높은 쌀귀리 「조양」품종이 논 이모작 재배용으로 주로 재배되고 있으며, 쌀귀리는 혼반용, 후레이크, 오트밀, 귀리가루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 세계 귀리 생산량은 2,500만톤 내외로, 95%가 사료용으로 사용되며 러시아. 캐나다, 호주, 미국이 주요 생산국이다. 국내 귀리 도입량은 5,000톤 내외이며 말 사료용 70%, 식용 30%이고, 국내 생산분(1,000톤)을 포함하면 현재 국내 식용귀리 시장은 2,500톤 수준이다.
- 국내 귀리 재배면적은 2015년도에 670ha에서 2023년 1,856ha까지 증가 되었으며, 전라남도가 1,386ha로 가장 많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경기도는 2023년도에 43ha가 재배되고 있으며 연천군에서 17ha가 재배되고 있다.
- 귀리는 쌀귀리와 겉귀리로 나뉘는데 영양면으로 볼 때 쌀귀리가 겉보리보다 단백질, 아미노산, 베타글루칸 함량이 높아 식용으로 가치가 높으며(Han et al., 2008, 2009) 특히 춘파 쌀귀리는 온난화로 인해 경기북부지역에서 콩과 이모작이 가능해져 이에 대한 재배기술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시험에서는 경기북부지역에서 쌀귀리와 콩을 이용한 이모작 재배법을 확립하여 경지이용률을 높이고 농가소득을 증대시키고자 하였다.
-
-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