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트렌드에 대응한 주요과수 농가의 대응방안 연구
과제구분 기본 수행시기 전반기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명 연구분야 수행기간 연구실 책임자

경기도 과수산업 여건변화 대응연구

농업경영 ’21~’22 작물연구과 박건환

소비트렌드에 대응한 주요과수 농가의 대응방안 연구

농업경영 ’21~’22 작물연구과 이정명
색인용어

과수, 소비트렌드, 복숭아, 포도, 체리

 
□ 연구 목표
구매력을 갖춘 소비계층이 다양해지고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과일 소비에서도 소비구매 패턴이 바뀌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또한 신선과일 수입액은 2022년 11억8천100만 달러로 2010년 1억8천532억 달러와 비교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KREI, 2023). 과일 시장에서 수입과일이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국산과일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생산농가 차원에서의 품질향상, 포장재 개선 등의 노력도 중요하지만, 실제 소비자들의 구매행태 변화를 파악함으로서 농가 및 유통업체에서 목표 시장을 설정하고 구체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이미성 등(2017)은 과일 소비트렌드 변화와 과일산업 대응방안 연구에서 과일 소비트렌드를 ‘다양화 추구, 건강기능성 선호, 당도 선호, 편의성 추구, 가성비 추구’로 제시하였다. 과수 소비트렌드 대응 방안과 관련하여 경상북도는 유럽계 품종(샤인머스캣, 썸머블랙, 베니바라드, 흑발라드, 골드핑거 등) 재배 시설포도 농가소득이 해당 품종 도입 전에 비해 16.9% 증가하였다고 한다. 여기서 유럽종 포도는 씨가 없는 품종, 껍질째 먹는 품종으로서 편의성 추구라는 과일 소비트렌드에 부합한다. 이와 같이 변화하는 과일 소비트렌드에 따른 농가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농식품 소비자 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수도권 소비자의 과일 소비행태를 분석하고, 과수 재배 농가 실태조사를 통하여 향후 품목 및 품종 변화 의향이 있는지 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데이터를 활용하여 경기도 내 과일 생산자에게 소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경기도 과수 농업인의 소득증대를 이끌어 내고자 한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