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별 농업예측 기술 개발 연구
과제구분 기본연구 수행시기 전반기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명 연구분야 수행기간 과제책임자 및 세부책임자
품목별 농업예측 기술 개발 연구 경영정보 ’15~’18 작물연구과 이진홍
1) 농업관측정보 이용 및 확산방안 연구 경영정보 ’15~’17 작물연구과 이진홍
2) 생산자패널 표본설계 및 조사 연구 경영정보 ’15~’17 작물연구과 이진홍
3) 작목별 영농의사결정 지원시스템 개발 연구 경영정보 ’17~’18 작물연구과 정구현
색인용어 농업관측, 생산자패널, 선형계획법, 농작물, 영농의사결정
연구의 필요성
농산물시장 환경 등 국내외 농업여건 변화로 농업생산 및 경영의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있음
– 국내외에서는 중장기 수급모형 및 패널모형을 개발하여 활용하고 있음
※ OECD AGLINK, 미국 FAPRI 모형, USDA FAPSIM(Food and Agricultural Policy Simulator),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KREI-KASMO(Korea Agricultural Model) 모델(수급예측)과 경상북도농업기술원의 생산자패널 모형 등 개발 운용
이에 정부에서는 「농수산물유통및가격안정에관한법률」제5조 제3항에 의거하여 국내 농산물 수급안정을 도모하고자 수요, 공급, 해외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과학적으로 분석․ 예측 및 확산시키는 농업관측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 쌀, 콩 등 35개 작목의 관측사업을 위해 57명, 60억원의 인력과 예산투입
※ 곡물류 : 역계절 진폭 확대, 채소류 : 가격 진폭율 증대
국가 관측사업 방식은 대규모의 예산과 인력이 소요되나 도단위 지역특성을 반영 하는데 한계가 있어 정기 특화작목에 대한 관측정보 제공 필요
지역 농가의 경영계획 수립 및 판로개척의 기초가 될 수 있도록 농업여건 변화에 따른 생산자 패널 서베이를 실시하여 체계적인 정보수집 및 DB구축을 통해 경영 변화요인과 경영성과 격차를 분석할 수 있도록 생산자패널 연구를 추진하고자 함
전국 귀농가구가 2013년 10,202가구에서 2014년 10,758가구, 2015년 11,959가구로 증가추세이나 경영계획수립을 위한 의사결정 자료가 부족함
– 경기도 귀농가구수 : 2013)882 → 2014) 898 → 2015) 1,074가구
품목선택에 있어 경영주는 수익을 최대로 올릴 수 있도록 토지, 노동, 자본 등을 효율적으로 결합하려고 하며 경영규모 및 투입자본 설정 등 사업타당성 검토 필요
– 3년이하 경력의 귀농인이 필요로 하는 교육내용 요구는 농산물마케팅 2.61, 경영 관리 2.77점, 사업검토/계획 2.85 등의 영역이 보통(이론평균 3)이하로 개발이 더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음(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2)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귀농인, 또는 새로운 작목을 도입하는 농업인이 자신이 보유한 토지, 노동, 자본제약하에서의 품목별 경영규모와 경영비용, 수익성 등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경영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프로그램화하여 제공코자 함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