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Application of Educational Data According to Chemical Changes of Agricultural Water Quality
농업용수 수질변동 현황에 따른 농업인 교육자료 활용
연구배경
- 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지원에 관한 법 제11조 농업자원 및 농업환경의 실태조사에 따른 도내 농업용 지하수 및 하천수 수질변동조사
주요 연구성과
- 지하수의 질산태질소와 하천수의 총질소 모두 ’22년보다 증가하였음
- – 지하수 NO3-N 변화: 5.10(’20) → 5.11(’22) → 5.95mg L-1(’24)
- – 하천수 T-N 변화: 2.72(’20) → 3.04(’22) → 3.32mg L-1(’24)
- 2024년에 조사한 농업용 지하수의 농업용수 기준치를 초과한 지점은 없었음
- 농업용 지하수 주요성분 수질 변화
- (단위: mg/L)
농업용 지하수 주요성분 수질 변화
조사년도 |
지점 |
pH |
EC
(dS/m) |
NO3–-N |
PO4–-P |
SO42- |
Cl– |
As |
Cd |
Pb |
2024
|
20
|
6.9
|
0.30
|
5.95
|
0.02
|
15.5
|
25.5
|
0.000
|
0.000
|
0.001
|
2023
|
20
|
7.0
|
0.31
|
6.05
|
0.02
|
17.6
|
26.3
|
0.000
|
0.000
|
0.001
|
2022
|
20
|
6.8
|
0.31
|
5.11
|
0.02
|
15.3
|
30.9
|
0.000
|
0.000
|
0.000
|
2021
|
20
|
6.7
|
0.29
|
4.53
|
0.03
|
17.5
|
29.1
|
0.000
|
0.000
|
0.000
|
2020
|
20
|
6.7
|
0.30
|
5.10
|
0.03
|
17.2
|
26.9
|
0.000
|
0.000
|
0.000
|
2019
|
20
|
6.7
|
0.29
|
6.08
|
0.02
|
19.4
|
25.7
|
0.000
|
0.000
|
0.000
|
2018
|
20
|
6.6
|
0.29
|
6.44
|
0.02
|
20.0
|
24.2
|
0.000
|
0.000
|
0.000
|
※ 2회(4, 7월) 조사 평균치임
- 농업용 하천수 주요성분 수질 변화
- (단위: mg/L)
농업용 하천수 주요성분 수질 변화
조사년도 |
지점 |
pH |
DO |
COD |
T-N |
T-P |
SS |
SO42- |
Cl– |
2024
|
32
|
7.7
|
8.8
|
2.8
|
3.32
|
0.08
|
4.5
|
10.9
|
20.5
|
2023
|
32
|
7.8
|
9.8
|
2.5
|
3.08
|
0.08
|
5.9
|
13.0
|
21.1
|
2022
|
32
|
7.6
|
9.4
|
2.2
|
3.04
|
0.08
|
5.2
|
13.6
|
23.1
|
2021
|
32
|
7.7
|
9.2
|
3.3
|
2.74
|
0.07
|
4.1
|
17.2
|
25.1
|
2020
|
32
|
7.6
|
9.0
|
3.7
|
2.72
|
0.06
|
6.1
|
19.5
|
24.6
|
2019
|
32
|
7.5
|
9.1
|
4.8
|
3.03
|
0.07
|
8.7
|
20.2
|
27.6
|
2018
|
32
|
7.5
|
9.7
|
4.6
|
2.91
|
0.07
|
6.5
|
21.5
|
24.8
|
※ 3회(4, 7, 10월) 조사 평균치임
기대효과
- 농업인 교육 또는 현장 멘토링 시 농업용수 수질 변동자료 자료 활용으로 화학비료 시비 절감 및 수질오염 경감
연구자: 경기도농업기술원 환경농업연구과 정재원, 031-8008-9344, wodnjsqud@gg.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