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싹삼 안정 생산기술 개발
영역 1 어젠다 8 대과제 1
과제 및 세부과제명 과제구분 연구분야 수행기간 과제책임자 및 세부과제 책임자
새싹삼 안정 생산기술 개발 기관고유 인삼·약초 ’17~’20 소득자원연구소 조동현
1) 새싹삼용 우량묘삼 생산 초경량상토 개발 기관고유 인삼·약초 ’17~’19 소득자원연구소 조동현
2) 인삼 묘삼 및 새싹삼 재배용 경량상토 재사용 기술개발 지역특화 인삼·약초 ’18∼’20 소득자원연구소 조동현
색인용어 인삼, 새싹삼, 묘삼, 육묘, 경량상토, 재사용
연구개발의 필요성
무병묘삼 육묘 기술
– 국내 새싹삼의 재료인 묘삼 시장은 200∼300억원으로 추정되며, 1,000억원대 시장으로 성장 예상됨
– 인삼은 묘삼 소질에 따라 생산량에 차이가 있으므로 우량 묘삼을 재배할 경우 고품질 원료삼 생산이 가능하며, 최근 기후변화, 토양병해충 문제로 우량묘삼 생산율이 50% 미만으로 감소 추세임
– 묘삼은 대부분 노지에서 생산․공급되는데, 축분이나 오염된 밭에서 생산될 경우 병에 노출된 묘삼이 생산되어 본 밭에서 결주의 원인이 되고 있음
– 묘삼 노지재배 시 잦은 강우로 인해 지상부 병 발생율이 높고 양분 손실량이 많아 약재사용량이 높음
– 자가소비용 묘삼을 직접 재배하는 농가가 늘면서 오염된 묘삼 생산이 증가하고 있어 공정육묘를 통해 규격묘삼 생산이 필요함
– 소비자들은 안전한 인삼과 인삼제품을 원하고 있으며 이 같은 인삼 생산을 위해서는 표준하우스를 활용한 비가림 시설 내 묘삼 공정육묘기술 개발과 더불어 연중 생산․공급을 위한 다단 시설을 이용한 새싹삼 연중 재배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구됨
– 인삼 묘삼 공정육묘 기술개발은 농가현장 애로사항으로 귀농인, 창업농 대상 일자리를 창출시킬 수 있는 새싹삼 산업에 반드시 필요한 연구과제임
새싹삼 생산기술
– 최근 인삼의 뿌리와 줄기, 잎까지 이용할 수 있는 새싹 채소에 대한 소비자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 연구 도입 단계로 웰빙 소재로 적합한 새싹삼 원료 생산기술의 지속적인 연구와 지원 필요
– 인삼 잎과 줄기에서 항염증과 미백효과가 있는 새로운 진세노사이드 성분인 F5 분리에 성공(2013, 농촌진흥청)
– 묘삼 생산용 유기질비료의 연구결과는 없음
– 인삼은 연작 시 연작장해 발생이 심한 작물로 초작지를 선택하기 위해 이동경작이 불가피한 작물이므로 소비자에게 신뢰받을 수 있는 묘삼과 새싹삼 그리고 인삼제품 시장개척을 위해 기존의 노지 생산방식에서 탈피, 인위적인 환경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팜 기술을 도입한 공정육묘 시설에서 묘삼 및 새싹삼 재배기술 개발이 절실함
국내 연구 현황
– 원야토(50%)+약토(20%)+피트모스(30%) 인공상토 조합시 식재 가능한 묘삼이 관행대비 6.1% 증가하고 관행상토 대비 74.3% 경량화 함(‘12, 경기도원)
– 인삼 추파후 생육시기별 상토의 수분은 1단계(월동) 포화수분, 2단계(5월상순~6월중순) 관수, 3단계(6월중순~7월중순) 무관수, 4단계(7월중순~8월중순) 관수, 5단계(8월중순~수확기) 무관수 관리해야 함(‘13, 농진청)
– 장수필름+90% 검정PE 차광한 공정육묘 생산 비가림 하우스는 관행대비 생체중이 10% 증가(‘15, 농진청)
– 혼합상토(인삼전용상토60%+마사토20%+코코피트20%)에 새싹인삼을 상자재배시 새싹인삼의 지상부 및 지하부 생육 우수(‘17, 강원도원)
– 묘삼 육묘 재사용상토에 증기소독 및 약제(dazomet)소독 시 근중이 무처리구에 비해 2배정도 증가하고 잘록병 및 근부병 발생율이 감소함(‘14, 강원도원)
국외 연구 현황
– 현재까지 새싹삼에 대한 해외연구는 없음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