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Analysis of the Impact of Abnormal Weather on Agricultural Income 
이상기상이 농산물 소득에 미치는 영향 분석(’23년산 과수 소득조사를 바탕으로)
연구배경
- 이상기상 등 외부요인이 경기도 주요 과수의 수확량과 농가수취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소득분석 자료를 농업인에게 제공하여 영농지도 자료로 활용하고자 함
 
 
주요 연구성과
외부요인
외부요인 
〔이상기상〕 | 
 ’23년 3월 이상고온으로 이른 개화⇒4월 이상저온으로 꽃 동사피해 증가 
’23년 여름철 긴 장마로 인한 과수 낙과, 병충해 피해로 하품과 발생 증가 
※ 경기도 3, 4월 평균기온 
 | 
 
| 
 2022.3. 
 | 
 2023.3. 
 | 
 증감 
 | 
 2022.4. 
 | 
 2023.4 
 | 
 증감 
 | 
 
| 
 6.6℃ 
 | 
 8.4℃ 
 | 
 1.8℃ 증가 
 | 
 13.5℃ 
 | 
 12.8℃ 
 | 
 0.7℃ 감소 
 | 
 
 
외부요인
|   | 
작목 | 
2023년 | 
2022년 | 
증감(%) | 
 
수확량 
(kg/10a) | 
포도 | 
 1,151 
 | 
 1,163 
 | 
 -1.1 
 | 
 
| 배 | 
 2,152 
 | 
 2,960 
 | 
 -27.3 
 | 
 
| 복숭아 | 
 1,072 
 | 
 1,139 
 | 
 -5.9 
 | 
 
| 사과 | 
 1,829 
 | 
 1,761 
 | 
 3.9 
 | 
 
농가수취가격 
(원/kg) | 
포도 | 
 7,871 
 | 
 7,398 
 | 
 6.4 
 | 
 
| 배 | 
 3,330 
 | 
 2,702 
 | 
 23.2 
 | 
 
| 복숭아 | 
 5,359 
 | 
 4,787 
 | 
 12.0 
 | 
 
| 사과 | 
 4,182 
 | 
 3,683 
 | 
 13.6 
 | 
 
총수입 
(원/10a) | 
포도 | 
 9,062,347 
 | 
 8,612,266 
 | 
 5.2 
 | 
 
| 배 | 
 7,165,496 
 | 
 7,998,380 
 | 
 -10.4 
 | 
 
| 복숭아 | 
 5,744,981 
 | 
 5,451,407 
 | 
 5.4 
 | 
 
| 사과 | 
 7,648,041 
 | 
 6,483,947 
 | 
 18.0 
 | 
 
경영비 
(원/10a) | 
포도 | 
 3,107,844 
 | 
 2,870,726 
 | 
 8.3 
 | 
 
| 배 | 
 3,537,525 
 | 
 4,101,162 
 | 
 -13.7 
 | 
 
| 복숭아 | 
 3,127,576 
 | 
 2,844,999 
 | 
 9.9 
 | 
 
| 사과 | 
 3,353,447 
 | 
 3,248,593 
 | 
 3.2 
 | 
 
소득 
(원/10a) | 
포도 | 
 5,954,503 
 | 
 5,741,540 
 | 
 3.7 
 | 
 
| 배 | 
 3,627,971 
 | 
 3,897,218 
 | 
 -6.9 
 | 
 
| 복숭아 | 
 2,617,405 
 | 
 2,606,408 
 | 
 0.4 
 | 
 
| 사과 | 
 4,294,594 
 | 
 3,235,354 
 | 
 32.7 
 | 
 
 
  
- 꽃 피해(봄철 저온으로 인한 암술 고사 및 수정률 저하)로 수확량이 급감한 배는 수급에 의한 가격 상승에도 불구하고 소득이 감소하였음
 
- 다른 과수류는 소득 감소효과가 발생하지 않았음
 
 
기대효과
- 이상기상이 경기 주요 과수 소득에 미치는 영향 분석 자료 제시로 농업인의 효율적인 농업경영 참고자료로 활용
 
 
연구자: 경기도농업기술원 작물연구과 이정명, 031-8008-9294, jmlee@gg.g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