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종개발] A New Oak Mushroom Cultivar, 『Daesong』 with Long Stem of Fruiting-Body
대의 식감이 우수한 표고 신품종 『대송』

연구배경
- 표고 수입량 증가 대응을 위한 국내 품종 육성 및 보급 확대 시급
- ‘갓’ 위주의 식용에서 자실체 전체를 식용할 수 있는 ‘대’ 가식용 품종 육성으로 수입표고와 차별화
주요 연구성과
- 대송』의 발이일수는 5일, 생육일수는 7일로, 참송이(대조)에 비해 발이 2일, 생육 1일 빠름
- 『대송』의 2주기 총수량은 556g으로 참송이 대비 26% 증수
- 재배방법: 봉형 톱밥재배용
- 재배특성
대송 연구성과
품종 |
배양일수(일) |
발이일수(일) |
생육일수(일) |
재배일수♩(일) |
대송 |
119
|
5
|
7
|
119
|
참송이 |
119
|
7
|
8
|
119
|
♩ 1주기
대송 연구성과
품 종 |
1주기 |
2주기 |
총수량
(g/배지) |
총발이수(개/배지♩) |
유효개체수(개/배지) |
개체중(g/개) |
수량(g/배지) |
유효개체수(개/배지) |
개체중(g/개) |
수량(g/배지)
|
대송 |
46.1
|
11.4
|
32.6
|
372a♪
|
5.6
|
32.8
|
184ns
|
556a
|
참송이 |
51.9
|
9.1
|
32.6
|
293b
|
5.6
|
27.7
|
149
|
442b
|
♩배지량 3kg, ♪통계적유의성 검정(DMRT at 5%)
기대효과
- 중국산 표고 대응 국내산 품종 육성 및 보급을 통한 종자주권 강화
- 국내 수요에 맞는 신품종 보급에 따른 농가 소득 증대
연구자: 경기도농업기술원 친환경미생물연구소 김정한, 031-8008-9496, kjh75@gg.g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