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농산물 생산을 위한 유기재배기술 개발
영역 2 어젠다 1 대과제 3
과제 및 세부과제명 과제구분 연구분야 수행기간 과제책임자 및 세부과제 책임자
안전농산물 생산을 위한 유기재배기술 개발 기관고유 유기농업 ’17~’21 환경농업연구과 장재은
1) 국산자원 이용 혼합유기질비료 현장적용연구 기관고유 유기농업 ’20∼’22 환경농업연구과 장재은
2) 벼 재배토양 유기자재 장기연용효과 평가 기관고유 유기농업 ’17∼’21 환경농업연구과 장재은
3) 경기지역 농경지 생물상 변동 평가 어젠다 유기농업 ’21∼’25 환경농업연구과 한상욱
4) 농업환경 및 농산물의 항생제 내성균 모니터링 및 관리기술 개발 어젠다 유기농업 ’21∼’23 환경농업연구과 한정아
5) 과수부산물 이용 농가보급형 액비제조기 개발 기관고유 유기농업 ’20∼’22 환경농업연구과 최종윤
색인용어 혼합유기질비료, 유기자재 장기연용, 생물상, 항생제 내성균, 액비제조기
연구개발의 필요성
도내 친환경 농산물 인증면적은 5,437ha로 전국 대비 6.7%, 도내 경지면적 160,181ha의 3.4%이고, 농가수는 5,366호로 전국 대비 9.2%이며, 유기재배는 1,119호, 1,607ha로도 재배면적의 1.0%이며, 무농약재배는 4,247호, 3,829ha로 도 재배면적의 2.4%임(2019)
2,500만 수도권 주민의 안전식수공급을 위한 한강수계 보호정책으로 친환경농업은 필수 사항이며 상수원 보호구역 중심으로 도내 친환경 유기농업 확대가 예상됨
현재 국내 친환경농가에서 사용하고 있는 유기질비료의 대다수는 수입 유박으로, 유박의 사용은 농림축산식품부의 자원순환과 토양 환경보존을 통한 지속가능한 농업을 추진하는 친환경농업 정책에 배치됨
유박의 수입량(’19)은 132만톤, 1,874억원, 이중 피마자박의 수입량(’19)은 32만 5,000톤에 달해 수입 유박을 대체할 수 있는 원료의 확보와 수입 유박비료 대체 가능 비료 개발이 시급함
유기농업을 실천하는 지역현장에서는 유기농산물의 안정적인 생산을 위한 토양비옥도 증진 및 양분관리 기술과 병해충관리 등에 대한 기술수요가 높음
안정적인 유기농산물 생산을 위해서는 토양의 건전성이 기반이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적정한 유기물 공급이 필요하므로, 유기자재 장기연용시 토양이화학성 및 토양미생물상 변동에 대한 토양환경 정보구축 및 유기재배토양 관리지침 설정이 필요함
농업생태계는 인간의 식량자원을 책임지는 측면에서 농업환경변화에 의해 막대한 영향을 받을 수 있어 이를 모니터링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며 국내외 최근 급격한 환경변동 추세에 비추어 볼 때 시급한 문제임
공익직불제 실시와 농업환경보전프로그램 운영에 따라 농업환경자원 관리를 위한 농경지 생물상의 주기적인 모니터링과 변동평가가 필요함
항생제 개발보급은 인류의 건강 증진에 크게 기여하였으나, 항생제 내성균에 감염되어 사망하는 인구가 매년 약 70만 명이며, 특별한 조치가 취해지지 않으면 내성균 감염에 의한 사망자가 매년 증가하여 2050년경에는 1,00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됨(2016, Jim O’ Neill)
2015년 WHO 총회에서 글로벌 행동 계획을 수립하여 국가별 대책 마련 및 국제공조를 강력히 촉구함
인체 중요항생제 내성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농산물 및 농업환경” 분야 추가(2017, 6차 Codex TFMAR)
농산물은 항생제 내성균의 인체전달자 역할에 대한 과학적 증거 제시(2018, FAO/WHO)
One Health 개념의 농산물 및 농업환경의 항생제 사용 및 항생제 내성 통합감시시스템 구축 필요
현재 친환경 과수원에서는 폐기되고 있는 비상품성 과실을 이용하여 액비를 자가 제조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표준화된 매뉴얼이 없어 이에 대한 과학적인 매뉴얼 확립 및 발효기간을 단축시키고 균일한 성분의 경제성 있는 농가보급형 액비제조기 개발에 대한 농업현장 요구가 높음
상품성이 없이 폐기되고 있는 과실은 병해충의 진원지로 문제가 되고 있으며 유기자원으로의 활용 방안 모색이 필요한 실정임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