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Utilization of Greenhouse Gas Inventory from Agriculture in Gyeonggi-do

경기도 농업분야 재배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활용

연구배경

  •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파리협정(’15) 체결 이후 2050 탄소중립 달성이 글로벌 패러다임으로 대두됨에 따라 우리나라도 탄소중립을 법제화(’22)하고, 탄소중립 기본계획(’23)을 수립하여 이행하고 있음
  • 2006 IPCC 지침서 적용에 따른 지역별 인벤토리 산정체계 구축을 통해 국가 및 지자체 인벤토리 정책 연계성 강화, 감축수단별 이행점검 및 감축량 산정을 위한 지자체별 통계 구축 필요

주요 연구성과

  • 경기도 재배부문 온실가스 배출량(2022년): 1,333.3 천톤 CO2eq.
  • – 벼 재배: 960.2 천톤 CO2eq.
  • · 벼 재배면적, 물관리방법, 유기물시용 비율에 배출계수를 곱하여 산정
  • – 농경지 토양: 372.2 천톤 CO2eq.
  • · 화학비료, 가축분뇨, 작물잔사 질소량에 배출계수를 곱하여 산정
  • – 작물잔사소각: 0.93 천톤 CO2eq.
  • · 작물 생산량, 잔사/곡실·건물·잔사소각 비율에 배출계수를 곱하여 산정
  • * 축산부문 배출량: 2,111.9 천톤 CO2eq.(농업부문 배출량의 61%)
  • 2022년 경기도 농업분야 재배부문 배출원별 온실가스 배출량
혼합유박 대비 축각분 혼합유기질비료 시용시 온실가스
배 출 원 온실가스 배출량 (천톤 CO2eq.)

재배(경종)

벼재배

960.2(72.0%)

농경지토양

372.2(27.9%)

작물잔사소각

0.93(0.1%)

합 계

1,333.3(100%)

 

기대효과

  • 경기도 지자체 인벤토리 고도화 및 농업부문 온실가스 저감기술 발굴
  • 농업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의 정확도 향상 및 감축목표 설정 활용
  • 지속가능한 농업환경 및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관련 정책 수립 의사결정 지원
연구자: 경기도농업기술원 환경농업연구과 주옥정, 031-8008-9366, okjung3@gg.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