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Provision of Cucurbit aphid-borne yellows virus (CABYV) Symptoms and Outbreak Information in Melon
멜론 박과진딧물매개황화바이러스병 증상과 발생정보 제공
연구배경
- 멜론 주요 병해 박과진딧물매개바이러스병의 피해증상, 발생조건 및 방제 정보 제공으로 진단·방제 자료로 활용(농업기술길잡이 151 멜론)
주요 연구성과
멜론 박과진딧물매개황화바이러스병 증상

|

|

|
【잎(초기) 피해 증상】
|
【잎(중기) 피해 증상】
|
【잎(후기) 피해 증상】
|

|

|

|

|
【과실 피해 증상】
|
【식물체 피해 증상】
|
- 발생조건
- – 목화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 등 진딧물에 비영속 전염(즙액전염 안됨)
- – 멜론, 오이 등 박과작물 시설 재배 농가에서 여름 작기에 피해가 심함
- 관리 및 방제
- – 재배포장 주변 잡초 등 매개충 서식지 제거 및 시설하우스의 경우 환기구, 측창과 출입구에 방충망 설치로 어린 모종단계부터 매개충 유입 차단
- – 진딧물 발생 초기부터 작용기작이 서로 다른 등록된 적용약제들을 번갈아 살포(플로니카미드 입상수화제, 피리플루퀴나존 액상수화제 등)
기대효과
- 박과진딧물매개바이러스병 피해증상 및 방제정보 활용으로 멜론 안전생산
연구자: 경기도농업기술원 환경농업연구과 최종윤, 031-8008-9354, cjy7165@gg.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