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Analysis of Profitability, Marketability, and Energy Usage for Subtropical Crop Farms in Gyeonggi-Do 
경기도 아열대 작물 재배농가의 수익성, 시장성, 수도광열비 분석
연구배경
- 경기도 아열대작물 재배동향 및 소득정보 부재로 영농지도 및 경영개선 자료가 요구됨
 
- 증가하는 과수는 바나나, 파파야, 백향과, 애플망고 / 채소류는 롱빈, 공심채, 여주, 오크라 등
 
 
주요 연구성과
- 수익성 (10a당 소득)
 
- – 과수: 파파야 23,021천원, 애플망고 19,156천원, 만감류 10,017천원
 
- – 채소: 롱빈 22,083천원, 여주 8,895천원, 얌빈 8,249천원, 공심채 8,200천원
 
- (기준: 1기작, 10a)
 
 
수익성
| 아열대 과수 | 
파파야 | 
애플망고 | 
만감류 | 
커피 | 
백향과 | 
바나나 | 
 
| 소득(원) | 
 23,021,360 
 | 
 19,156,084 
 | 
 10,017,012 
 | 
 5,922,009 
 | 
 5,335,057 
 | 
 4,031,513 
 | 
 
 
수익성
| 아열대 채소 | 
롱빈 | 
여주 | 
얌빈 | 
공심채 | 
궁채 | 
 
| 소득(원) | 
 22,083,036 
 | 
 8,895,625 
 | 
 8,249,762 
 | 
 8,200,238 
 | 
 1,095,364 
 | 
 
 
  
- 시장확장성: 국내 재배면적 증감율과 수입량 증감율을 적용하여 지수화
 
- – 과수: 백향과, 망고, 파파야, 만감류, 바나나, 커피 순
 
- – 채소: 공심채, 얌빈, 여주, 롱빈, 궁채 순
 
- 
![]()  
 
 
- 수도광열비 사용 비중 (10a당 수도광열비, 비중 %)
 
- – 과수: 커피 3,025 천원, 백향과 2,964, 파파야 2,190, 애플망고1,874 만감류 1,156
 
- – 채소: 롱빈 735 천원, 여주 240, 공심채 210, 궁채 123 얌빈 50
 
-  (천원/10a)
 
 
수도광열비 사용 비중
| 아열대 과수 | 
커피 | 
백향과 | 
파파야 | 
애플망고 | 
만감류 | 
바나나 | 
 
| 경기도 | 
 3,025(17.7%) 
 | 
 2,964(19.7%) 
 | 
 2,190(9.0%) 
 | 
 1,874(14.4%) 
 | 
 1,156(15.4%) 
 | 
 997(9.0%) 
 | 
 
 
수도광열비 사용 비중
| 아열대 채소 | 
롱빈 | 
여주 | 
공심채 | 
궁채 | 
얌빈 | 
 
| 경기도 | 
 735(6.3%) 
 | 
 240(2.9%) 
 | 
 210(3.0%) 
 | 
 123(3.9%) 
 | 
 50(1.3%) 
 | 
 
 
  
기대효과
- 기후변화에 따른 작물생산 영향에 선제적 대응 및 신소득 작물 기술보급사업에 활용
 
 
연구자: 경기도농업기술원 작물연구과 이원석, 031-8008-9292, born815@gg.g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