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부산물을 활용한 농산업 소재 개발
영역 2 어젠다 1 대과제 3
과제 및 세부과제명 과제구분 연구분야 수행기간 과제책임자 및 세부과제 책임자
농업부산물을 활용한 농산업 소재 개발 기관고유 농업환경 ’20∼ 버섯연구소 원태진
1) 버섯 수확 후 배지 이용 유기질 퇴비 개발 기관고유 농업환경 ’20~’22 버섯연구소 원태진
2) 버섯 수확 후 배지 이용 산업용 곤충먹이 개발 기관고유 농업환경 ’20~’22 버섯연구소 원태진
3) 농업부산물을 활용한 친환경과수 병 방제 기술 개발 기관고유 농업환경 ’20~’22 버섯연구소 남주희
색인용어 농업부산물, 버섯 수확 후 배지, 퇴비, 곤충먹이, 과수
연구개발의 필요성
버섯 수확 후 배지는 버섯(자실체)를 수확하고 남은 배지로 주재료인 톱밥, 옥수수속대 등과 비트펄프, 면실박, 미강, 밀기울 등 사료용 재료가 혼합되어 있으며, 버섯균이 분비한 다양한 생리활성물질과 목재 및 섬유소 분해효소가 함유되어 있어 재활용 가치가 높음
버섯은 대부분 대량생산 체계로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버섯 수확 후 발생하는 배지 발생량도 증가하고 있으나 폐기물로 분류되어 있으므로 처리비용 부담으로 버섯 재배 농가들의 어려움이 가중되어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버섯 수확 후 배지를 재활용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함
버섯배지 국내 생산량은 연간 167만톤이며, 버섯 수확 후 배지(Spent Mushroom Substrates; SMS, 폐배지)는 연간 97만톤에 이르고 있는 실정임
곤충은 최근에는 식용, 가금류 사료 및 애완용 먹이로의 산업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있고, 영양분이 풍부하여 미래 가능성이 높은 대체식량자원으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어 이를 산업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저비용 고효율의 사료 개발이 필요함
곤충산업은 대량사육기술이 많아지고 있고, 근래에는 곡물가격 상승으로 대체먹이원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므로 버섯 수확후배지 등 연중생산이 가능하고 친환경적인 원재료를 이용하여 사료자원으로서의 재활용가치를 높이는 방안이 필요함.
미국에서는 1988년 과수의 유기농산물 인증이 시작되었으며, 미국 최대의 사과 주산지인 워싱턴주에서 2000년에 사과 전체 재배면적 6만여ha 중 6%가 넘는 3,330ha에서 유기재배 인증을 받았고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였음.
국내에서는 2001년 친환경농산물 인증제도가 시행되었으며, 2005년부터 의성, 청송 지역의 일부 사과원에서 무농약농산물과 유기농산물 인증을 받은 이후 과수 유기 재배에 대한 농업인 관심이 증가하였으며, 2007년 무농약·유기재배 농업인이 ‘한국 유기농사과연구회’를 결성하여 유기 재배 사과 체계를 구축하고 있는 실정임.
국내 사과 재배면적은 약 16만 ha, 2백만톤으로 유지되고 있는 실정이며, 주로 ‘홍로’, ‘부사’ 등의 품종을 이용하고 있음.
– 재배면적(ha) : ’16) 166,473 → ’17) 166,957 → ’18) 164,718ha
– 생산량(톤) : ’16) 2,387,183 → ’17) 2,357,867 → ’18) 2,160,457톤
친환경사과는 학교 급식용으로 발주량이 147,467톤으로 높은 편이나 갈변, 착색불량, 병으로 인한 점박이 무늬 등 외관 품질 저하로 원물 자체의 납품이 어려워 사과즙 등 가공 후 출하되고 있어 이로 인한 농가 소득 피해가 큼.
친환경 사과 재배시 자주 발생하는 탄저병, 점무늬썩음병 등으로 인한 당도, 경도 등 품질저하가 쉬우며 친환경재배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으므로 천연물을 이용한 병해 방제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음.
도내 친환경사과 재배 농가에서는 석회유황합제, 석회보르도액, 키틴분해미생물을 병해 예방과 개화기 적화를 목적으로 이용하고 있으나 복합적인 병 방제효과가 낮아 다양한 소재를 활용한 친환경 병해 관리용 방제제 개발이 필요함.
PLS 정책에 따라 농가에서 화학농약의 이용이 점차 까다로워지고 있으며, 안전한 친환경 먹거리를 원하는 소비자 요구에 부응하여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추출물, 미생물 등 잔류위험이 적고 친환경적으로 병 방제를 할 수 있는 방제기술 개발이 필요함.
친환경농업의 중요성이 인식되어 감에 따라 학교급식, 군납 등을 통하여 친환경농산물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나 친환경농업 재배시 유기농자재 비용에 따른 농가의 어려움이 있어 농업부산물을 활용한 친환경농자재 개발이 필요함.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