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공장 상용화 및 연중 생산 기술 개발
영역 1 어젠다 5 대과제 1
과제 및 세부과제명 과제구분 연구분야 수행기간 과제책임자 및 세부과제 책임자
식물공장 상용화 및 연중 생산 기술 개발 기관고유 식물공장 ’17~’21 원예연구과 정윤경
1) 특수용도채소 식물공장 생산기술 개발 기관고유 ’17~’19 원예연구과 정윤경
2) 식물공장 생산 과채류 육묘 활용기술개발 기관고유 ’19~’21 원예연구과 정윤경
3) 중동지역 적합 내서성 토마토 선발 기관고유 ’19~’20 원예연구과 정윤경
4) 식물공장 고부가가치 식물 재배기술 개발 기관고유 ’17~’20 원예연구과 정현경
5) 식물공장 딸기육묘 시스템 개발 기관고유 ’18~’19 원예연구과 정현경
색인용어 식물공장, 육묘, 고부가가치, 토마토, 딸기
연구개발의 필요성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안정적 식물공급, 식품안전성에 대한 관심 증가, 농업인력의 감소 및 고령화 인력의 활용 등의 목적으로 식물공장에 대한 연구 및 실용화 필요성 증가
식물공장은 농업기술과 IT, BT, ET 등의 산업분야와 융합함으로써 계절이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계획생산이 가능하며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에 맞춘 기능성 작물 생산이 가능함
우리나라 환경에 적합한 한국형 식물공장 개발 및 세계로의 수출시장을 창출하고자 함
국내 연구 현황
– 1990년대 이후 농촌진흥청에서 식물공장 연구를 시작하였으며 남극 세종기지에 식물공장을 설치하여 가동중이며, 전주로 청사이전 후에는 식물공장 연구보다는 스마트팜 연구를 중점적으로 착수중이며 각도 농업기술원에서도 수행중이거나 시작중임
– 국내 기업으로는 미래원, 베지텍스, 인성테크(주), 알가팜텍, 카스트환경기술(주) 등 민간회사에서 식물공장을 설립, 운영하고 있음
– 식물공장에 관련된 특허출원은 2008년까지 출원건수가 매년 5건 미만이었으나 2016년에는 76건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그중 LED 조명, 형광등, 태양광 등의 광원관련이 38%, 자동제어 관련 기술이 37%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국외 연구 현황
– 식물공장 연구는 1950년대 유럽에서 시작되어 덴마크에서 최초의 식물공장이 생겨났으며 이후 유럽, 미국, 일본 등에서 식물공장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음
– 네덜란드는 2020년까지 자급 에너지 뉴트럴 온실시스템을 구축을 목표로 바이오 발전, 지열 발전 온실 프로젝트 진행하고 있음
– 벨기에는 묘 자동이식로봇, 자동재식거리, 중앙수확을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음
– 미국은 1970년대에 식물공장 연구를 시작하여 1980년대 어그리시스템사, 어그로노틱스사에서 대형 태양광 병용형의 식물공장 생산시스템을 실용화하고 있으며 NASA 등에서 우주농업 연구를 수행하고 있음
– 일본은 1970년대부터 연구를 시작하여 2009년 정부가 ‘신경제 성장전략’의 하나로 식물공장을 지원하고 있으며 현재 ‘미라이’ 등 50여개의 식물공장이 운영되고 있고, 치바대학에서는 약용식물인 감초 재배 시스템을 개발하였음
– 일본은 주로 인공광형 식물공장에서 엽채류를 생산하며 유럽은 태양광 병용형 식물공장을 개발, 설립하여 엽채류, 과채류, 화훼류 등을 재배하고 있음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