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조직체 육성 및 경영기술 사업화 방안 연구
과제구분 기본연구 수행시기 전반기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명 연구분야 수행기간 과제책임자 및 세부책임자
농업조직체 육성 및 경영기술 사업화 방안 연구 경영정보 ’16~’19 작물연구과 전명희
1) 농업농촌 협동조합 육성방안 연구 경영정보 ’17~’18 작물연구과 이진홍
2) 쌀 소비 촉진을 위한 나락유통 활성화 방안 연구 경영정보 ’17~’19 작물연구과 정구현
3) 경기도 주요 R&D 기술의 활용실태 및 효과분석 경영정보 ’16~’18 작물연구과 전명희
색인용어 협동조합, 수익모델, 나락유통, 즉석도정, 기술수명주기
연구의 필요성
최근 농업농촌은 농가인구의 감소와 고령화, 농업소득의 감소 등에 직면하면서 새로운 경제사회 발전의 대안모델로‘협동조합’이 주목받으면서 농업농촌도 사회적 경제 시스템으로 진입
협동조합 기본법이 2012년 제정되면서‘농어업경영체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등에 근거를 둔 영농조합법인, 농업회사법인이나 행정자치부․농림 축산식품부의 정책 사업의 계기로 출현한 마을기업, 농촌공동체회사 등이 협동조합으로의 전환하고 있거나 신규 설립되고 있는 추세임
– 경기도의 농림어업분야 협동조합은 전체 713개 조합중 92개(12.9%)이며, 이들 협동 조합 중 사업을 시작하지 못하거나 중단한 경우도 나타나고 있음(수익창출 모델 부재, 운영자금 부족 등) (농진청, 2014)
그동안 농업농촌분야의 협동조합 대부분은 취약계층 지원, 지역의 일반주민 지원, 낙후 지역 활성화, 농가 및 농업활동 지원 등으로 나타남
이들 대부분 사례는 사회적 배제 또는 시장기능 실패에 대한 보완적으로만 접근한 측면이 있어 향후에는 취약계층 지원뿐만 아니라 전환 협동조합이나 신설 협동조합이 사업을 시작하지 못하거나 중단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협동조합 수익 창출 모델이 필요함
이를 위해 연중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는 수익모델 개발과 더불어 농업인, 마을 또는 마을기업, 영농조합법인, 체험농장 등의 협동조합 육성 및 브랜드화를 모색해 부가가치를 향상시키는 전략을 도출하고자 함
한편, 가정에서 주로 소비되는 백미는 식품소비 변화로 인해 해마다 소비량이 감소하고 있으며 백미 도정시 영양소의 95%가 손실되고 있음
– 쌀의 부위별 영양 함유량 : 배유(백미) 5%, 배아(쌀눈) 66%, 미강(껍질,겨) 29%
쌀 소비 촉진방안의 일환으로 가정이나 소비처에 즉석도정기를 설치한 후 즉석에서 벼 (나락)를 도정하여 현미나 분도미로 소비하는 나락 유통이 대두됨
※ 즉석도정의 장점 : 신선한 쌀, 현미, 1분도미 등 영양 손실 최소화
경기도산 쌀 소비 촉진방안으로서의 나락유통 현황과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즉석 도정기 보급에 의한 쌀 소비효과를 분석코자 함
농업 R&D 주요기술에 대해 현장의 농업소득 향상 정도 및 파급효과를 분석하여 실질적으로 현장에서 필요한 기술개발을 유도할 필요가 있음
– 시범사업으로 보급하려는 기획단계에서 후보기술에 대한 경제성 검증 및 파급효과 등을 고려한 사업 우선순위 선정체계가 요구됨
– 농업R&D기술의 기술가치 평가 및 파급효과 분석을 위해 기술점유율, 기술수명에 대한 실제 통계 데이터 구축이 필요함
따라서, 경기도 주요 R&D 기술의 활용실태 및 파급효과를 분석하여 현장에서 필요한 기술개발을 유도하고, 주요기술의 효과분석을 위한 경제적 수명 추정 방안을 제시 하고자 함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