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제안] Recommendations for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using Organic Fertilizer utilizing Livestock Horn from Rice Paddies

벼 재배지 축각분 혼합유기질비료 사용 온실가스 감축원단위 등록 건의

제안배경

  • 국내 친환경 농산물 생산 시 주요 양분공급원으로 수입 유박에 의존하므로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는 국산원료 확보와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친환경 벼 재배기술 필요
  • ※ 관련부서: 한국환경공단 기후대기본부 탄소중립지원처

제안내용

제안내용
농축산 벼 재배지 축각분 혼합유기질 비료 사용

1. 개요

벼 재배지 축각분 혼합유기질비료 사용으로 메탄가스 발생량을 감축시켜 온실가스 저감에 기여

2. 원단위

0.03444 tCO2eq./ha/day

3. 감축량산정식

감축원단위(0.03444 tCO2eq.) × 시용면적(ha) × 벼 재배일수

4. 감축원단위 산정근거

벼 재배 시 축각분 혼합유기질비료 시용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원단위

= 축각분 혼합유기질비료 시용에 따른 메탄 감축량※ × CH4 GWP 지수

= (1.23 kgCH4/ha/day × 28) ÷ 1000 = 0.03444 tCO2eq./ha/day

※ 친환경 벼 재배 관행농업(혼합유박) 메탄 배출량 – 축각분 혼합유기질비료 사용 벼 재배 농업 메탄 배출량

5. 산정계수

 

구 분

질소 시용량

(kg/10a)

수량

(kg/10a)

메탄 배출량

(kgCH4/ha/day)

혼합유박(관행)

9.0

575

4.41

축각분 혼합유기질

9.0

568

3.18

비료 주성분함량: 혼합유박 4.2-1.8-1, 축각분 혼합유기질 7.5-2.2-1.4

친환경 벼 재배 관행 시비법: 토양검정 질소시비량 기준 혼합유박 시비

메탄 배출량: 최근 3년(2022~2024년) 벼 재배기간의 평균 일 메탄 배출량

온실가스명

화학식

GWP

이산화탄소

CO2

1

메탄

CH4

28

6. 출처

① 친환경 유기자재 활용 온실가스 저감 벼 재배기술 개발(경기도농업기술원, 2024)

② IPCC 제5차 평가보고서(AR5) (2013)

7. 모니터링 인자

축각분 혼합유기질비료 시용 면적, 벼 재배일수

8. 추진사례

국산자원 이용 혼합유기질비료 현장적용연구(경기도농업기술원, 2022)

 

기대효과

  • 국산자원인 축각분을 이용한 국산 유기질비료 사용으로 안전 농산물 생산 및 저탄소 농업 실천 친환경 농업 증대로 지속가능한 농업 확산
연구자: 경기도농업기술원 환경농업연구과 주옥정, 031-8008-9366, okjung3@gg.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