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병해충 방제 기술 개발
영역 어젠다 3 대과제 (1)
과제 및 세부과제명 과제구분 연구분야 수행기간 과제책임자 및 세부과제 책임자
친환경 병해충 방제 기술 개발 기관고유 작물보호 ’17~’20 환경농업연구과 이상우
1) 병해충 방제용 유용미생물 개발 기관고유 작물보호 ’18~’20 환경농업연구과 최종윤
2) 엽채류 주요 병해충 친환경 관리기술 개발 어젠다 작물보호 ’17~’19 환경농업연구과 이현주
3) 딸기 병해충 친환경 방제법 개발 기관고유 작물보호 ’17~’19 환경농업연구과 이현주
4) 친환경 오이 재배를 위한 병해충 종합 방제기술 적용 효과 검정 기관고유 작물보호 ’18∼’20 환경농업연구과 이상우
색인용어 병해충, 유용미생물, 유기농업자재
연구개발의 필요성
전국 시군농업기술센터를 통해 미생물을 공급받아 사용하고 있는 농가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경기도의 2016년 유용미생물 농가 보급량은 축산용 5,050톤, 농업용 5,034톤으로 사용 농가의 수요가 매년 증가하고 보편화 되고 있음
2018년 시험에서 토양 등에서 1,115균주를 수집하였으며 그중 잿빛곰팡이병 등의 식물병에 길항력이 우수한 63균주와 진딧물 등에 살충성이 우수한 56균주를 선발하였음
생물 Screening method는 연구자의 노하우와 관련된 부분으로 기술적 우위를 평가하기 어렵고 선발된 균주 자체의 효과에 따라 경쟁력을 가질 수 있으므로 계속적인 발굴이 필요함
시금치는 시설재배면적이 2,400ha(‘10, 통계청) 정도로 엽채류 중 재배면적이 3번째로 높은 작목이며 경기도내 재배면적은 1,561ha로 출하량은 전국 1위를 차지하고 있음
시금치에 발생하는 병해는 노균병 등 11종이 보고되어 있으나 노균병의 방제 약제만 등록되어 있으며, 주요 해충(파밤나방 등 4종)은 종합적 방제에 대한 연구가 없음
딸기에 발생하는 병해충을 친환경으로 방제하기 위해 Bacillus sp., 소다 등을 이용한 병해 방제, 고삼, 님오일 등 식물추출물과 칠레이리응애 등 천적을 이용한 해충방제 등의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
주요 생물농약인 미생물과 식물추출물, 천적을 단독 개발 및 활용에서 나아가 농가가 작물별 병해충을 동시 또는 교호로 방제 할 수 있는 효율적인 복합방제 기술 개발이 필요함
경제개발기구(OECD)의 환경 위해성 경감대책에 부응하는 미생물 등 생물농약 이용 확대를 통한 화학약제 축소로 국가적 신뢰성 구축 필요함
국내 연구 현황
– 해충방제에 사용되는 곤충병원성 미생물은 크게 곤충병원성 세균(Bacillus thuringiensis, B. sphaericus 등)과 진균(Beuveria bassiana, Metharhizium anisopliae, Lecanicillium lecanii 등), 곤충병원성 바이러스(baculovirus)가 대표적임(박 등, 2015)
– Bacillus sp. GH1-13균주에 대하여 19종 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 및 생육촉진(벼, 오이, 토마토) 활성 검정, 병원균에 대한 길항 활성 유전자 검출 등 병 방제·생육촉진 복합기능성 연구하였음(송 등, 2016)
– 2015년부터 2018년까지 각 도원이 참가하여 병해충방제·생육촉진·악취저감 개발 미생물 12종에 대한 현장 실용화기술 및 대량배양 기술에 대한 기술서를 제작하였음(농촌진흥청, 2018)
– 고추 진딧물·탄저병 동시방제용 미생물(Isaria PF185, 212)을 이용한 탄저병 68.9%, 진딧물 62.0% 방제 연구가 진행중(농촌진흥청, 2018)
– 시금치는 경기도내 지역 특화도가 높고 비교적 높은 소득으로 전국 출하량의 61.7%를 차지하고 있음.
– 시금치 발생 병해충에 대한 조사 정보와 방제 농약 등이 부족하거나 없어 최근 새로이 문제되는 병해충과 주요 병해충에 대한 정밀 조사와 방제약제 등록이 미비한 경우가 많음
– 딸기의 문제병해충에 대한 저항성 관리 및 효과 증진을 위해 다양한 약제 등록이 필요하며 친환경 재배농가들이 이용할 수 있는 친환경제제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함
– 시설원예작물에 피해를 주는 미소해충인 목화진딧물, 복숭아 진딧물, 꽃노랑총채, 점박이응애에 대하여 살충력이 우수한 식물추출조성물과 에센셜 오일을 선발(농촌진흥청, 2015)
– 오이 천적을 이용한 해충방제인자로 콜레마니진디벌, 진디혹파리, 보리뱅커플랜트, 담배가루이좀별, 굴파리좀벌, 잎굴파리고치벌 등을 활용(공주대, 2014)
– 시설채소의 병해충 생물적 방제기술로 오이, 토마토, 참외, 딸기 등의 천적활용을 체계화 하였으며 특히 오이의 굴파리좀벌을 이용한 아메리카잎굴파리 방제등에 대한 효과를 검정하였음(농촌진흥청, 2006)
국외 연구 현황
– B. amyloliquefacuens FZB42균주 대사 산물에 의한 병원균 억제 및 식물 전신유도 저항성에 대한 연구하였음(Chowdhury 등, 2015)
– 곤충병원성곰팡이 B. bassiana 및 Isaria fumosorosea 균주의 액체배양시 생성되는 출아포자와 고체배양시 생성되는 분생포자의 살충활성을 비교하였음(Celso 등, 2018)
– 친환경 병 방제용으로 병원체-식물 상호작용의 해석, 식물추출물 등 천연물 유래 물질의 이용 등 화학농약의 절감을 목표로 다양한 연구가 시도됨
– 세계 각국은 농업환경의 지속성을 위한 친환경 방제를 목적으로 미생물 관련 특허법을 강화하는 등 병해충 방제용 미생물자원의 확보를 위해 고부가가치 신기능 미생물의 분리, 탐색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음
– 오이 굴파리 천적인 굴파리좀벌의 온도에 따른 생태적 특성을 밝혀 온도에 따른 밀도 예측 가능(Mostafa 등, 2017)
– 생물학적 살충제 시장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2023년에는 45억 달러 규모로 예측됨 (Sara, 2015)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