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친환경농산물 생산농가 재배 및 친환경 농자재 사용 실태조사
과제구분 |
기본연구 |
수행시기 |
전반기 |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명 |
연구분야 |
수행기간 |
연구실 |
책임자 |
친환경 농산물 안정 생산기술 개발 |
유기농업 |
‘20~ |
버섯연구소 |
남주희 |
친환경농산물 생산농가 재배 및 친환경 농자재 사용 실태조사 |
유기농업 |
‘20 |
버섯연구소 |
남주희 |
색인용어 |
친환경농업, 농자재, 실태조사 |
-
- □ 연구 목표
-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과 지속가능한 농업과 생태환경 보존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친환경 농업은 더 이상 선택의 문제가 아니다(Kim 등, 2008). 친환경농업은 관행농업(conventional farming)에 비하여 합성농약 및 화학비료를 전혀 사용하지 아니하거나 용량을 최소한으로 사용하여 생태환경을 보존하고(Lee & Kang, 2005), 안전한 먹거리를 생산하는 것으로 건강한 토양을 바탕으로 한 지속가능한 농업의 지향점이다.
- 관행 농업과 비교하여 친환경 농자재를 사용하거나 작물을 재배하는 것은 무척 까다롭고 어려운 상황이다. 관행농업과 다른 시각으로 새로운 친환경소재 또는 병해충 방제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지만, 여전히 친환경농업 현장에서는 친환경 농자재가 과학적 검증 없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방제 기구나 사용법도 사용하는 농업인마다 무궁무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Lee 등, 2006).
- 최근 친환경농업에 관한 연구는 친환경농산물 유통활성화 방안(Kim et al., 2005; Jo and Yoo., 2009) 위주로 연구가 되었고, 친환경농자재 사용실태 및 인식도 조사는 매우 미비하며(Lim et al., 2007), 친환경유기농자재 안전성 확보를 위한 농업인의 인식도 조사에 대한 학술결과가 거의 유일한 실정이다(Paik et al., 2013). 경기도에서도 친환경 재배 유통 실태조사에 대한 연구가 주로 진행되었고, 농자재 사용실태가 일부 조사되었으나 종류, 만족도, 현장 문제점, 법적 개선사항 등에 대한 기초자료는 부족하다. 친환경농업 현장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관행농업과는 또 다른 관점으로 친환경농자재를 사용하는 것과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친환경농업의 현황과 농자재의 사용 실태를 파악하고 이에 근거하여 과학적으로 합리적인 연구주제를 수립하기 위해서는 경기도 친환경농업 현황과 문제점에 대한 구체적인 기초자료가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친환경 농업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친환경 농자재 및 현장 애로사항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를 파악하고, 향후 친환경 농자재 관리와 현장 문제점 개선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
|