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제안] Proposal for New Succulent Plant-Based Experience Activities Linked to Elementary School ‘Neulbom School’ Program

초등학교 늘봄학교 연계 다육식물 체험활동 신규 제안

제안배경

  • 초등학교 교과과정에서 선인장 관해서는 선인장 특징, 선인장 생김새 관찰 등에만 국한되어 있음. 희귀하고 신기한 선인장 다육식물을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부족한 실정으로 이에 따라 어린이들의 눈높이에 맞춘 교육적 접근이 필요함
  • ※ 생산량(’22) 다육식물 33,881천분, 선인장 7,827천분
  • 어린이들이 녹색 환경의 가치를 공감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식물을활용한 현장 체험 학습을 강화하여 자연과 가까워지는 경험을 제공하는 활동으로 체험활동이 필요함

제안내용

  • 건의부서: 경기도 고양교육지원청
  • 현장체험형 생활정원 모델 식재 체험프로그램 제안
  • – 지원내용: 다육식물 현장체험형 생활정원 체험 가이드 및 다육식물 정보제공
  • ※ 활용가능 식물 구입(다육식물 농업인단체) 및 식물 관리방법 등 자료 제공
  • – 활용방법: 학교 유휴공간을 활용한 교육 체험용 현장체험 프로그램 운영
교육체험형 식재모형 디자인(안)

교육체험형 식재모형 디자인

교육체험형 식재모형 디자인

교육체험형 식재모형 디자인

【교육체험형 식재모형 디자인(안)】

① [다육식물 준비] 아이들이 식재하기 쉬운 7cm 크기의 포트에 담긴 다육식물 준비

② [모형 디자인 선택] 아이들이 식재할 식물 모형 디자인을 선택

③ [디자인 논의] 다육식물의 모양과 색상을 고려하여 선택한 디자인

④ [식재 용이성 고려] 아이들이 쉽게 식재할 수 있도록 포트 채로 이용

⑤ [모둠활동 실시] 반별 또는 조별로 나누어 식재형 모형을 완성

⑥ [식물 이름표 제작] 식물에 대한 이름표를 만들어 붙이고 해당 식물에 대해 설명

⑦ [정보 표기] 표찰을 이용해 반 이름과 정식일 등을 기록

⑧ [관찰과 유지] 완성된 모형은 학교 정원에 배치하여 수시로 관찰하고 관리

※ 교육적 가치 77%, 정서적 안정 78%, 사회적 상호작용 및 창의성 개발 84%, 건강증진 80%가 도움이 될 것으로 조사됨(설문조사 결과 활용)

 

기대효과

  • 다육식물 교육확장을 통해 교과간 연계 강화 및 학습의 폭 향상
  • 반려식물의 학교 교육 활동 활용을 통한 정서적 안정 및 사회성 발달
연구자: 경기도농업기술원 선인장다육식물연구소 김윤희, 031-8008-9540, sky3884@gg.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