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The Effects of Surface Drip Irrigation for Soybeans in Northern Gyeonggi Province

경기북부 콩 지표점적 관수 효과

연구배경

  • 경기북부지역 콩 재배 시 지표 점적 관수시스템이 가장 적합
  • 콩 재배 시 지표점적 자동관수시스템실증을 통해 지표점적의 콩 수량성 및 경제성에 관한 정보제공

주요 연구성과

  • 물 이용 효율을 고려한 자동관수 시스템: 지표점적관수
  • – 관행(무관개) 대비 콩 백립중(g) 4%, 수량(kg/10a) 11% 증수
  • – 스프링클러대비 물 소비량 95.7톤, 61% 절약, 물이용효율 35%~70% 증대
  • 지표점적 자동관수 시스템 농가 실증
  • – 용적수분함량(FDR, %) 센서 활용 관수 하한값(25%), 상한값(27%) 설정
  • – 관행(무관개) 대비 콩 수량(kg/10a) 23% 증수, 건물중(%) 10% 증가
  • 지표점적 생육 특성 및 수량
  • (2024, 연천)
지표점적 생육 특성 및 수량
관수방법 건물중(%) 종자수분(%) 백립중(g) 수량(kg/10a) 수량지수

무관개

43.8

13.7

29.9

232

100

지표점적

48.0*

11.8

28.8

285

123

 

  • 경제성 분석
  • (단위: 10a)
경제성 분석
손실적 요소(A) 이익적 요소(B)

지표점적 시설 설치비

– 감가상각비: 894,520원/10년 = 89,452원

지표점적 시설 유지비(매년)

– 점적테이프 교체: 79,200원

※ 계(A): 168,652원

콩 수량증수에 따른 증가액

– 53kg/10a×5,379원=285,087원

※ 계(B): 285,087원

추정수익액(B-A): 285,087원–168,652원= 116,435원

※ 콩 수매가격: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도매 가격(’23년) 5,379원/kg

※ 지표점적 시설 설치 비용: 업체 견적 비용 참고

 

기대효과

  • 지표점적 관수시스템 활용으로 인한 콩 재배농가 수량 및 수익 증대
연구자: 경기도농업기술원 소득자원연구소 박지영, 031-8008-9521, wldud1206@gg.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