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Income Information o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of Cabbage in Gyeonggi-Do 
경기도 친환경농산물 양배추 소득 정보
연구배경
- 친환경농업은 생물 다양성 증진을 통해 기후변화 대응과 탄소중립에 기여하지만 관행농업에 비해 생산비 소요가 많아 친환경농업 확산에 어려움이 있음
 
- 경기도 친환경 양배추의 소득 정보를 제공하여 농가 경영 의사결정 자료로 활용하고자 함
 
 
주요 연구성과
2023년 친환경 양배추 소득조사 결과
| 비목별 | 
친환경재배(A)1) | 
일반재배(B)2) | 
비율(A/B) | 
 
| 총수입 | 
수량(㎏/10a) | 
 4,180 
 | 
 6,479 
 | 
 64.5  
 | 
 
| 단가(원/㎏) | 
 1,573 
 | 
 360 
 | 
 436.9  
 | 
 
| 금액(원/10a) | 
 6,573,922 
 | 
 2,332,080 
 | 
 281.9  
 | 
 
| 생산비 | 
경영비 | 
중간재비 | 
종자·종묘비 | 
 139,467  
 | 
 123,040 
 | 
 113.4  
 | 
 
| 비료비 | 
 374,435 
 | 
 291,574 
 | 
 128.4  
 | 
 
| 친환경 방제제비 | 농약비 | 
 341,329  
 | 
 163,982 
 | 
 208.2  
 | 
 
| 수도광열비 | 
 104,918  
 | 
 37,836 
 | 
 277.3  
 | 
 
| 기타재료비 | 
 509,466  
 | 
 90,834 
 | 
 560.9  
 | 
 
| 소농구비 | 
 8,891  
 | 
 1,689 
 | 
 526.4  
 | 
 
| 감가상각비 | 
 345,421 
 | 
 190,321 
 | 
 181.5  
 | 
 
| 수리·유지비 | 
 32,468  
 | 
 7,364 
 | 
 440.9  
 | 
 
| 기타비용 | 
 35,209  
 | 
 9,157 
 | 
 384.5  
 | 
 
| 소계 | 
 1,891,604  
 | 
 915,797 
 | 
 206.6  
 | 
 
| 임차료(농기계, 시설, 토지) | 
 193,333 
 | 
 124,324 
 | 
 155.5  
 | 
 
| 고용노동비 | 
 689,516 
 | 
 319,653 
 | 
 215.7  
 | 
 
| 친환경인증조성비 | 
 358,564  
 | 
 – 
 | 
 – 
 | 
 
| 소계 | 
 3,133,017  
 | 
 1,359,774 
 | 
 230.4  
 | 
 
| 자가노동비 | 
 1,598,462  
 | 
 464,487 
 | 
 344.1  
 | 
 
| 자본용역비(유동, 고정, 토지) | 
 273,566 
 | 
 116,209 
 | 
 235.4  
 | 
 
| 소계 | 
 5,005,046  
 | 
 1,940,470 
 | 
 257.9  
 | 
 
| 수익 | 
부 가 가 치 | 
 4,682,318 
 | 
 1,416,283 
 | 
 330.6  
 | 
 
| 소득 | 
 3,440,904 
 | 
 972,306 
 | 
 353.9  
 | 
 
| 소 득 률(%) | 
 52.3 
 | 
 41.7 
 | 
 – 
 | 
 
 
1) 경기도 내 학교급식에 출하하는 농가 중 30호를 조사함 
※ 평균연령: 62.3세, 양배추영농경력: 9.7년, 재배시기: 봄(20호), 가을(10호), 인증: 무농약(29호), 유기(1호) 
2) 2023 농산물 소득자료집(농촌진흥청, 2024), 노지양배추 
  
기대효과
- 경기도 친환경농산물 작목별 생산비, 소득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농업인의 효율적인 경영개선 및 친환경농업 활성화에 기여
 
 
연구자: 경기도농업기술원 작물연구과 김연진, 031-8008-9293, boong0323@gg.g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