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애로 병해충 진단 및 발생 예측 기술
개발
영역 어젠다 3 대과제 1
과제 및 세부과제명 과제구분 연구분야 수행기간 과제책임자 및 세부과제 책임자
현장애로 병해충 진단 및 발생 예측 기술 개발 기관고유 작물보호 ’17~’24 환경농업연구과 이현주
1) 현장애로 식물 임상진단 및 병해충 모니터링 기관고유 작물보호 ’17~ 환경농업연구과 이현주
2) 기후변화에 따른 병해 발생 실태조사 및 영향 요인 분석 연구 어젠다 작물보호 ’20~’23 환경농업연구과 이현주
3) 경기지역 국가관리 바이러스 분포조사 및 관리 매뉴얼 개발 어젠다 작물보호 ’20~’24 환경농업연구과 이현주
색인용어 병해충, 진단, 방제, 기후변화, 바이러스
연구개발의 필요성
도민에게 식물 병해충에 대한 신속하고 경제적인 진단서비스 제공 및 농업현장에서 요구되는 병해충 발생생태와 방제기술을 연구하여 농업인 애로사항을 해결하는 것이 중요함
기후변화, 국제교역 등으로 인한 새로운 병해충 발생 증가, 진단시간 지연시 피해 확산을 예방하기 위한 종합식물병원을 운영중
– 이용건수 : ’10) 8 → ’11) 30 → ’13) 62 → ’16) 51 → ’19)94만건
‘농업ㆍ농촌 및 식품산업 기본법’ 47조의 2(농업분야 기후변화 실태조사 및 영향ㆍ취약성 평가) 업무 신설(‘14.5.) 및 개정·시행(‘14.11.), 농촌진흥청장에 위임된 업무를 고시로 제정(농촌진흥청 제2016-16호, ‘16.3.21.)
– 기후변화가 농업·농촌에 미치는 영향과 기후변화에 따른 취약성을 5년마다 조사·평가· 공표하고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
작물 병해의 기후변화 영향·취약성 평가에 관한 자료와 연구는 미흡한 실정으로 지속적인 데이터의 축적과 정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함
도내 주요 작물의 병해 발생실태를 매년 조사하여 발생 변동과 기후환경, 재배 기술 등 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새로운 적응대책 수립 필요
– 병발생 예측자료와 발생실태 자료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예측오차를 줄이고, 관리기술을 개발·보급하여 피해 예방 및 조기 방제체계를 수립
최근 폭염과 가뭄, 집중강우 등 이상기상에 따라 토착 병해충의 발생이 증가하고, 재배작물 변화 및 국가 간 교역 증가에 따라 외래 병해충에 의한 피해도 증가
* 온난화와 강우량 증가로 작물의 시들음병, 썩음병, 무름병 발생으로 인한 민원 증가
* 2010년 이후 과수 화상병, 딸기 세균모무늬병 등 외래 병해에 의한 피해 증가
식물바이러스는 대표적인 난방제 식물병으로 기후변화, 국제교역 등으로 인한 돌발·신규 식물바이러스병의 지속적인 국내 발생에 따라 매년 피해 급증하는 상황
국가에서 피해발생을 우려하여 관리하는 식물바이러스는 자두곰보병(PPV) 등 95종이며, 바이로이드는 감자꺌쭉병(PSTVd) 등 6종임
– 2015-2017년 국내 복숭아 등 핵과류에서 국내 금지급 자두곰보병(PPV-D) 발생
기후변화에 따른 지역별 주요 재배 작물의 종류가 상이하고, 이러한 작물들에서 문제가 되는 바이러스들 또한 각각 다르므로, 경기도내에 문제가 되는 바이러스 분포조사 및 방제 시스템 개발이 필요함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