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Cultivation Characteristics of White Waxy Corn 『Dodamchal』 Cultivated in the Eastern Region of Gyeonggi Province and F1 Seed Production Methods 
백색 찰옥수수 『도담찰』 경기동부권 재배시 주요특성 및 F1 종자채종 방법
연구배경
- 도내 찰옥수수 종자보급은 타도에서 육성, 생산한 종자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임
 
- 경기도 옥수수 경쟁력 강화와 안정적인 종자수급을 위해 우리지역에 적합하고 특화할 수 있는 품종 육성 및 종자생산 방안 필요
 
 
주요 연구성과
- 2022∼2024년 양평군 일대 『도담찰』과 대조품종(『미백2호』) 주요 특성비교
 
-  – 『도담찰』은 『미백2호』보다 출사일수 늦지만 식미 우수
 
 
2022∼2024년 양평군 일대 『도담찰』과 대조품종(『미백2호』) 주요 특성비교
| 품 종 | 
출사일수(일) | 
간장(cm) | 
착수고율(%) | 
분지수(개/개체) | 
도복(1~9)♩ | 
착립장률(%) | 
 
| 도담찰 | 
 70 
 | 
 195 
 | 
 56 
 | 
 0.1 
 | 
 2 
 | 
 96 
 | 
 
| 미백2호 | 
 66 
 | 
 185 
 | 
 51 
 | 
 0.2 
 | 
 2 
 | 
 94 
 | 
 
 
2022∼2024년 양평군 일대 『도담찰』과 대조품종(『미백2호』) 주요 특성비교
| 품 종 | 
상품과수 | 
상품과중 | 
식미(1-9)♪ | 
 
| 무게(개/10a) | 
지수(%) | 
무게(개/10a) | 
지수(%) | 
 
| 도담찰 | 
 4,604 
 | 
 95 
 | 
 841 
 | 
 95 
 | 
 5.2 
 | 
 
| 미백2호 | 
 4,865 
 | 
 100 
 | 
 887 
 | 
 100 
 | 
 5.0 
 | 
 
 
♩도복: 1-무도복, 9-완전도복; ♪식미: 1-매우 나쁨, 5-보통, 9-매우 좋음 
  
- 2024년 『도담찰』 채종실증
 
- – 7일 간격 파종 시 채종량 133kg/10a으로 가장 많았음
 
- ※ 화분비산 시기에는 기후 요인의 영향이 크기 때문에 안정적인 F1 채종량 확보를 위해서 모본을 파종한 후 부본을 5일차에 1회, 7일차 1회 총 2회로 나누어 파종하는 것을 권장
 
 
(화성시, 원주시) 
2024년 『도담찰』 채종실증
| 파종간격♩ | 
화분비산일수 
(파종후) | 
출사일수 
(파종후) | 
이삭특성 | 
임실률(%) | 
100립중(g) | 
채종량(kg/10a) | 
 
| 이삭장(cm) | 
이삭폭(cm) | 
 
| 3일 | 
 56~63 
 | 
 64 
 | 
 16.5 
 | 
 3.6 
 | 
 49 
 | 
 22 
 | 
 81 
 | 
 
| 5일 | 
 64 
 | 
 16.5 
 | 
 3.7 
 | 
 59 
 | 
 21 
 | 
 97 
 | 
 
| 7일 | 
 63 
 | 
 17.0 
 | 
 3.7 
 | 
 83 
 | 
 21 
 | 
 133 
 | 
 
 
♩ 파종간격: 모본 선 파종 후 부본 파종 간격 
  
  
기대효과
- 경기도 동부권 지역특화용 찰옥수수 신품종의 안정적인 종자생산과 보급으로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
 
 
 
 
연구자: 경기도농업기술원 작물연구과 김상우, 031-8008-9271, ksw314@gg.g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