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역 적응 콩 신품종 육성
영역 3 어젠다 2 대과제 1
과제 및 세부과제명 과제구분 연구분야 수행기간 과제책임자 및 세부과제 책임자
경기지역 적응 콩 신품종 육성 기관고유 전특작 ‘05∼ 소득자원연구소 조동현
1) 장류콩 우량계통 육성 시험 기관고유 전특작 ’05∼ 소득자원연구소 조동현
2) 장류콩 우량계통 생산력검정 시험 기관고유 전특작 ’05∼ 소득자원연구소 조동현
3) 콩 우량계통 지역적응 시험 어젠다 전특작 ’07∼ 소득자원연구소 조동현
4) 콩 작황조사 시험 어젠다 전특작 ’19∼ 소득자원연구소 조동현
5) 콩, 율무 기본식물 양성 기관고유 전특작 ’19∼ 소득자원연구소 장정희
6) 콩 우량계통 내재해 및 가공적성 검정 시험 기관고유 전특작 ’07∼ 소득자원연구소 오도혁
7) 특수콩 우량계통 육성 시험 기관고유 전특작 ’16∼ 소득자원연구소 오도혁
8) 특수콩 우량계통 생산력검정 시험 기관고유 전특작 ’16∼ 소득자원연구소 오도혁
색인용어 장류콩, 특수콩, 육종, 품종, 계통육성, 생산력검정, 지역적응, 가공적성, 작황
연구개발의 필요성
국산 콩은 수입산에 비하여 가격경쟁력이 낮고 국내 콩 유통물량은 수입의존도가 높은 현실이나 국내 콩 재배면적은 줄어드는 추세로 자급률 향상이 시급한 실정임
전국 콩 재배면적은 2012년 8만842ha에서 2020년 5만5,008ha로 32% 감소하였으며, 2020년 기상악화로 인해 콩 생산량은 8만6,340톤으로 평년 대비 18% 감소하였고 단수도 157kg/10a로 낮았음
경기콩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서는 기후변화에 적응하고 내재해성, 다수성이면서 소비자와 가공업자의 욕구에 충족할 수 있는 장류 및 두부 등 용도별 가공적성이 우수한 고품질 콩 품종개발이 필요함
소비자의 건강 기능성 식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서리태 등 밥밑용 콩의 수요 증가에 부응하는 고품질 밥밑용 콩 품종개발이 필요함
친환경농산물 중 콩나물은 학교급식 등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식재료로서 주산지는 제주와 남부지역인 실정으로 경기지역에 적합한 나물콩 품종개발에 대한 요구도가 높음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