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Cucumber Production Forecasting Service of GSDUS (Gyeonggi-do Smart Farm Data Utilization Service)
경기도 스마트팜 데이터 활용 서비스의 오이 생산량 예측 서비스
연구배경
- 스마트팜 보급 확산에 따라 스마트팜에서 생산되는 데이터를 활용한 농업 생산성과 편의성 제고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음
주요 연구성과
- 오이 수확량 예측 모델의 예측 성능: MAE 0.448, R2 0.714
- 입력 데이터: 정식 후 재배 주차, 외부 일사량, 내부 온도·상대습도·이산화탄소 농도
- 결과(예측) 데이터: 주당 주차 별 평균 수확량
- 이용 경로: [경기도스마트팜데이터활용서비스(gsmartfarm.net)-분석실]
- 활용 방법: 오이 재배 기간, 온실 내부 온도·상대습도·이산화탄소 농도를 설정→ 오이 생산량을 예측 → 최적의 오이 재배 조건 탐색
오이 수확량 예측 모델의 예측 성능
|

|

|
|
경기도스마트팜데이터활용서비스
|
오이 생산량 예측 서비스 예시
|
기대효과
- 스마트팜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오이 생산량을 예측함으로써 재배 기간, 시설 환경 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농업소득향상
연구자: 경기도농업기술원 원예연구과 박남원, 031-8008-9328, pnamwon@gg.g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