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 신품종 육성 및 재배기술 개발
영역 3 어젠다 2 대과제 1
과제 및 세부과제명 과제구분 연구분야 수행기간 과제책임자 및 세부과제 책임자
콩 신품종 육성 및 재배기술 개발 기관고유 ′05~ 소득자원연구소 장은규
1) 콩 우량계통 육성 시험 기관고유 ′05~ 소득자원연구소 장은규
2) 콩 우량계통 생산력 검정 시험 기관고유 ′05~ 소득자원연구소 장은규
3) 콩 우량계통 내재해 및 가공적성 검정 시험 기관고유 ′07~ 소득자원연구소 장은규
4) 콩 우량계통 지역적응 시험 어젠다 ′07~ 소득자원연구소 오광교
5) 콩 작황시험 어젠다 ’19~ 소득자원연구소 오광교
6) 콩 기본식물 양성 기관고유 ’19~ 소득자원연구소 한상욱
7) 특수용 콩 우량계통 육성 시험 기관고유 ’16~ 소득자원연구소 한상욱
8) 경기지역 논 이용 작부체계 기술개발 지역특화 ’18~’20 소득자원연구소 한상욱
색인용어 콩, 신품종, 우량계통, 가공적성, 작황, 서리태, 나물콩, 논재배, 작부체계
연구개발의 필요성
콩 수요량은 420천톤(사료제외)이지만 국내 생산량은 130천톤으로 자급률이 30% 수준에 머물고 있어 정부에서는 2020년까지 콩의 자급률을 40%로 올릴 목표를 설정하고 있음
콩은 수입산에 비하여 가격경쟁력이 낮아 해외 의존도가 높고, 재배면적이 줄어드는 추세로 자급기반 확보가 시급함(무역통계, 농림축산식품부)
경기도 콩 재배면적은 2000년대 보다 감소하였고, 10a 당 수량과 생산량도 감소 추세임(통계청)
국내 콩 가공제품 시장 규모는 1조 4,286억원, 총 식품시장규모의 4.0%를 차지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전용 품종개발은 미흡한 실정임(한국장류협동조합)
콩 가공제품 식품시장 규모 순위
– 두부 15위, 고추장 25위, 혼합간장 26위, 된장 39위, 혼합장 49위, 양조간장 54위 등
경기콩의 경쟁력 향상을 위하여 재배농가의 노력절감을 위한 내재해(내병충성, 내도복성 등), 다수성(300kg/10a) 품종육성 및 소비자(가공업자) 욕구에 충족할 수 있는 용도별 고품질 콩 생산을 위한 두부, 두유용, 장류용 전용품종 개발이 시급한 실정임
콩은 벼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으나, 생산량 부족으로 식용콩의 약70%를 수입에 의존함으로 고품질의 신품종 콩 육성 필요
벼농사는 기계화율이 98%인 반면 콩농사는 39%에 불과하여 많은 농가가 인력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은 실정으로 기계화에 적합한 콩품종 육성이 필요
최근 기후 온난화 및 이상으로 인한 고온장해와 병해충 발생으로 품질저하, 생산량 감소 및 국제 곡물가 상승에 대비한 내재해성 신품종 육성이 필요함
’16년 유색 및 특수용 콩은 현재까지 26품종이 장려품종으로 등록되어 있으나, 현재 시중의 서리태는 재래종이 유통되고 있고 보급종 체제가 없어 농가 소득보전을 위한 안정적인 재배가 어려운 실정으로 고품질의 서리태 품종개발 및 우수 품종보급이 시급한 실정임
소비자의 건강 기능성 식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서리태 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나 개발된 품종은 없는 상황임
검정 서리태의 시중 형성 가격은 국산 백태 대비 1.6배 높은 수준으로 형성되어 농업인에게 부가가치가 높은 작목 중 하나임
나물콩 면적(전국) : (’16)6,653ha(전체의 13.6%), 생산량 : (’16)8,982톤
나물콩 시장 규모 : 3,000억원, 수요량 : 60,000톤(39,000톤 수입)
농진청에서 나물용 콩으로 34품종을 육성하였고 경기도에는 18품종이 재배 가능한 것으로 보고하였으나, 실제 경기도에서 재배되는 품종은 풍산, 풍원, 신화, 장기, 해품등 5품종에 국한되어 있음
경기도 생산 나물콩은 기후 특성상 콩알이 커지는 것을 극복하기 위해 파종 시기를 늦추고 있으나 수량감소 및 미성숙의 원인이 되므로 품종별 적정 파종 시기 구명이 필요
쌀을 제외한 맥류 및 콩 등 식량작물은 자급률이 매우 낮은 실정으로 자급률 향상을 위한 재배기술 및 동계작물을 이용한 작부체계 기술개발 필요
남부지역은 3모작 등 다양한 작부체계 유형의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중북부지역은 남부지역에 비해 기온이 낮고, 무상기간이 짧아 작물재배에 불리한 환경조건으로 미맥 중심의 2모작 이외에는 뚜렷한 작부체계에 대한 연구가 미흡
국내 연구 현황
– 기능성 아토시아닌 C3G의 비율이 높은 콩 신품종 ‘청자4호’(2015, 한국)
– 불마름병, 탈립에 강하며, 두부 가공적성 우수한 콩 신품종 ‘미소’(2014, 한국)
국외 연구 현황
– 밀식적응형 다수성 콩 신품종 ‘요두56호’ 육성(2017, 중국)
– 모자이크 바이러스 내성 콩 신품종 ‘중황73호’ 육성(2018, 중국)
– 점무늬병, 줄기썩음병 내성 콩 ‘USG 5618V’ 육성(2018, 미국)
– 두부가공 적성 우수, 저온장애 내성 콩 ‘십육258호’ 육성(2018, 일본)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