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Microbial Community of Greenhouse Soils in Gyeonggi Province
경기도 시설재배지 토양미생물 분포
연구배경
- 시설재배지 환경조건별 미생물 다양성 변화에 대한 자료축적 및 토양미생물 군집구조 정보 제공 필요
주요 연구성과
- 시설재배지 토양(25지점)의 세균 다양성
- – 경기도 시설재배지 토양의 종 풍부도 추정치와 다양성지수는 전국 평균과 유사
- – 우점 세균(문(phylum)): Proteobacteria(27%), Firmicutes(23%), Actinobac-teria(16%), Chloroflexi(7%), Acidobacteria(6%)
- – 속(genus): Bacillus(6%), Luteimonas(3%), Pseudarthrobacter(2%)
시설재배지 토양(25지점)의 세균 다양성
지역 |
통계 |
세균 |

|
종풍부도 추정치 ACE |
다양성지수 Shannon |
경기
|
평균
|
3,121
|
6.0
|
최소
|
584
|
3.9
|
최대
|
4,016
|
6.5
|
전국
|
평균
|
3,183
|
5.9
|
최소
|
584
|
2.7
|
최대
|
4,955
|
7.0
|
【경기지역 시설재배지 토양미생물의 다양성】
|
【우점하고 있는 세균 종류】
|
기대효과
- 미생물적 토양질 평가를 통한 토양의 건전성 유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 농경지 토양미생물의 생물·지리·화학적 분포 및 특성에 대한 DB 구축
연구자: 경기도농업기술원 친환경미생물연구소 문지영, 031-8008-9484, mjy1123@gg.g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