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종개발] Graptosedeveria   『Red Luii』   with Reddish Brown Colored Leaf 
착색발현이 우수한 그랍토세데베리아   『레드루이』
  
연구배경
- 다양한 엽형 및 엽색의 세덤 신품종 육성 보급 필요
 
- 소비자 기호도가 높은 분화용 세덤 신품종 개발로 농가소득 창출
 
 
주요 연구성과
- 잎의 주요색은 회녹색이며 백분이 중간정도 발생함 
 
- 잎 전체적으로 안토시아닌 발현이 강하며 적갈색으로 착색되고 관상가치가 우수함  
 
- 대조품종에 비해 분지발생이 많아 번식이 용이함
 
 
 
 
레드루이 품종
| 품종명 | 
생육형 | 
엽색♩ | 
잎 | 
백분 
정도 | 
평가 
점수♪ | 
 
| 주요색 | 
무늬색 | 
모양 | 
안토시아닌 | 
 
| 발현정도 | 
발현부위 | 
 
| 레드루이 | 
 로제트형 
 | 
 회녹색(N148D) 
 | 
 적갈색(176B) 
 | 
 도란형 
 | 
 강함 
 | 
 전체적 
 | 
 중간 
 | 
 4.8 
 | 
 
| 루비퍼피 | 
 로제트형 
 | 
 황녹색(146B) 
 | 
 적갈색(176B) 
 | 
 도란형 
 | 
 약함 
 | 
 선단부만 
 | 
 중간 
 | 
 3.6 
 | 
 
 
♩엽색: RHS color chart ♪ 평가점수: 매우 불량(1)~매우 우수(5) 
  
레드루이 품종
| 품종명 | 
초장(cm) | 
초폭(cm) | 
엽장(cm) | 
엽폭(cm) | 
엽후(mm) | 
엽수(개/주) | 
분지수(개/주) | 
 
| 레드루이 | 
 5.1 
 | 
 6.0 
 | 
 2.8 
 | 
 2.1 
 | 
 8.5 
 | 
 39.6 
 | 
 1.6 
 | 
 
| 루비퍼피 | 
 5.5 
 | 
 5.8 
 | 
 3.0 
 | 
 1.8 
 | 
 6.9 
 | 
 24.0 
 | 
 0.8 
 | 
 
 
  
기대효과
- 소비자 기호도가 우수한 다육식물 신품종 육성으로 국내외 시장 확대
 
- 다육식물 수출 유망작목으로 육성
 
 
연구자: 경기도농업기술원 선인장다육식물연구소 김윤희, 031-8008-9540, sky3884@gg.g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