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농촌 발전방안 연구
과제구분 기본연구 수행시기 전반기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명 연구분야 수행기간 과제책임자 및 세부책임자
농업·농촌 발전방안 연구 경영정보 ’15~’16 작물연구과 전명희
1) 6차산업화콘텐츠개발및리빙랩구축방안연구 경영정보 ’15~’16 작물연구과 이진홍
2) 농업인력부족실태및도시노동력활용방안연구 경영정보 ’15~’16 작물연구과 전명희
색인용어 6차산업화, 리빙랩, 농업인력
연구의 필요성
6차산업 활성화는 FTA, 쌀 관세화 등 농업경제의 위축과 그로 인한 농가소득 감소, 일자리 축소 등 농업농촌의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는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음.
– 그동안 6차산업화 관련 연구는 국내외 사례분석을 바탕으로 한 개념정의, 유형분류, 정책분석, 비즈니스모델 개발, 법률제정 등이 주를 이뤄왔으나 최근에는 6차산업화 수익창출 모델 연구가 나타나고 있음.
6차산업 본래 취지에 맞게 정부에서는 2014년 6월 「농촌융복합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전문인력 양성, 창업 및 판로지원, 금융지원 등 제도적 체계를 마련하고, 6차산업 활성화 지원센터를 각 도별로 설치하여 6차산업 사업자 인증, 코칭, 우수제품 발굴 및 정보제공 등 중간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음.
향후에는 6차산업 농가의 창업성공률을 높이고 시장리스크를 사전에 낮출 수 있는 창업아이디어 발굴방법과 기준을 마련하고, 새로운 아이디어가 농업에 접목 이용 될 수 있도록 아이디어 공급자와 수요자 간 교류, 중개, 거래가 이루어 질 수 있는 지역별 플랫폼 구축이 시급함.
이에 본 연구에서는『2015년 6차산업 아이디어 공모전」을 통해 발굴한 우수 아이디어를 접목하여 창작해보고 테스트도하며 예비창업계획을 수립 지원해 줄 수 있는 ‘시군 6차산업 리빙랩’ 육성계획을 수립하고 향후 경기도내 시군에 확대코자 함.
농촌은 인구감소와 고령화로 인하여 노동력확보가 어려움.
– 우리나라 농가인구 7.1 % 감소 : 3,063천명(2010년) → 2,847천명(2013년)
– 65세 이상 고령농가 비율 37.3%
반면, 도시의 취약계층에게는 소득을 위한 일자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계절적 특성이 반영된 D/B작성으로 도농간 노동력의 미스매칭 해소가 요구됨. (농촌일자리 창출 방안 모색을 위한 대토론회, 2013)
도시 유휴인력을 활용, 일손부족 농가에 안정적인 노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